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A Study on popularization of Journalism through Cartoon -Focusing on Cartoon Dong-A Ilbo and DongMyoung in the early 192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2, v.0 no.28, pp.123-155
https://doi.org/10.18856/jpn.2012..28.005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Cartoon that have flowed into the public Journalism, which the process is related to the analysis of the formation and popularization of planning. Cartoon become gradually through a Colonial-Chosun is to draw attention to the process. Cartoon was still poor in 1910's journalism. But widely on a variety of topics addressed, Colonial Chosun were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spectrum of Cartoon(Comics). Cartoon finally began to form in 1920's Colonial Chosun, because of it was expericece facing the Cartoon from 『Mailshinbo』 and ruled Japan's policy shift since 1919. Appointed as a journalist and journalism in the first "Caroon page" trackon in fixed in 1920 years, 『Dong-A Ilbo』. And it was that the 『DongMyoung』 reproduce and led to social problems with Cartoon. In this process, awareness of the colonial politics of intellectuals, led at the tind of Journalism, and how the regime formed in the process of forming public opinion through a newspaper and went to shows.

keywords
Cartoon, Comic, 『Dong-A Ilbo』, 『DongMyoung』 Image, Representation, 만화(카툰), 만평, 동아일보, 동명, 표상, 이미지, 순사

Reference

1.

동아일보 ,

2.

개벽 ,

3.

동명 ,

4.

조선일보 ,

5.

시대일보 ,

6.

매일신보 ,

7.

로저 새빈, 만화의 역사 , 글논그림밭, 2002.

8.

시미즈 이사오, 풍자만화로 보는 근대일본 , 소명출판, 2011.

9.

정진석, 한국언론사 , 나남, 1992.

10.

이승희, .1920년대 신문만평의 사회주의 정치와 문화적 효과., 상허학보 22집, 상허학회, 2008, 77-115쪽.

11.

서은영, .한국 ‘만화’ 용어에 대한 문제제기 및 제언., 인문콘텐츠 제 26호, 인문콘텐츠학회, 2012, 101-128쪽.

12.

서은영, .코믹스의 기획과 대중화-신문연재만화 <멍텅구리>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31,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273-304쪽.

13.

서은영, .근대 인쇄문화의 형성과 대한민보 ‘삽화’의 등장., 우리어문연구 제 44호, 우리어문학회, 2012, 541-572쪽.

14.

천정환, .소문·방문·신문·격문: 3·1운동 시기의 미디어와 주체성., 한국문학연구 36,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109-154쪽.

15.

박헌호, .‘문화정치’期 신문의 위상과 反-檢閱의 내적논리- 1920년대 민간지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50호, 대동문화연구원, 2005, 199-259쪽.

16.

박용규, .1920년대 중반(1924-1927)의 신문과 민족운동-민족주의 좌파의 활동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 9권 4호, 2009, 277-312쪽.

17.

이혜령, .1920년대 동아일보 학예면의 형성과정과 문학의 위치., 대동문화연구 52호, 대동문화연구원, 2005, 95-133쪽.

18.

김대환, .사이토 총독의 문화정치와 경성일보., 경주대학교 논문집 17호, 2004,203-227쪽.

19.

장 신, .1922년 잡지 新天地 筆禍事件 연구., 역사문제연구 제 13호, 역사문제연구소, 2005, 319-347쪽.

20.

이경돈, .1920년대초 민족의식의 전환과 미디어의 역할- 개벽 과 동명 을 중심으로., 史林 23호, 수선사학회, 2005, 27-59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