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광주’를 현재화하는 일 -권여선의 『레가토』(2012)와 한강의 『소년이 온다』(2014)를 중심으로

‘Gwangju’ unceasingly summoned - Based on Yeosun Kwon’s Legato (2012) and Gang Han’s Here comes a boy (2014)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4, v.20 no.3, pp.101-138
https://doi.org/10.18856/jpn.2014.20.3.004
조연정 (서울대학교)

Abstract

Continuous publication of novels regarding ‘Gwangju’, which has been a phenomenon for the past few years, can b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political crisis in Korea. This thesis analyzes Legato (2012) by Kwon Yeosun and Here comes a boy (2014) by Han Gang which call for Gwangju Uprising as an important force in narrative, and aims to explore the way that enables bringing ‘Gwangju Uprising’, which has not been finished yet, to the present. ‘Gwangju’ in Kwon Yeosun’s Legato functions as an opportunity for the generation of so-called elite people who already have stable social status but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back then to reflect their present and past. The fact that this novel summons ‘Gwangju as a superego’ is quite meaningful in that it harshly criticizes the fault and hypocrisy of the generation with movement group background through the author’s unique indicative. The damaged body of Jeongyeon who came back alive from the scene of Gwangju after nearly 30 years points out the violence of the present memory which tries to fossilize Gwangju as a historic event. Han Gang’s Here comes a boy is a novel which is concerned with the ultimate way of reproducing the tragedy. Usually, novels regarding Gwangju reproduce the tragedy of Gwangju through describing the damaged body of the dead or the painful souls of those who survived. On the contrary, Han Gang’s Here comes a boy tries to reveal the horrors of Gwangju more accurately through reproducing the tragedy by depicting the voices of the painful souls of the dead or describing the physical humiliation of survivors with the device of ‘impossible to testify’. Furthermore, Here comes a boy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s to deliver the testimonies of young boys and girls, and female workers who were not able to tell their stories fully in other existing novels. The accomplishment of Here comes a boy would be noticing the individuality of pains through resisting the movement of understanding and making the history of Gwangju as a mere anonymous collective tragedy. The meaning and possibility of bringing Gwangju to the present could be reconsidered through these novels which fill the gap where the existing narratives failed to cover.

keywords
광주, 애도, 민주주의, 운동권 세대, ‘산죽음’, 수치, 증언 불가능성, Gwangju, condolences, democracy, the generation of movement group, undead

참고문헌

1.

권여선, 레가토 , 창비, 2012.

2.

한강, 소년이 온다 , 창비, 2014.

3.

강동호, 「파괴된 꿈, 전망으로서의 비평」, 문학과사회 , 2013년 봄호, 334~365쪽.

4.

김경욱, 야구란 무엇인가 , 문학동네, 2013.

5.

김상봉, 「응답으로서의 역사」, 민주주의와 인권 제6권2호, 2006, 139~156쪽.

6.

김영찬, 「2000년대 문학, 한국 소설의 상상지도」, 비평극장의 유령들 , 창비, 2006, 79~95쪽.

7.

김은하, 「폭력의 기원과 우애의 공동체-권여선의 레가토 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54, 2014, 287~317쪽.

8.

김홍중, 「삶의 동물/속물화와 존재의 참을 수 없는 귀여움」, 마음의 사회학 , 문학동네, 2009, 51~78쪽.

9.

김홍중, 「탈존주의의 극장」, 문학동네 , 2014년 여름호.

10.

박솔뫼, 그럼 무얼 부르지 , 자음과모음, 2014.

11.

서영채, 「광주의 복수를 꿈꾸는 일」, 문학동네 , 2014년 봄호, 228~254쪽.

12.

서용순, 「5‧18의 주체성과 후사건적 주체의 미래에 대한 소고」, 민주주의와 인권 제7권2호, 2007, 97~117쪽.

13.

소영현, 「캄캄한 밤의 시간을 거니는 검은 소 떼를 구해야 한다면」, 분열하는 감각들 , 문학과지성사, 2010, 63~79쪽.

14.

손호철, 「‘5‧18 광주 민중항쟁’의 재조명」, 진보평론 , 1995, 79~102쪽.

15.

이경재, 「소년이 우리에게 오는 이유」, 자음과모음 , 2014년 가을호, 328~343쪽.

16.

이광호, 이토록 사소한 정치성 , 문학과지성사, 2006.

17.

이해경, 사슴 사냥꾼의 당겨지지 않은 방아쇠 , 문학동네, 2013.

18.

임경규, 「문화산업과 5/18의 재현」,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제12권2호, 2010년 겨울, 73~98쪽.

19.

임철우, 봄날1~5 , 문학과지성사, 1997~8.

20.

정명중, 「증오에서 분노로」, 민주주의와 인권 제13권2호, 2013, 131~167쪽.

21.

조연정, 「무심코 그린 얼굴-‘시’와 ‘정치’에 관한 단상」, 만짐의 시간 , 문학동네, 2013, 173~187쪽.

22.

차원현, 「5‧18과 한국소설」, 한국현대문학연구 31, 2010, 440~467쪽.

23.

최윤,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 문학과지성사, 1992.

24.

최장집, 민주주의의 민주화 , 후마니타스, 2006.

25.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와 광주 항쟁의 세 가지 의미」, 아세아연구 제50권2호, 2007, 144~184쪽.

26.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 오월의 봄, 2012.

27.

최정운‧임철우, 「절대공동체의 안과 밖-역사, 기억, 고통 그리고 사랑」, 문학과사회 , 2014년 여름호, 340~386쪽.

28.

황석영, 오래된 정원1~2 , 창비, 2000.

29.

Agamben, G.,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 정문영 옮김, 새물결, 2012.

30.

Badiou, A., 윤리학 , 이종영 옮김, 동문선, 2001.

31.

Butler, J., 불확실한 삶-애도와 폭력의 권력들 , 양효실 옮김,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8.

32.

Solnit R., 이 폐허를 응시하라 , 정해영 옮김, 펜타그램, 2012.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