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갯마을>과 한국 문예영화의 장르적 형성 - 1965∼1969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eneric Formation of Korean Literary Films - between 1965 and 1969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1, v.0 no.26, pp.311-336
https://doi.org/10.18856/jpn.2011..26.011
정영권 (목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paper focuses how literary films in the late 1960s were formed as a filmic genre. Literary film holds a very unique position in genre history of Korean film. Indeed, literary film as a genre in Korea does not meet singular dramatic pattern, or common cinematic style. Especially, this study puts emphasis on not generic characteristics of literary film as individual films, but on specific historical and cultural institution regarding literary film. What literary film becomes a genre is not because the internal attribute of individual films consisting of that genre. More important issues are the external sectors among film studios, audience, journalism and government. Firstly, the question of genre positioning between film studios and journalism was important. <The Seaside Village> that became a model of box office hit was called as literary film, thereby a generic terminology, 'literary film' was used broadly in film journalism. Secondly, film studios formed 'the boom of literary film'. As a result, literary film as generic terminology was circulated in a wholesale way. Accordingly, film audience could recognize literary film as a genre. In addition, the Korean government promoted institutionally literary film through labelling it as the "Best Film" chosen by the government. Thirdly, literary film existed an inseparable relationship to European art cinema tendency. Thereby, even <Full Autumn> with its original screenplay was treated as a literary film.

keywords
<갯마을>, 문예영화, 예술영화, 장르 용어, 우수영화 정책, 제도화, <The Seaside Village>, literary film, art cinema, generic terminology, the policy of "Best Film", institutionalization

참고문헌

1.

국제영화사, 『영화․연예 연감』, 국제영화사, 1969.

2.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자료편람』, 영화진흥공사, 1977.

3.

한국영화사연구소 편,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5』, 한국영상자료원, 2007.

4.

한국영화사연구소 편,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6』, 한국영상자료원, 2007.

5.

한국영화사연구소 편,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7』, 한국영상자료원, 2008.

6.

한국영화사연구소 편,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9』, 한국영상자료원, 2010.

7.

한국영화진흥조합, 『한국영화총서』, 한국영화진흥조합, 1972.

8.

김남석, 「1960년대 문예영화 시나리오 각색과정과 영상 미학 연구」, 『민족문화 연구』37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243~279쪽.

9.

김종수, 「1960년대 문예영화의 원작소설 연구: 그 유형과 영화적 변용을 중심으로」,『대중서사연구』19호, 대중서사학회, 2008, 127~157쪽

10.

김종원, 「한국의 문예영화: 그 출발과 형태」, 『영상시대의 우화』, 제3기획, 1985, 58~63쪽.

11.

노지승, 「1960년대, 근대 소설의 영화적 재생산 양상과 그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20집, 한국현대문학회, 2006, 503~534쪽.

12.

라파엘 무안, 유민희 역, 『영화장르』, 동문선, 2009.

13.

문재철, 「60년대 중반 영화비평담론의 새로움: 영상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영화연구』41호, 한국영화학회, 2009, 61~79쪽.

14.

문재철, 「영화적 경험양식으로서 한국 시네필에 대한 연구: 50년대에서 7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영화연구』47호, 한국영화학회, 2011, 113~138쪽.

15.

박유희,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매체 전환의 구조와 의미: <오발탄>과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32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06, 167~193쪽.

16.

박유희, 「‘文藝映畵’의 함의」, 『영화연구』44호, 한국영화학회, 2010, 117~157쪽.

17.

박지연, 「박정희 근대화 체제의 영화정책: 영화법 개정과 기업화 정책을 중심으로」, 주유신 외, 『한국영화와 근대성: <자유부인>에서 <안개>까지』, 소도, 2001, 171~212쪽.

18.

백문임, 「1950년대 후반 ‘문예’로서 시나리오의 의미」, 김소연 외, 『매혹과 혼돈의 시대: 50년대의 한국영화』, 소도, 2003, 203~241쪽.

19.

변인식, 「한국 문예영화의 허점: 그 표현의 예술성과 한계성」, 『영화미의 반란』, 태극출판사, 1972, 348~363쪽.

20.

이길성, 「한국영화에 나타난 모더니즘 경향」, 차순하 외, 『근대의 풍경: 소품으로 본 한국영화사』, 소도, 2001, 372~409쪽.

21.

이길성, 「문예영화에 나타난 전쟁의 기억: 1960년대 후반기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24호, 대중서사학회, 2010, 313~336쪽.

22.

이선주, 「한국 모더니즘 영화의 재구성: 1960년대 비평담론이 상상한 ‘예술영화’」, 『대중서사연구』19호, 대중서사학회, 2008, 95~126쪽.

23.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의 제도화 연구: 1949-1968 전쟁영화와의 접합과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24.

조현일, 「소설의 영화화에 대한 미학적 고찰: 60년대 문예영화 <오발탄>과 <안개>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21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249~273쪽.

25.

크리스틴 톰슨․데이비드 보드웰, 주진숙 외 역, 『세계영화사: 영화의 발명에서 무성영화 시대까지 1880s-1929』, 시각과 언어, 2000.

26.

하길종, 「문예영화의 본질」, 『하길종 전집 2: 사회적 영상과 반사회적 영상』, 한국영상자료원, 2009, 462-467쪽.

27.

홍소인, 「문예영화에서의 남성성 연구: 1966~1969년까지의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영화이론 전공 석사학위논문, 2003.

28.

Altman, Rick, "A Semantic/Syntactic Approach to Film Genre", Leo Braudy & Marshall Cohen (eds.), Film Theory and Criticism: Introductory Readings (Sixth Edition), New York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pp.680-690.

29.

Altman, Rick, Film/Genre, London: BFI Publishing, 1999.

30.

Basinger, Jeanine, The World War II Combat Film: Anatomy of a Genre, Middletown, Connecticut: Wesleyan University Press, 2003.

31.

Bordwell, David, "The Art Cinema as a Mode of Film Practice", Timothy Corrigan, Patricia White & Meta Mazaj (eds.), Critical Visions in Film Theory: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 Boston & New York: Bedford/St. Martin's, 2011, pp.558-573.

32.

Neale, Steve, "Art Cinema as Institution", Screen Vol.22, No.1, 1981, pp.11-39.

33.

Neale, Steve, Genre and Hollywood,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0.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