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이 작가와 동일시되는 웹툰(Webtoon)은 개인의 일상생활과 사적인 체험을 재현한다. 이는 자아의 감각적인 감수성을 중심으로 하는 서사 세계를 보여주는데, 이러한 작품군이 주류로 성장한 경우는 한국 만화사에서 유래가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웹툰은 단순히 만화를 웹 연재로 바꿔놓은 것이 아니며, 그 서사성은 기존 만화와 변별적인 지점에서 재규명되어야 한다. 웹툰의 발생과 발전을 반영하는 자기 재현적 웹툰은 외부 사회와 이데올로기가 아닌, 개성적이고 개인적인 인간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작은 이야기’의 담론을 형성한다. 20세기 한국의 서사 문화를 지배해왔던 것은 거대 담론의 압력이었지만, 이러한 서사 담론이 변화하여 일상적 개인의 가치를 복원하는 미시 서사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웹툰은 이러한 ‘작은 이야기’의 수용이 디지털 패러다임 속에서 발현된 것으로, 개인 재현의 담론 속에 역사적이고 정치적인 정체성에서 자유로운 ‘자기’를 제시하고, 그러한 개인들의 상호 소통이 실천될 때 생활의 진실이 표현될 수 있다는 의식을 구현한다.
In Self-Expressive webtoon, main character is regarded as real author through its realistic representation of daily life and private issues. This can lead to ego-centric narrative world which emphasizes on individual-self and excludes social relations around the ego. This study looks into the webtoon compared to tradition of Korean literary culture. In Korea, Macro history and nationalism constituted the dominant discourse in narrative- culture. In contrast, webtoon depicts personal stories which is free from major ideologies and social pressure. For that reason, the Self-Representative webtoon embodies thematic idea of unique individuality and personalism, creating a phenomenal trend which is unparalleled in Korean cartoon history. Therefore, Webtoon is new media which is distinct from pre-existing cartoon, and its narrativity and characteristic has to be analyzed from different point of view.
고필헌(메가쑈킹), <탐구생활>, 2007-2010.
권윤주(스노우캣), <스노우캣>, 2000-.
김석현(루드비코), <루드비코의 만화일기>, 2013.
김진, <나이스진타임>, 2008-2010.
서나래(낢), <낢이 사는 이야기>, 2004-.
웹툰작가, <고(故)노무현 前대통령 추모웹툰>, 2009.
이주희(네온비), <결혼해도 똑같네>, 2012-2013.
전용식(가스파드), <선천적 얼간이들>, 2012-2013.
정철연(성게군), <마린블루스>, 2001-2007.
신정우, 「온라인과 눈맞은 만화 ‘신바람’」, 주간조선 , 2005.12.20.
박민주, 「불모지 미국 웹툰 시장 선도할 것」, 서울경제 , 2013.4.14.
강인숙, 일본 모더니즘 소설 연구 , 생각의나무, 2006.
김성은, 「웹툰의 사회적 일상성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김종길·박수호, 「디지털 사회의 일상성 탐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제12호, 2010, 611-622쪽.
김지연·오영재, 「웹툰에 있어서 서사구조에 따른 공간활용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0권, 한국영상학회, 2012, 127-142쪽.
김진량, 「디지털 서사체의 재현 전략과 서사장」, 문학과 영상 제6권 1호, 문학과영상학회, 2005, 173-196쪽.
민서정, 「시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미시적 서사 표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석사학위논문, 2012.
박석환, 「웹툰 산업의 실태와 문제점」, 디지털콘텐츠와 문화정책 제4호, 문화비즈니스연구소, 2009, 123-158쪽.
박인하·김낙호, 한국현대만화사 , 두보CMC, 2012.
방민호, 「일본의 사소설과 한국의 자전적 소설의 비교」,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1집, 한국현대문학회, 2010, 35-84쪽.
백은지, 「웹툰 만화연출 연구 : 웹코믹스 대표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만화영상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
송요셉, 「웹툰의 현황 및 특성과 웹툰 기반 OSMU 활성화 방안」, 코카포커스 제57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신승엽, 민족문학을 넘어서 , 소명, 2000.
안영희, 일본의 사소설 , 살림, 2006.
윤기헌, 「출판만화와 웹툰의 형식적 특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윤혜영, 「강도하 웹툰 <세브리깡>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14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0, 41-67쪽.
이근, 「과거는 외국 : 20세기의 거대담론은 21세기 한국의 국가이익을 증진시키는가?」, 사상 제49호, 사회과학원, 2001, 143-160쪽.
이미원·손진책·위성신·박혜선·손상원·장혜전·이진아, 「기획좌담 : 오늘, 대학로 연극을 말한다 -미시서사의 “작은 연극”, “일상극” 혹은 “소극장연극”」, 연극평론 , 통권 제53호,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09, 6-33쪽.
이승진, 「만화를 기반으로 한 융합콘텐츠 모델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20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90-111쪽.
이왕주, 「거대 서사에 대한 저항 전략으로서의 작은 이야기」, 철학논총 제31집, 새한철학회, 2003, 299-314쪽.
이용욱, 「디지털 서사체의 미학적 구조(4) : 웹툰의 아이러니 서사전략」, 비평문학 제34호, 한국비평문학회, 2009, 213-233쪽.
임혜선, 「강풀의 웹툰 「순정만화」 스토리텔링 연구」, 단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장은영, 「르네 지라르의 욕망이론으로 본 양영순의 천일야화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25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1, 133-154쪽.
전정화, 「일기 형식 웹툰의 특성 및 발전 방향 연구」, 경희대학교 디자인교육과 석사학위논문, 2007.
전학근, 「현진건과 욱달부의 일본 사소설 수용양상 비교연구」, 아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최수완, 「한국 웹툰의 문학성」, 이화어문론집 제24·25합본집, 이화어문학회, 2007, 403-423쪽.
한상정, 「강풀의 ‘조명가게’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 분석」, 대중서사연구 제28호, 대중서사학회, 2012, 363-386쪽,
한창완, 만화의 문화 정치와 산업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한창완, 「디지털만화의 융합화가 갖는 만화장르의 사회문화적 대안성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9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1, 182-197쪽.
한창완·홍난지, 「웹툰의 영화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웹툰 <이끼>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2호, 한국콘텐츠학회, 2011, 186-194쪽.
홍지원, 「디지털 환경하에서 이미지 전략 방안」 디자인학연구 제33호, 한국디자인학회, 1999, 327-337쪽.
이토 세이, 이기형 역, 소설의 방법과 인식 , 진성사, 1998.
이토 세이, 고재석 역, 近代 日本人의 발상형식 , 소화, 1996.
스즈키 토미, 한일문학연구회 역, 이야기된 자기 , 생각의나무, 2004.
Lyotard, Jean François, 유정완·이삼출·민승기 역, 포스트모던의 조건 , 민음사, 1992.
McCloud, Scott, 김낙호 역, 만화의 이해 , 비즈앤비즈, 2008.
Hernadi, Paul, “Literary Theory: The Compass for Critics”, Critical Inquiry, Vol.3,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1976, pp.369-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