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집, 정주와 변주의 공간

A house, the place of settlement and variatio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1, v.0 no.25, pp.41-69
https://doi.org/10.18856/jpn.2011..25.002
손희정 (중앙대학교)

Abstract

The modernization in Korea has been proceeded in conjunction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space in the capitalist way as much as in the western modernization. In this process, the space was considered to be empty and neutral, and also something to be objectively manipulated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or by characteristics of planners. As a result, the dwelling spaces in Korea appeared to be a dwelling machine where the capitalist ideology merged with the patriarchy is encapsulated. Individuals have experienced the sentiment of placelessness while being affected by this process as well as actively participating in it. Here, the sentiment of placelessness means the feelings of loss for deeper connection with the meaningful places. However, the placelessness does not only have the negative side. When imaging the possibilities of social change based on the possibilities of open space, the placlesslessness means the emancipation of the everyday life which seems to be depoliticized. At the same time it also means the possibility of the community beyond the rigid boundaries of individuals. As such possibility, the placelessness is rather a chance for new attachment to the place and new relationship with it than deprivation and abandonment of the place. We need to take it to consideration, however, that both sides of placelessness are based on the materialistic condition which is deprivation of housing rights. Speculating on these issues around the house, this essay takes closer look into the recent Korean films which dramatize the 'homeless-hikikomori couple narrative' and tries to imagine the alternative way to resolve the oppressions around the dwelling space in Korea.

keywords
Modernization in Korea, modern characteristics of home in Korea, placelessness, patriarchy, heterotopia, homeless, hikikomori, queer community, civil right movement, association, 한국 근대화, 한국 근대 주거성, 장소상실, 무장소성, 가부장제, 헤테로토피아, 노숙자, 은둔형 외톨이, 퀴어 공동체, 시민권 운동, 어소시에이션

참고문헌

1.

박예슬, 「소수자가 행복한 마포구를 원합니다」, "오마이뉴스 2010.04.27.

2.

손낙구, 「‘손낙구의 부동산 1백대 부자2’ 통계로 보는 100대 집부자」, "레디앙 , 2008.03.04.

3.

정구학, 「전세난 외면하는 복지 논쟁」, "한국경제 , 2011.01.30.

4.

카페 마레연 http://cafe.daum.net/maporainbow2010

5.

마포 레인보우 유권자 연대 http://maporainbow.net

6.

이정봉, 「빈곤의 형성과 재생산에 관한 연구: 고시원 거주 도시 빈민층의 사회적 배제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7.

경향신문특별취재팀, "어디사세요? , 사계절, 2010.

8.

고병권, "추방과 탈주 , 그린비, 2009.

9.

윤택림, "한국의 모성 , 미래인력연구센타, 2001.

10.

이진경 편저, "모더니티의 지층들", 그린비, 2007.

11.

이진경 편저, "문화정치학의 영토들", 그린비, 2007.

12.

임옥희 편저,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 여성 공간", 도서출판 여이연, 2004.

13.

전남일, "한국 주거의 공간사", 돌베개, 2010.

14.

전남일,손세관・양세화・홍형옥, "한국 주거의 사회사", 돌베개, 2008.

15.

전남일,양세화・홍형옥, "한국 주거의 미시사", 돌베개, 2009.

16.

전상인, "아파트에 미치다", 이숲, 2009.

17.

조은 · 이정옥 · 조주현, "근대가족의 변모와 여성문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18.

최병두, "근대적 공간의 한계", 삼인, 2002.

19.

홍성태, "생태문화도시 서울을 찾아서", 현실문화연구, 2005.

20.

가라타니 고진, 조영일 역, "네이션과 미학", 도서출판b, 2009.

21.

가라타니 고진, 송태욱 역, "트랜스크리틱", 한길사, 2005.

22.

데이비드 하비, 최병두 역, "희망의 공간", 한울아카데미, 2009.

23.

린다 맥도웰, 여성과 공간연구회 역, "젠더, 정체성, 장소 -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도서출판 한울, 2010.

24.

베아트리츠 콜로미나 편저, 강미선 외 역, "섹슈얼리티와 공간", 동녘, 2005.

25.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6.

일레인 김・최정무 편저, 박은미 역, "위험한 여성 - 젠더와 한국의 민주주의", 삼인, 2001

27.

장하준, 김화정 · 안세민 역,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부키, 2010.

28.

카야노 도시히토, 김은주 역, "국가란 무엇인가", 산눈, 2010.

29.

Foucault, Michel, "Of Other Spaces", 1967. (http://foucault.info/documents/heteroTopia/foucault.heteroTopia.en.html)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