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이은(李垠)-나시모토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의 결혼 서사를 통한 ‘내선(內鮮)결혼’의 낭만적 재현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omantic representation of the marriage of Lee-Eun(李垠) and Nashimotomiya-Masako(梨本宮方子)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1, v.0 no.25, pp.229-258
https://doi.org/10.18856/jpn.2011..25.009
이영아 (명지대학교)

초록

1920년에 거행된 조선의 왕세자 이은과 일본의 황족 나시모토미야 마사코의 결혼은 이씨 왕조의 종말을 고하려는 의도였을 뿐 아니라 조선이 일본의 피식민국이라는 사실을 명시화하기 위한 책략이었다. 그럼에도 이 결혼은 매일신보 를 통해대중들에게 낭만적인 사랑과 결혼의 서사로 포장되었다. 이를 위해 매일신보 는이들의 혼약 발표, 혼사장애요소, 시련의 극복, 운명론적 미화, 화려한 결혼식의 준비, 행복한 가정에 대한 전망 등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대중적 서사의문법을 충실하고 치밀하게 따랐다. 특히 화려한 결혼식과 선남선녀의 애틋한 결혼전 교류의 모습 등은 이들을 ‘스타’로 만들었고, 대중들로 하여금 이들의 아름다운모습을 보며 정치적 현실의식보다 감상적 동경의 감정이 앞서도록 조장했다. 그리고대중들에게 이 ‘선전’이 어떠한 효과를 낳았는지 축하품 모집, 축하시 공모 등으로확인하려는 작업도 이어졌다. 그러나 이들의 낭만적 결혼의 서사는 1919년 1월의 고종의 승하와 3.1운동을 거치면서 ‘허구’임이 판명되었다. 뿐만 아니라 1920년 창간된 민족지들에 의해서는 주인공을 이은과 마사코로 하는 ‘해피엔딩’의 낭만적 사랑-결혼의 서사가 아니라, 민갑완과 이은을 주인공으로 하는 ‘비극적 서사’가 새롭게조명되기도 하였다.

keywords
이은, 나시모토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 내선결혼, 매일신보, 대중적 서사, Lee-Eun(李垠), Nashimotomiya-Masako(梨本宮方子), mixed-blood marriage, representation, romantic love, public narrative

Abstract

This thesis trie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representing the marriage of Lee-Eun (李垠) and Nashimotomiya-Masako(梨本宮方子) . Their mixed-blood marriage was prosecuted in order to show the fall of Choseon(朝鮮) royal family to Korean by the political purpose of Japanese Empire. Nevertheless, Choseon Government-General(Japanese Empire) weaved their marriage into a romantic love story. Choseon Government-General advertised to the public through the press of 'Mae-il sinbo(每日申報)'. 'Mae-il sinbo(每日申報)' reported all process of their marriage, that is, the announce of engagement, hardship of their marriage, making plans for the wedding, and the blueprint for their future. Especially their fancy wedding plan and beautiful-looking couple's romantic date made the public accept this political tragedy as a happy event. However, this narrative of their romantic love and marraige was proved to 'false' through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keywords
이은, 나시모토미야 마사코(梨本宮方子), 내선결혼, 매일신보, 대중적 서사, Lee-Eun(李垠), Nashimotomiya-Masako(梨本宮方子), mixed-blood marriage, representation, romantic love, public narrative

참고문헌

1.

매일신보 ,

2.

신한민보 ,

3.

동아일보

4.

善生永助, 「朝鮮人の人口現象」, 조선총독부, 1927.

5.

善生永助, 「內鮮人の通婚狀態」, 朝鮮及滿洲 , 1935.1.

6.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 소명출판, 2009.

7.

김충실, 「신소설에 나타난 혼사장애 양상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 1980.

8.

노영희, 「이방자의 자전을 통해 본 한일근대사에 대한 자각과 한계」, 『일어일문학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2001.11, 379-394쪽.

9.

박두미, 「서사문학에 나타난 혼사장애담」, 원광대 석사, 2008.

10.

박성진, 「한말-일제하 사회진화론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1999.

11.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서문당, 1979.

12.

백지혜, 스위트 홈의 기원 , 살림, 2005.

13.

송우혜, 「이은의 정략결혼 연구-언론보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2007.

14.

송우혜, 왕세자 혼혈결혼의 비밀 , 푸른역사, 2010.

15.

앤소니 기든스, 배은경 외 역, 현대사회의 성ㆍ사랑ㆍ에로티시즘 , 새물결, 1996.

16.

오오야 치히로, 「잡지 내선일체에 나타난 내선결혼의 양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6.

17.

와타나베 아쓰요, 「일제하 조선에서 내선결혼의 정책적 전개와 실태-1910~2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 2004

18.

이경아, 「일제강점기 문화주택 개념의 수용과 전개」, 서울대학교 박사, 2006.

19.

이방자, 비련의 왕비 , 신태양사, 1960.

20.

이방자, 세월이여 왕조여 , 정음사, 1985.

21.

이상택, 한국소설문학의 탐구 , 일조각, 1983.

22.

장용경, 「일제말기 내선결혼론과 조선인 육체」, 역사문제연구 제18호, 역사문제연구소, 2007, 195-214쪽.

23.

정범준, 제국의 후예들 , 황소자리, 2006.

24.

최석영, 「식민지시기 ‘내선결혼’ 장려문제」, 『일본학연보』, 2000, 259-294쪽.

25.

한석정, 만주국 건국의 재해석: 괴뢰국의 국가효과, 1932-1936 , 동아대학교 출판부, 1999.

26.

다카시 후지타니, 한석정 역, 화려한 군주 , 이산, 2003.

27.

오타베 유지, 황경성 역, 낙선재의 마지막 여인 , 동아일보사, 2009.

28.

혼다 세츠코, 서석연 역, 비련의 황태자비 이방자 , 범우사, 1989.

29.

로널드 B.토비아스, 김석만 역,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 , 풀빛, 1997.

30.

움베르트 에코, 김운찬 역, 대중의 슈퍼맨 , 열린책들, 199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