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전쟁’과 ‘반공이데올로기’ 형상화 방식 연구 -김송 <永遠히 사는 것>, 박영준 <愛情의 溪谷>, 홍성유 ,<悲劇은 없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esentative Method of ‘War’ and ‘Anti-communist ideology’ of the serial story in newspaper in the 1950s ⎯ focused on Kim Song's <Living for eternity>, Park Young Jun's <Valley of Love>, Hong Sung Yoo's <There is no tragedy> ⎯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2, v.0 no.27, pp.37-76
https://doi.org/10.18856/jpn.2012..27.002
장미영 (한성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a serial story in a newspaper which is a mainstay of the Korean literary world in the fifties, after the Korean War broke out on June 25th,1950. This study will deal with three in particular that generally foregrounds the Korean War: Kim Song's <Living for eternity>(<DaeguMaeil>1951.9.1~12.8 published),Park Young Jun's <Valley of Love>(<Daegu Maeil>1952.3.1~7.17 published), Hong Sung Yoo's <There is no tragedy>(<Hankook Ilbo>1957.5.7~12.2 published). Through these, the study will discuss the process of anti-communist ideology becoming the dominating ideology through the arguments of war, and how the connection to the author's consciousness converges into the national implication on the Korean War.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industry that collude with government power cannot help but put newspaper fiction in a direct influential relationship. Considering the special circumstance called a war,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a media called a newspaper, the regulation of the Korean War by the Lee Seung Man regime as a provocation by the North was then perceived as a public opinion, and through the newspaper, must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rguments on war. In these literary works, protagonists with positions of teachers and professors strengthen anti-communist ideology through commentatory editorials and signification of anti-communist ideology. In the midst of calling attention to the public reader's experiences, they induce them to voluntarily come to an agreement. The characteristics as a war literature shown in these three newspaper fictions denounce the unreality and the violence of ideology through war, and share the universality of exposing a person's tragic life sacrificed because of war. The attitude towards war reproduces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that the North is no longer a part of the Korean race, or a brother of ours, but an enemy based on the responsibility that lays on the provocation of the North, and the puppet government of the North that savaged lives. The character's persuasive editorials and emotional reactions arouse the public reader's anti-communist ideology and make them spread it. The media's characteristic known as the newspaper fiction can be found through the securing of popular appeal and choosing complacent endings, or applying sexually suggestive content, timeliness, etc.

keywords
a serial newspaper story, Korean War, anti-communist ideology, newspaper media, public sphere), 1950년대 신문장편소설, 반공이데올로기, 전쟁, 전쟁문학, 공론 장, 신문매체, 통속성, 휴머니즘

참고문헌

1.

김송, 「永遠히 사는 것」, 한국문학전집 26, 민중서관, 1958.

2.

박영준, 愛情의 谿谷 , 중앙출판사, 1953.

3.

홍성유, 悲劇은 없다 , 三省新書, 1973.

4.

강정구, 「한국전쟁과 민족통일- 전쟁의 통일을 넘어 평화와 화해의 통일로」, 경제와 사회 제48권, 한국산업사회학회, 2000, 230~266쪽.

5.

강정구, 「한국전쟁과 민족통일」, 전쟁의 기억, 역사와 문학 上, 동국대 한국문화연구소, 월인, 2005.

6.

강진호, 「한국 반공주의 소설 사회학적 기능」, 한국언어문학 52집, 한국언어문학회, 2004, 313~344쪽.

7.

고은, 1950대 , 민음사, 1973.

8.

김교봉, 「한국전쟁기 장편소설연구 <영원히 사는 것>의 작가의식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31, 한국문학연구학회, 2007, 153~187쪽.

9.

김동윤, 「1950년대 신문소설연구」, 제주대 박사학위논문, 1999.

10.

김동춘, 전쟁과 사회 , 돌베개, 2006.

11.

김문수, 「한국전쟁기 소설 연구」,대구대 박사학위논문, 1997.

12.

김미향, 「1950년대 한국전쟁소설에 나타난 전쟁과 일상성의 상호침투 양상」,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2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481~505쪽.

13.

김영희, 「한국전쟁기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언론학보 54권 5호, 한국언론학회, 2010, 205~227쪽.

14.

김정, 「해방직후 반공이데올로기의 형성 과정」, 역사연구 제7호, 역사학연구소, 2000, 111~147쪽.

15.

김준현, 「전후 문학 장의 형성과 문예지」,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08.

16.

김현아, 전쟁의 기억, 기억의 전쟁 . 책갈피, 2002.

17.

김환봉, 「한국전쟁소설의 서사적 인식 연구」, 경남대 박사학위논문, 2009.

18.

대중문화연구회(편), 신문소설이란 무엇인가? , 국학자료원, 1996.

19.

문종호, 「1950년대 한국소설의 주제형상화 방법 연구」, 대구가톨릭대 박사학위논문, 2001.

20.

박병림, 한국 1950:전쟁과 평화 , 나남, 2002.

21.

박용찬, 「한국전쟁 전후(戰後) 문학 매체의 현황과 성격연구」, 어문논총 제50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09, 241~273쪽.

22.

서광운, 한국신문소설사 1880~1970 , 해돋이, 1993.

23.

서동수,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한국현대문학연구 20, 한국현대문학회, 2006, 79~110쪽.

24.

신경득, 한국전후소설연구 , 일지사, 1983.

25.

신영덕, 「한국전쟁기 종군작가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3.

26.

오카 마리, 기억․서사 , 소명출판사, 2004.

27.

우에노 치즈코, 내셔널리즘과 젠더 , 박종철 출판사, 1999.

28.

유임하, 「이데올로기의 억압과 공포-반공텍스트의 기원과 유통, 1950년대 소설의 왜곡-」, 현대소설연구 25, 한국소설학회, 2005, 55~75쪽.

29.

유임하, 한국 소설의 분단이야기 , 책세상, 2006

30.

유재일, 「한국전쟁과 반공이데올로기의 정착」, 역사비평 봄호, 1992, 139~150쪽.

31.

유철상, 「한국전쟁의 체험과 전후문학의 동시적 질서」, 현대소설연구 45, 한국소설학회, 2010, 35~60쪽.

32.

윤효녕, 주체개념의 비판 , 서울대출판부, 2003.

33.

이기윤, 「1950년대 한국소설의 전쟁체험 연구」, 인하대 박사학위논문, 1989.

34.

이봉범, 「1950년대 신문저널리즘과 문학」, 반교어문연구 제29집, 반교어문학회, 2010, 261~305쪽

35.

이봉범, 「1950년대 잡지저널리즘과 문학- 대중잡지를 중심으로」, 상허학보 30, 상허학회, 2010, 397~454쪽

36.

이봉범, 「반공주의와 검열 그리고 문학」, 상허학보 15, 상허학회, 2005, 49~98쪽.

37.

이봉일, 「전후소설과 이데올로기의 상관성 연구」, 경희대 박사학위논문, 2000.

38.

이상원, 「1950년대 한국전후소설 연구」, 부산대 박사학위논문, 1993.

39.

장은미, 「1950년대 한국 신문의 제도화와 남성적 재공간화 과정」,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2006.

40.

정지아, 「한국전쟁의 특수성이 한국 전후소설에 미친 영향」,중앙대 박사학위논문, 2011.

41.

최강민, 「서설: 문학제도와 정전의 계보학적 지형도 -해방 이후부터 1970년까지」,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편, 한국문학권력의 계보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04.

42.

최영석, 「1950년대 한국신문의 성격에 관한 연구」, 원우론집 16,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209~236쪽.

43.

한명환, 「한국전쟁기 대구경북지역 신문 연재 수기의 반공이데올로기 형성과정에 나타난 탈식민적 양상」, 로컬리티 인문학 6, 2011, 245~273쪽.

44.

한명환, 「한국전쟁기 신문소설의 발굴과 문학사적 의의-전시 대구경북지역 신문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 한국소설학회, 127~150쪽.

45.

한원영, 한국현대 신문연재소설연구 (下) , 국학자료원, 1999.

46.

홍석률, 「민족분단과 6․25전쟁에 대한 역사 인식」, 내일을 여는 역사 24호, 2006, 37~50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