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Mad Scientist's Laboratory and Imperialistic Nostalgia— The Study of Korean Gothic SF Films in the 196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4, v.20 no.3, pp.271-308
https://doi.org/10.18856/jpn.2014.20.3.009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Mad Scientist's Laboratory and Imperialistic Nostalgia— The Study of Korean Gothic SF Films in the 1960sSong, Hyo-Joung (University of Seoul)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unique” SF films in Korean film history. Once they were in a decided minority. In addition, for a long time SF films were regarded as a exclusive property of the child. This article deals with the origin,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SF films in 1960s. In this study, I have concern about Korean SF films by and large from 1960s to early 1970s. The objects of study are placed from the first Korean SF The Last Invisible Man (1960) to Scary Double Human (1974). These films have revealed a gloomy laboratory of a lunatic scientist in common. The event usually occurs in a remote mansion, villa or hospital. I called them “Korean Gothic SF” films. Under the influence of horror films of United States and Britain exploited films in late 1950s, new Korean genre films began to be made. At first, they imitated a little bit of The Invisible Man (1897), Dracula (1897), Frankenstein (1818). At the same time, they applied the Korean motives, for example tear jerker narrative (Sinpa, 新派), adventure story of anticommunist boys and resentment-revenge story. Sometimes imperialistic nostalgia was reflected in the Gothic SF films. They were a cinematic reaction to the atmosphere of the Third Republic in Korea that was accustomed to order and standardization. It turned out through the negativity, sadism, melodramatic excess and grotesquerie. Although there were scientists handling modern science for example botany, medicine, life sciences, Korean Gothic SF films are characterized by regressive moral emotions and resentment which dates back to the colonial era. When it was in the early 1970s, gothic SF film had faded and occult films for adult and animations for children began to appeared. So Korean Gothic SF films were obviously the style in 1960s.

keywords
Korean genre film, gothic SF, gothic novel, The Invisible Man, vampire plants, mad scientist, colonial period, imperialistic nostalgia, madness, return to the repressed, 한국장르영화, 고딕SF영화, 고딕소설, 투명인간, 흡혈식물, 미치광이 과학자, 식민지 시대, 제국주의적 퇴행, 광기, 억압된 것의 귀환

Reference

1.

<투명인의 최후>(이창근, 1960)[S].

2.

<악의 꽃>(이용민, 1961)[S].

3.

<목숨을 판 사나이>(혹은 ‘생명을 판 사나이’)(신현호, 1964)[S].

4.

<목없는 미녀>(이용민, 1965)[F].

5.

<우주괴인 왕마기>(권혁진, 1967)[F].

6.

<대괴수 용가리>(김기덕, 1967)[F].

7.

<악마와 미녀>(이용민, 1969)[S].

8.

<투명괴인>(이규웅, 1969)[S].

9.

<원>(남태권, 1969)[F].

10.

<공포의 이중인간>(이용민, 1974)[F].

11.

<반수반인>(김기, 1975)[S].

12.

<한녀>(이유섭, 1981)[S].

13.

<투명인간>(김기충, 1986)[F].

14.

김근배, 「과학기술국의 해부도-1960년대 과학기술 지형」, 역사비평 85, 2008, 236쪽.

15.

김미현 편, 한국영화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69-171쪽.

16.

김지영, 「1960-70년대 청소년 과학소설 장르 연구: 한국과학소설 전집 (1975) 수록작품을 중심으로」, 동남어문집 35, 2013.

17.

문만용, 「1960년대 ‘과학기술 붐’: 한국의 현대적 과학기술체계의 형성」, 한국과학사회학지 제29권 1호, 2007, 69-70쪽.

18.

박상준, 「21세기, 한국, 그리고 SF -SF문학의 개괄과 한국적 SF의 반성」, 오늘의 문예비평 59, 2005.

19.

박창선, 「90년대 이후 한국 SF영화의 경향성 연구 : 한국적 SF영화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20.

백문임, 월하의 여곡성 , 책세상, 2008, 89-98쪽.

21.

수전 헤이워드, 이영기 외 역, 영화사전 , 한나래, 2012(개정판), 307-323쪽.

22.

이성희, 「1970년대 한국 SF애니메이션 연구: 한국사회의 근대적 욕망에 대한 소망충족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3.

이의경, 「한국 SF영화에 대한 고찰 : 2000년대 한국 SF영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4.

이정아, 「소년의 근대와 모험, 기획된 표상 : <똘똘이의 모험>과 <똘이장군> 시리즈를 중심으로」, 문화연구 2권 2호, 2013.

25.

임종기, SF부족들의 새로운 문학혁명, SF의 탄생과 비상 , 책세상, 2004, 19쪽.

26.

장연이, 「<똘이장군>에 반영된 반공적 이데올로기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5, 2009.

27.

정연재, 「포우와 미국 고딕소설의 전통」, 근대영미소설 제13집, 1호, 2006, 241-243쪽.

28.

정종화, 한국영화사 , 한국영상자료원, 2008, 140-143쪽.

29.

조미라, 「한국 장편 애니메이션의 서사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30.

조미영, 「한국 SF영화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 2000년도 이후 SF영화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1.

조해진, 「한국 판타지영화의 시대별 양상과 특징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7, 2011.

32.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장진 역, 「두려운 낯설음」, 예술, 문학, 정신분석 , 열린책들, 2003, 429-430쪽.

33.

최애순, 「우주시대의 과학소설-1970년대 아동전집 SF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 60, 2013.

34.

프랑코 모레티, 조형준 역, 공포의 변증법 , 새물결, 2013, 23-62쪽.

35.

허인욱, 한국 애니메이션 영화사 , 신한미디어, 2002.

36.

허지웅, 망령의 기억; 1960-1980년대 한국공포영화 , 한국영상자료원, 2010, 55-63쪽.

37.

David Seed, Science Fict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 Press, 2011, 1쪽.

38.

Steave Neal, Genre and Hollywood, Routledge, 2000, 36-38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