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의의 목적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인 <정글의 법칙>의 리얼리티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조작 논란이 불거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정글의 법칙>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접근하는 데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큰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나 본고에서 논의하려는 리얼리티 효과는 프랑스의 기호학자 롤랑 바르트가 정의한 상세하고도 긴 묘사가 제공하는 사실주의적 동기보다는 좀 더 넓은 의미를 지칭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효과란 리얼함의 환각을 구성하고 재현하는 텔레비전의 장치들이 수용자에게 발생시키는 몰입의 시청 경험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정글의 법칙>에서 리얼한 환각을 주기 위해 어떠한 재현의 구조와 시청각적 스타일이 활용되고 있는가? 그리고 그와 연관되어 드러난 다른 사람의 실제 삶에 대해 다양한 층위에서 접근하고 있는 시청자의 보기 행위는 어떤 리얼함의 감각을 지니는가? 등의 질문들이 본 논문에서 논의하려는 핵심적 실체다. 다종다양한 리얼리즘의 스펙트럼이 존재하지만 본고는 시청자의 시공간에로의 몰입, 등장인물에로의 몰입과 관련된 환각주의의 모델을 따라 리얼함의 감각을 리얼리티 프로그램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에서 섬세하게 재구해 볼 것이다. <정글의 법칙> 같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함의 잣대는 현전의 아우라, 믿을만한 자율적인 독립적 리얼리티를 얼마만큼 화면 속에 창조할 수 있는가에 달렸다. 하여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함의 환각주의적 모델은 관객과 배우의 관습적 약속에 의해 실제 무대 위 시공간과 인물을 드라마 속 시공간과 인물로 믿어버리는 연극적 환각과 너무나도 닮아 있다. 이 논문에서 리얼리티 텔레비전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의 재현적 현실을 연행되는(performing) 현실로서 전제하고 그것의 오락적, 다큐적 기능에 관한 논의를 전개한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결과적으로 <정글의 법칙 : 아프리카 편>의 리얼리티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본고의 논의는 리얼리티 TV 속 연행되는 현실에 관한 논의의 하나의 사례로서 리얼리티 텔레비전 연구에 기여할 것이라 본다. 더 나아가 허구적 텔레비전 드라마에 초점을 맞추어왔던 영상 문학 연구 경향에도 텔레비전 문화 연구에 대한 학문적 자극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서 본고는 의의를 가질 것이다.
This paper's aim is to study the reality effect of reality TV The Law of The Jungle. As we know from its recent fake controversy, The Law of The Jungle is a very suggestive program to approach reality television, In particular, the reality effect in this paper means a more broader concept than the reality effect by the French semiologist Roland Barthes, which is defined as a detailed and long description, resulting in realistic motivation. This paper defines the reality television's reality effect as immersive viewing experience that television brings out to viewers, constructing and representing illusion of reality. In The Law of The Jungle, how are a represen- tative structure and audiovisual style used to provide illusion of reality? And how real are viewers' watching experience that approaches others' real lives in various layers? These questions are this paper's issues. When we discuss realism, a dictionary may provide many definitions for the word reality. But this paper discusses a sense of the real about The Law of The Jungle, according to illusive reality concept that puts emphasis on immersive viewing experience to space, time, and characters. The real world of reality tv such as The Law of The Jungle depends on how to create presence and aura of a reality independent the so-called external world. Therefore, because the illusive reality of reality tv is quite similar to theatrical illusions that audiences regard a real space, time, and people as a dramatic space, time, and characters by the conventions of the theater, this paper defines The Law of The Jungle's representative reality as performing reality, and, will discuss its entertainment and documentary functions. As a result, through analysing the reality effect of reality TV The Law of The Jungle,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reality television study as a case study about performing the real in reality tv. In addition, this paper will provide a academic stimulus for image literature study concentrating on a fictional drama.
http://wizard2.sbs.co.kr/w3/template/tp1_review_list.jsp?vVodId=V0000353336&vProgId=1000730&vMenuId=1015707
동아일보
김미라, 「리얼버라이어티쇼의 재미유발기제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 제7호, 한국방송학회, 2008. 143~168쪽.
김예란, 박주연,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한국방송학보 , 제20-3호, 한국방송학회, 2006, 7~48쪽.
박인규, 「다큐멘터리의 사실성과 장르 변형」, 현상과 인식 제30권, 12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6, 148~170쪽.
이경숙, 「혼종적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포섭된 ‘이산인’의정체성」, 한국방송학보 , 제20-3호, 한국방송학회, 2006, 239~276쪽.
주현식,「텔레비전 드라마 <싸인>의 시작 방식과 연행성」, 대중서사연구 25호, 대중서사학회, 2011, 313~341쪽.
홍숙영,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한국 콘텐츠 학회 논문지 , 제10권3호, 한국콘텐츠학회, 2010. 202-212쪽.
홍지아, 「리얼리티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낭만적 사랑의담론」, 한국방송학보 , 제3-2호, 한국방송학회, 2009, 567~608쪽.
Corner, John, "Performing the real ; documentary diversions" In Murray, Susan and Ouellette, Laurie, ed, Reality TV: Remaking Television Culture. New York University Press, pp. 44~64.
Couldry, Nick, “Teaching us to fake it: the ritualized norms of television's "reality" games” In Murray, Susan and Ouellette, Laurie, ed, Op.cit., pp. 57~74.
Freeland, Cynthia, "Ordinary horror on reality TV" In Ryan, Marie-Laure, ed, Narrative across Media: The Languages of Storytelling,,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4, pp. 244~246.
Friedman, James, “Attraction to distraction: live television and the public sphere”, In Friedman, James, ed, Reality squared : televisual discourse on the real, Rutgers University Press, 2002, pp. 138~154.
Gennep, Arnold Van, "The Territorial Passage", In Auslander, Philip, ed, Performance: critical concepts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Ⅰ, 2003, pp. 27~35.
Hedges, Carolyn Davis, Performing the Self: Character Agency and Impression Management within the Narrative of Survivor: Samoa, Syracuse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1.
Kavka, Misha and West, Amy, “Temporalities of the Real: Conceptualising time in Reality TV.” In Holmes, Su and Jermyn, Deborah, eds, Understanding Reality Television. Routledge, 2004, pp.136~153.
Murray, Susan and Ouellette, Laurie, “Introduction" In Murray, Susan and Ouellette, Laurie, ed, Op.cit., pp. 1~20.
Pandian, Anand, “Authenticity of the Wilderness: Surviving with Bear Grylls and Les Stroud” In http://www.jhu.edu/anthmedia/Projects/wilderness/index.html.
Ryan, Marie-Laure, "From The Truman Show to Survivor: Narrative versus Reality in Fake and Real Reality TV," Intensities: Journal of Cult Media, 2, 2001, pp. 1~13.
Vrooman, Steven S., "Self-Help for Savages: The "Other" Survivor, Primitivism, and the Construction of American Identity", In Smith, Matthew J. and Wood, Andrew F., eds, Survivor Lessons: Essays on Communication and Reality Television, McFarland & Company, 2003, pp. 182~198.
Biressi, Anita, Reality TV: realism and revelation, Wallflower Press, 2005.
Barthes, Roland, tr, Howard, Richard, The rustle of langu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Butler, Jeremy G., Television: critical methods and applic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2.
Clifford, James 저, 이기우 역, 문화를 쓴다 , 한국문화사, 2000,
Dovey, Jon. Freakshow: first person media and factual television, Pluto Press, 2000.
Goffman, Erving,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Doubleday, 1959.
Maffesoli, Michel, tr, Smith, Don, The time of the tribes: the decline of individualism in mass sociaty, Sage Pulishing, 1996.
Ryan, Marie-Laure, Narrative as virtual reality: immersion and interactivity in literature and electronic media, Johns Hopkins Univ. Press, 2001.
Ryan, Marie-Laure, Avatars of Stor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6.
Schechner, Richard, Performance studies:an introduction, Routledge,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