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이효석 소설의 할리우드 표상과유럽 영화라는 상상의 공동체

The Hollywood Representations and Imaginative Association with European Film in Lee, Hyo-suk’s Novel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3, v.0 no.30, pp.469-504
https://doi.org/10.18856/jpn.2013..30.014
전우형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study locates the mutual negotiation of literature and film in the colonial era of Chosun in intertextuality between two media, not in the ways in which one medium emulates the specificities of the other. Through a close reading of the specific cinematic quotations in Lee Hoy-Suk’s novels, this study explores how Lee’s perception of the Hollywood films affects his bent for the European films. Ultimately, this is an essay on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 of the Hollywood representations in Chosun literature of the colonial era. The Hollywood film quoted in Lee’s novels connote the commodified sexuality or sexual desire itself, that is, a commodity serving to colonize what is European. The metaphor of the apple that frequents in Lee’s novels such as Orion and Apple and Juriya(1933) can be traced back to Morocco, a 1930 Hollywood film. “The philosophy of apple” championed by the women in these novels is nothing more than the philosophy of market, speaking to the ways in which their sexualities are misused and appropriated by capitalism. The apple even serves as a metaphor for the world dominated by Hollywood, evoking the pity for the European film devastatingly colonized by the Hollywood film industry. Lee’s admiration of Pépé le Moko(1937), a French film, in his novel, Yeosu(1939), is predicated on his “imaginative” association of Hollywood with the other, not so much as attesting to his European style. However, Lee’s negative perception of the Hollywood films and counterpart predilection for the European films are problematic due to his neglige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Chosun and Europe. Lee’s lop-sided attitude towards Hollywood and Europe is more problematic in that this kind of attitude is still effective in the present.

keywords
식민지 조선, 이효석, 할리우드, 유럽영화, Morocco<모로코>(1930), <망향> (1937), Pépé le Moko<망향>(1937), 「오리온과 능금」(1932), 「주리야」(1933), 「여수」(1939), Colonial Chosun, Lee Hyo-Suk, Hollywood, European film, Morocco, Pépé le Moko, Orion and Apple, Juriya, Yeosu

참고문헌

1.

새롭게 완성한 이효석전집 , 창미사, 2003.

2.

구인모, 「근대기 멜로드라마 서사 형성의 한 장면」, 한국민족문화 48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3~31쪽.

3.

김승구, 식민지 조선의 또다른 이름, 시네마 천국 , 책과함께, 2012.

4.

김재영, 「‘구라파주의’의 형식으로서의 소설_ 이효석 작품에 나타난 서양문화의 인유에 대하여」, 이효석 문학의 재인식 , 소명출판, 2012, 71~102쪽.

5.

김호영, 프랑스 영화의 이해 , 연극과 인간, 2003.

6.

방민호, 「이효석 소설 「여수」와 영화 <망향>」, 문학의 오늘 , 2012 가을, 372~382쪽.

7.

백문임, 「감상(鑑賞)의 시대, 조선의 미국 연속영화」, 사이 14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5, 213~264쪽.

8.

유선영, 「황색 식민지의 서양영화 관람과 소비실천, 1934~1942」, 언론과 사회 13권 2호, 2005,봄, 7~62쪽.

9.

이상면, 「유럽 영화와 할리우드의 관계」, 서강커뮤니케이션즈 3, 2002, 189~209쪽.

10.

이상면, 「영화와 문화적 정체성의 관계」, 문화경제연구 7권2호, 한국문화경제학회, 2004, 41~61쪽.

11.

이화진,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소리’의 문화정치」, 연세대 박사학위, 2011.

12.

전우형, 「구보와 카메라 눈(kinoglaz), 다큐멘터리 형식의 실험」, 구보학보 6집, 2010, 101~123쪽.

13.

전우형, 「이상 소설의 영화적 제휴 양상과 의미_소설 「실화」의 환술과 스크린 이미지」, 한국현대문학연구 33집, 2011,4, 249~273쪽.

14.

정여울, 「이효석 텍스트의 공간적 표상과 미의식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2012.

15.

조고운, 「이효석 소설의 ‘디아스포라 의식’ 연구」, 서강대 석사학위, 2009.

16.

한수영, 「정치적 인간과 성적(性的) 인간_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성(性)’의 재해석」, 이효석 문학의 재인식 , 소명출판, 2012, 137~176쪽.

17.

호시노 유우코, 「‘경성인’의 형성과 근대 영화산업 전개의 상호 연관성 연구 : <경성일보>와 <매일신보>에 나타난 영화 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 2012.

18.

Altman, R., “Cinema and Genre”, ed. by G. Nowell-Smith, 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Oxford:Oxford Univ. Press, 1996.

19.

Ranciere, J., 주형일 역, 미학 안의 불편함 , 인간사랑, 2008.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