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게임화’로 구축된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게임적 리얼리즘

'Gamification' and 'Gamic Realism' on Televisio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3, v.0 no.30, pp.323-363
https://doi.org/10.18856/jpn.2013..30.010
원용진 (서강대학교)
강신규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에서는 게임화(gamification) 측면에서 텔레비전의 리얼 버라이어티 쇼를 바라보고자 한다. 얼핏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리얼리티’와 ‘가상의’ 게임은 함께 만날 수 없는 개념처럼 보인다. 그러나 일본의 문학평론가이자 문화비평가인 아즈마 히로키(東浩紀)는 이 섞일 수 없을 것 같은 둘을 ‘게임적 리얼리즘’이라는 개념으로 엮을 수 있게 돕는다. 이 글에서는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을 게임적 리얼리즘으로 간주하고, 그러한 게임적 리얼리즘에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위치시킴으로써 최근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쇼의 게임화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관찰하고자 하는 리얼 버라이어티 쇼는 SBS의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이다. 분석을 통해 첫째, 게임화와 게임적 리얼리즘이 무엇이고, 그것이 가져온 변화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게임적 리얼리즘이 리얼 버라이어티 쇼와 만나고 있으며 게임적 리얼리즘을 통해 리얼 버라이어티 쇼로부터 수용자들은 재미를 얻어내고 있었음을 찾을 수 있었다. 셋째,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게임화, 그리고 게임적 리얼리즘을 통한 즐거움, 재미가 갖는 이 시대적 의미를 정리해보았다. 분석한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쇼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캐릭터 형성, 데이터 베이스에 맞춘 게임적 리얼리즘에 입각해 있었으며 수용자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즐거움을 얻고 있었다. 컴퓨터 게임에서 얻는 즐거움을 텔레비전 리얼 버라이어티 수용자들도 얻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 같은 결론을 기반으로 게임화가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서도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 결과를 놓고 텔레비전은 수용자에게 능동성을 제공하고, 다양함을 선사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게임적 리얼리즘에 동의하지 않으면 아예 쇼를 이해하거나 재미를 얻지 못하게 막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었던 것으로 해석했다.

keywords
게임화, 리얼 버라이어티 쇼, 게임적 리얼리즘, 데이터베이스 모델, Gamification, Gamic Realism, <Running Man>, TV Real Variety Show

Abstract

A television real variety show, <Running Man> on SBS, is enjoying a big popularity among children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School children are not only regularly watching the show but mimicking performances of the celebrities on the show during their own playground games. We assume that the popularity of the show among younger viewers is closely associated with computer games. Referring to 'Gamification', we suggest that the television show import and appropriate logics from computer games and take advantage of 'Gamic Realism'. Television becomes closely to move toward computer games and to utilize their logics. Thus viewers tend to regard television watching as game playing and to feel like to have Gamic Realism. We tentatively conclude that television gamifies the show and asks the viewers to follow the show as if they are playing computer games. It follows that the show, <Running Man>, provides its viewers with Gamic Realism through Gamification. For the gamification, the show gives celebrities a certain type of character. All celebrities on the show are accumulating and constructing database on the basis of their past activities shown on other episodes, and their own real personality.

keywords
게임화, 리얼 버라이어티 쇼, 게임적 리얼리즘, 데이터베이스 모델, Gamification, Gamic Realism, <Running Man>, TV Real Variety Show

참고문헌

1.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143회~152회(2013. 4. 28 ~ 6. 30)

2.

김남일, 「텔레비전 오락 프로그램에서 웃음유발의 정치성」, 한국방송학보 22(6), 2008, 9~41쪽.

3.

김미라,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재미 유발 기제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67, 2008, 143~168쪽.

4.

김지연·허철, 「텔레비전을 통한 정치적 패러디」, 언론과학연구 10(2), 2010, 221~259쪽.

5.

류재형,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내러티브 구성 원칙을 통해 본 <남자의 자격: 남자 그리고 하모니>」, 언론학연구 15(2), 2011, 77~111쪽.

6.

문강형준, 「<무한도전>과 신자유주의」, 문화과학 52, 2007, 377~387쪽.

7.

옥민혜·박동숙, 「‘오락적 현실감’ 작동 방식과 상호텍스트성」, 미디어, 젠더 & 문화 14, 2010, 73~109쪽.

8.

이경숙·조경진, 「오락프로그램에 차용된 리얼리티와 경쟁의 조합」,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1), 2010, 89~119쪽.

9.

이희승, 「지상파 리얼 버라이어티의 한국 지역적 특징과 수용의 쾌락」, 언론과학연구 11(3), 2011, 207~237쪽.

10.

이희은,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언론과 사회 19(2), 2011, 2~48쪽.

11.

정수영, 「TV 영상자막의 특징 및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3(6), 2009, 153~176쪽.

12.

채희상, 「영화의 게임성 연구: 영화와 디지털 게임의 상호매체적 관계맺기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3.

최성민, 「대중 매체 텍스트의 리얼리티 문제 연구: TV 프로그램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18, 2010, 125~146쪽.

14.

최성민, 「대중음악을 활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서사 전략: <슈퍼스타K>, <나는 가수다>, <무한도전>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6, 2011, 337~364쪽.

15.

최철웅, 「누가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두려워하는가?」, 문화과학 53, 2008, 372~381쪽.

16.

홍지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 담론」, 한국방송학보 23(2), 2009, 567~608쪽.

17.

강신규, 「텔레비전 포비아와 게임 포비아」, 강신규 외, 게임 포비아 ,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4~66쪽.

18.

박근서, 게임하기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9.

아즈마 히로키(東浩紀), 이은미 역,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 오타쿠에서 본 일본사회 , 문학동네, 2007.

20.

아즈마 히로키(東浩紀), 장이지 역, 게임적 리얼리즘의 탄생 –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2 , 현실문화연구, 2012.

21.

이노우에 아키토(井上明人), 이용택 역, 게임 경제학 , 스펙트럼북스, 2012.

22.

후카다 코지(深田浩嗣), 김훈 역, 소셜게임과 게이미피케이션으로 승부하라 , 비즈앤비즈, 2012.

23.

J. Radoff, 박기성 역, Gamification & 소셜게임: 모든 비즈니스를 게임화하라 , 에이콘, 2011.

24.

강석봉, 「‘일요일이 좋다 1부 – 런닝맨’ 시청률 상승세」, 스포츠경향 , 2011. 10. 31. [Online] Available: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110310827354&sec_id=540101&pt=nv

25.

김명은, 「‘런닝맨’ 유아부터 40대까지 잡았다! 그러나 50대 이상 ‘1박2일’에 못 이겨」, 스포츠조선 , 2012. 6. 15. [Online] Available: http://sports.chosun.com/news/news.htm?id=201206160100122820009015&ServiceDate=20120615

26.

김숙희, 「런닝맨 아랍 자막까지? 해외 인기 입증 ‘대단’」, 한국일보 , 2012. 5. 30. [Online] Available: http://reviewstar.hankooki.com/Article/ArticleView.php?WEB_GSNO=10043649

27.

김영환, 「‘런닝맨 놀이’까지… <런닝맨>, 10대와 달린다」, 이데일리 , 2011. 9. 27. [Online] Available: http://starin.edaily.co.kr/news/NewsRead.edy?newsid=01128326596384384

28.

닥터콜, 「런닝맨, 한류스타 부럽지 않은 국외 인기 비결은?」, 미디어스 , 2013. 2. 7. [Online] Available: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8

29.

윤가이, 「‘런닝맨’ 조효진PD “재석은 천재, 광수는 양념” [와이드 인터뷰 ①]」, OSEN , 2013. 1. 27. [Online] Available: http://osen.mt.co.kr/article/G1109533391

30.

조현정, 「지상파 3사, 하반기 파일럿 예능프로그램 기싸움 치열」, 스포츠서울 , 2013. 8. 7. [Online] Available: http://news.sportsseoul.com/read/entertain/1220466.htm

31.

정철운, 「[인터뷰]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조효진 PD - “오늘도 ‘유르스윌리스’와 달린다”」, PD저널 , 2011. 9. 28. [Online] Available: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 View.html?idxno=32750

32.

한국갤럽, 「요즘 가장 좋아하는 TV프로그램은? - 2013년 10월」, 2013. 10. 30. [Online]Available: http://panel.gallup.co.kr/Contents/GallupReport/한국갤럽GallupReport (20131030)_한국인이좋아하는TV프로그램(2013년10월).pdf

33.

SBS <일요일이 좋다 - 런닝맨> 공식 홈페이지(http://runningman.sbs.co.kr)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