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동성애의 다문화적 인식에 나타난 타자성 고찰-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 동성애 소재가나타난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Multi- cultural recognition of homosexuality in the study appeared otherness - The late 1990s - early 2000s, homosexuality motives ln short storie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3, v.0 no.30, pp.505-537
https://doi.org/10.18856/jpn.2013..30.015
임은희 (한양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In this paper, by the late 1990s, early 2000s, gay novel of the table to note the cultural discourse that has been noted with homosexuality and sexual identity a ‘difference’ you’re considering coming out of a small number of subjects is that the gay community has been highlighted by. These multicultural era not protected by the state law or ‘minority’ is Badiou conceptualized in terms of a ‘stranger’ can be added to . The philosophical basis for contemporary cultural discourse, especially Taylor’s “recognition” on the basis that when the politics of the minority groups ‘recognition’ of Korea is in the process of cultural awareness has been reflected with what appeared in the Korea Society ‘as a homosexuality stranger’ is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the . Many minority and the ‘recognition’ to ‘false’ one may wish to consider Zizek’s resistance to the point of is not the type of subject minorities, homosexuals ‘recognize’ the process ‘pity , disgust, fear’ could be classified as the eye . Pity / disgust , fear = acceptance / rejection of the eye can be considered a wake two minutes , but the eyes ‘gaze fantastic subject’s narcissism ever’ based on the ‘type’ of Zizek in that it recognizes the “false illusion” resistance is red eyes can be come up with . This is because the illusion of narcissism ever subject to switch to ethical ideals abstract universality of violence against others , which soon lead to a discussion of Butler reflects that . Narcissism ever performed by the subject judge and others to recognize themselves in the act to determine the type of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the subject 's just at this point and kill the otherness of the other murder he says. Thus, by focusing on the logic of the identity of the speaker normal / abnormal dichotomy of the hierarchy by a mechanism of exclusion by the homosexual minority ‘betrayal and overthrow and exile’ in the course of “Pagan, patriarchy as regression instrumentation, the monster as” to note tand that the analysis can be repeated

keywords
homosexuality, multi-cultural awareness, otherness, a false illusion, compassion, fear, hate, the illusion of narcissism subject, 동성애, 다문화적 인식, 타자성, 거짓환상, 연민, 공포, 혐오, 나르시시즘적 주체의 환상

참고문헌

1.

강석경, 「나는 너무 멀리 왔을까」, 2001년 제8회 21세기 문학상 수상작품집 , 도서출판 ISU.2001.

2.

박상우, 「붉은 달이 뜨는 풍경」, 21세기 문학상 수상작품집 , 2000.

3.

송경아, 「송어와 은어」, 1994.

4.

신경숙, 「딸기밭」, 딸기밭 , 문학과 지성사, 2000.

5.

이응준, 「이교도의 풍경」, 내 여자친구의 장례식 , 문학동네, 1999,

6.

전경린, 「다섯 번째 질서와 여섯 번째 질서 사이에 세워진 목조 마네킹 헥토르와 안드로마케」, 물의 정거장 , 문학동네, 2003.

7.

최윤 ,「하나코는 없다」, 1994년 한국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 1994.

8.

하성란,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 「푸른 수염의 첫 번째 아내」, 창작과 비평사, 2002.

9.

가야트리 스피박, 문학이론연구회 옮김, 경계선 넘기-새로운 문학연구의 모색 , 인간사랑, 2008.

10.

가야트리 스피박, 태혜숙 박미선 옮김, 포스트 식민 이성비판 : 사라져가는 현재의 역사를 위하여 , 갈무리, 2005.

11.

미셀푸코, 이규현 역, 성의 역사 , 나남, 1997.

12.

미셀푸코, 박정자 역, 비정상인들 , 동문선, 2001.

13.

Myers Tony, 박정수 옮김, 누가 슬라보에 지젝을 미워하는가? 앨피, 2005.

14.

송현호, 「다문화 사회의 서사유형과 서사전력에 관한 연구」, 현대소설연구 44집, 현대소설학회, 2010, 171~200쪽.

15.

수잔 손택, 이재원 역, 타인의 고통 , 이후, 2004.

16.

슬라보에 지젝, 이성민 옮김, 까다로운 주체 , 도서출판 b, 2008.

17.

이성희, 「이광수 초기 단편에 나타난 ‘동성애’고찰」, 관악어문연구 제30집, 2005, 12, 267~89쪽.

18.

임옥희 조롱과 우울의 철학, 주디스 버틀러 읽기 , 도서출판 여이연, 2006.

19.

임은희, 「탈주하는 성, 한국현대소설:1910~20년대 소설의 동성애적 모티프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4, 2010, 231~57쪽.

20.

오경석 외 지음,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 한울 아카데미, 2007.

21.

조셉 브리스토우, 이연정·공성희 역, 섹슈얼리티 , 한나래, 2000.

22.

줄리아 크리스테바, 서민원 역, 공포의 권력 ,동문선.

23.

서동진, 누가 성정치학을 두려워하랴 , 문예마당, 1996.

24.

제라르 쥬네뜨, 권택영 역, 서사담론 , 교보문고, 1992.

25.

제프리 왁스, 서동진․채규형 역, 섹슈얼리티:성의 정치 , 현실문화연구, 1997.

26.

죠르쥬 깡길렘, 여인석 옮김,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 인간사랑, 1996.

27.

호미바바, 나병철 역, 문화의 위치 , 소명출판사, 2002.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