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학원폭력과 왕따 등 한국 십대의 문제를 다루는 한국 독립영화의 청소년 성장물이 기존의 십대 영화(teen movie)의 장르성와 변별되는 경향을 주시하며, 특히, 십대 성장 영화에서 재현되는 소년들의 남성 주체성에 주목한다. 또한 소년들의 일탈을 다루는 청소년 물에서 나타나는 공격성(aggression)과 폭력이 자아의 주체 형성과 육체성의 문제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논의한다. 이를 위한 분석틀로 라캉의 거울개념을 중심적으로 적용하며, 청소년의 폭력성에 관한 도날드 위니캇의 연구를 참조하는데, 이러한 논의에서 중점적으로 예시되는 한국 독립영화 텍스트는 <파수꾼>(2010)과 <명왕성>(2012)이다. 더불어, 이러한 한국 십대 영화의 경향성이 어떠한 영화문법으로 시각화되었는지 분석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endency of recent teen film in Korean independent cinema and especially focuses on the cinematic representation of adolescent masculine subject formation. The peculiar tendency of recent independent Korean teen film, dealing the juveniles is that it is derailed from the usual format of teen film, according to Wood's categorization of teem movie, which often prioritizes juvenile sexuality. The insecure and fragile juvenile masculine subject in Korean independent teen film is often inclined to resort to violence which leads to juvenile deviation, reminding the social problem such as school bullying and adolescent suicide. The question of affin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formation and aggression is discussed in relation to Lacan's mirror stage and death instinct, together with Donald Winnicott's different interpretation of aggression. The principal film texts which are analyzed in detail in relation to this specific tendency are <Bleak Night> (2010) and <Pluto> (2012). In case of those two films, they strongly exemplify the repetitive movement of death drive that is resided in Korean teen films in the 2010s and the distinct cinematic style in those films, which visualizes the aggression of adolescent male subject is also discussed.
영화 <아메리칸 파이 (American Pie)> (Paul Weitz, 1999)
영화 <섹스 아카데미 (Not Another Teen Movie)> (Joel Gallan, 2001)
영화 <몽정기> (정초신, 2002)
영화 <파수꾼> (윤성현, 2010)
영화 <회오리바람> (장건재, 2010)
영화 <명왕성> (신수원, 2012)
영화 <타인의 멜로디> (양영철, 2012)
영화 <이것이 우리의 끝이다> (김경묵, 2013)
D. Biltereyst, "American Juvenile Delinquency Movies and the European Censors", T. Shary (eds.), Youth Culture in Global Cinema.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7, pp. 9-25.
T. Doherty, Teenagers and Teenpics: the Juvenilization of American Movies in the 1950s.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2002.
U. Eco, 김효정 번역, 「거울에 대하여」, 예술과 광고 . 열린책들. 2009, 13-55쪽.
B. Fink, 이정민 번역, 라캉의 주체: 언어와 향유 사이에서 , 서울: 도서출판 B, 2010.
S. F. Hernández, "Boys Will Be Men: Teen Masculinities in Recent Spanish Cinema", T. Shary (eds.), Youth Culture in Global Cinema.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7, pp. 232-270.
J. Lacan, Écrits: a Selection. London, New York: Routledge, 1989.
S. Neale, Genre and Hollywood. London, New York : Routledge, 2000.
E. K. Sedgwick, Between Me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T. Shary, Generation Multiplex: the Image of Youth in Contemporary America.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2.
T. Shary, "Teen Films", B. K. Grant (ed.), Film Genre Reader III.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3, pp. 490-515.
T. Shary, Teen Movies: American Youth on Screen. London, New York: Wallflower, 2005.
T. Shary, "Youth Culture Shock", T. Shary (eds.), Youth Culture in Global Cinema.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7, pp. 1-6.
R. Wood, Hollywood from Vietnam to Regan ...and Beyond, Rev. ed. New York: Colombia University Press, 2003.
V. Turner, "Betwixt and Between: The Liminal Period in Rites of Passage," Louise Carus Mahdi (eds.), Betwixt and Between: Patterns of Masculine and Feminine Initiation, Illinois: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1987, pp. 3-22.
D. W. Winnicott, 이재훈·박경애·고승자 번역, 박탈과 비행 ,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1.
권경우, 「환상 속에 아이돌이 있다: 신자유주의와 아이돌의 성공이데올로기」, 이동연 엮음, 아이돌: H.O.T.에서 소녀시대까지, 아이돌 문화보고서 , 서울: 이매진, 2011, 294-315쪽.
김영진, 「한국영화의 새로운 징후들: 세 편의 독립영화」, 시대정신 , 제 51호, 2011년 여름, 316-326쪽.
김현철, 「청소년은 누구인가」, 이팔청춘 꽃띠들은 어떻게 청소년이 되었나? ,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09, 10-51쪽.
계운경, 「<파수꾼>과 <말죽거리 잔혹사>의 학교공간과 상징폭력의 재생산」. 문학과 영상 , 2012 여름호, 193-216쪽.
전상인, 편의점 사회학 , 서울: 민음사, 2014.
김영진, 「김영진의 인디라마: 시작은 창대 하나 끝은 미미한」, 씨네 21 , 2011년 3월 31일.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 /65338.
김영진, 「<앤젤스 셰어: 천사를 위한 위스키>를 보며 한국영화가 피해자 프레임을 넘어서지 못하는 이유를 생각함」, 씨네 21 , No. 910, 2013, 86-88쪽.
김혜리, 「김혜리의 영화 일기: ‘꺼져 버려!’ 라고 쓰고 ‘사랑해.’라고 읽는다.」, 씨네21 , 2011년 3월 18일, http://www.cine21.com/news /view/mag_id/65158.
이송희일, 「디스토피아로부터: 지루한 모방, 위험한 욕망」, 씨네21 , no. 910호, 2013, 112쪽.
남다은, 「신전영객잔: 극단편을 만드는 젊은 독립영화감독들에게 보내는 편지」, 씨네 21 , No. 903, 2013, 9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