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The Military-Civilian Cooperation and Film Exhibition Practices: “Military Movie Theaters” in Gwangwon-do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4, v.20 no.1, pp.239-272
https://doi.org/10.18856/jpn.2014.20.1.008

Abstract

This historical examination of film exhibition practices investigates “military movie theaters” in non-urban areas of Gwangwon-do in northeastern Korea. Gwangwon-do contained a few cities and many rural areas, isolated by mountains; thus, its rural inhabitants had little access to urban movie theaters. In several parts of this region, massive military camps were established near the DMZ, the military border with North Korea. In these camps, the army’s corps set up several military movie theaters from 1959 to the mid-1970s,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U.S. military. This paper explores three dimensions of the military movie theater. First, I examine the management of the movie theaters, including their openings, functions, roles, and audiences. Second, I look at the movie theaters in the contexts of the film industry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rd, I study the meaning of the movie theaters in the contexts of society and the Cold War. As part of my study, I analyze written documents published by a film studies organization, oral testimonies from people involved in the movie theaters, and the Seoul and Gwangwon-do daily newspapers from the post-Korean War period. I conclude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of the military movie theaters did not differ from urban ones that were more profit oriented. The films and the audiences of both types of theaters were quite similar. Propaganda and commercial films were screened for soldiers and rural civilians, including female prostitutes, at the military camps. Second, the movie theaters functioned as arenas for government policies by showing propaganda films and, at the same time, as substitute places for urban culture, which the rural people had not experienced because of the inaccessibility of mass media. Third, they provided entertainment for soldiers and their families. However, the movie theaters also earned profits for each army corps, since they showed commercial films to the civilians in their regions. Finally, the military movie theaters resulted in the eventual disappearance of temporary movie theaters and mobile film units in rural communities, leading to the reconstruction of film exhibition practices in non-urban areas. Accordingly, the movie theaters diffused culture and shaped public opinion by unifying the channels of film exhibition in many rural areas of Gwangwon-do.

keywords
강원도, 영화 상영, 극장, 군인극장, 군부대, 순업, 냉전, 지역성, 성매매 여성, 철원군, 화천군, 인제군, 양구군, 고성군, 오락시설, 극장문화, 문화관, 문화원, Gangwon-do, Film Exhibition, Movie Theater, Military Movie Theater, Military Camp, Mobile Film Unit, Cold War, Locality, Prostituted Woman, Cheorwon-gun, Hwacheon-gun, Inje-gun, Yanggu-gun, Goseong-gun, Recreation Facilities, Movie Theater Culture, Munhwakwan, Cultural Center

Reference

1.

강원도, 강원도사 1: 자연・인문환경 , 강원도사편찬위원회, 2010.

2.

강원일보사, 강원일보사십년사 , 1985.

3.

공보부 조사국, 전국시도 공보과(계)・전국공보관 문화원・전국농촌 문고 실태조사보고서 1961년 10월 1일 현재, 1961.

4.

국가기록원 http://mospa.go.kr

5.

국군홍보관리소 편, 군영화사십년사 , 국군홍보관리소, 1992.

6.

국제영화사, 1970 영화연예연감 , 1969.

7.

김기제 편, 한국연예대감 , 성영문화사, 1962.

8.

원주문화원향토지편찬위원회 편저, 원주원성향토지 , 원주문화원, 1976.

9.

육군기록정보관리단 기록

10.

이상학 저, 강원도지 , 동서문화사, 단기 4289(1956).

11.

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자료편람: 초창기~1976년 , 영화진흥공사, 1977.

12.

한국문화원연합회 편, 한국의 문화원 , 한국문화원연합회, 1974.

1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

14.

한국영화진흥공사, 한국영화연감 1977 , 1978.

15.

「군인극장 개관」, 조선일보 , 1958.1.3., 석7면.

16.

「군인극장신설 각군단소재지에」, 동아일보 , 1959.7.30., 석3면.

17.

「군인극장이 불응. 학교 주변 환경 정리에」, 조선일보 , 1959.2.12., 4면.

18.

「군인극장 위안회성황」, 강원일보 , 1958.5.7., 2면.

19.

「귀순환영대회」, 강원일보 , 1959.6.17., 2면.

20.

「<내고장소식>군인극장 개관」, 조선일보 , 1960.6.15., 4면,

21.

「원주 군인극장 전소. 1일 저녁 인명피해 경미」, 조선일보 , 1957.5.2., 2면.

22.

「원주에 군인극장」, 서울신문 , 1956.1.14., 3면.

23.

양구군 양구읍 문화극장 영사기사 신웅대(1943년생)의 구술. 구술일자 2013년 8월 14일.

24.

육군본부 정훈공보실 손OO 소위 통화(通話) 증언. 통화일자 2013년 12월 6일.

25.

인제군 북면 원통리 설악극장 관객 출입 관리 담당 최광일(1947년생)의 구술. 구술일자 2013년 8월 6일.

26.

인제군 북면 원통리 설악극장 영사기사 김승기(1939년생)의 구술. 구술일자 2013년 8월 5일과 2014년 2월 12일.

27.

철원군 신철원문화관(속칭 신철원군인극장) 매점 관리인 이건영(1939년생)의 구술.구술일자 2011년 8월 29일.

28.

철원군 철원문화원장 김준수(1938년생)의 구술. 구술일자 2011년 8월 29일.

29.

화천군 화천읍 화천문화원 사무국장 정종성(1961년생)의 구술. 구술일자 2011년 8월 26일.

30.

화천군 화천읍 화천문화원장 한상우(1944년생)의 구술. 구술일자 2011년 8월 26일.

31.

반재식・김은신 공저, 여성 국극 왕자 임춘앵 전기 , 도서출판 백중당, 2002.

32.

위경혜,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제77집,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대동문화연구원, 2012.3, 543~581쪽.

33.

위경혜, 호남의 극장문화사 , 다할미디어, 2007.

34.

이길성 외, 「1970년대 서울의 극장산업 및 극장문화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04.

35.

허은,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