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살아남은 자들의 기억, 1990년대 재현의 양상-tvN <응답하라 1994>(2013)를 중심으로

The Memory of the Survived, the Aspects and Limitations of Recreating 1990s — Focused on the Reply 1994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4, v.20 no.3, pp.41-68
https://doi.org/10.18856/jpn.2014.20.3.002
백소연 (인천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Reply 1994 stimulated nostalgia of its viewers by restoring the scenery of 1990s in details and was a huge success. However, while the past was reorganized with the fantasy about eternal love and passion, and the idealized images of hometown and family,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of 1990s failed to go beyond the level of a background, and the critical mind about the social issues of those times was omitted.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on whose amount had markedly increased consisted of universal and philosophical contents and seemed to console its viewers, yet disguised itself as the one with privilege recollecting an era. As a result, 1990s retrospected in Respond, 1994 have left among us as if it's the general "correct answer" to remember that period, but eventually it relies on the impaired and partial memories of “the survived.” This soap opera has played such a great role to actively include 1990s into the area for remembrance, but simultaneously, it's been asking the fundamental question of how we should remember 1990s.

keywords
Reply 1994, Reply 1997, Television drama, 1990's, Nostalgia, Retrospect, <응답하라 1994>, <응답하라 1997>, 텔레비전드라마, 1990년대, 향수, 복고

참고문헌

1.

<응답하라 1994>, 이우정 극본, 신원호 연출, tVN, 총 21부작, 2013.10.18~2013.12.28

2.

<응답하라 1997>, 이우정・이선혜・김란주 극본, 신원호・박성재 연출, tVN, 총 21부작, 2012.07.24~2012.09.18

3.

김숙현,・장민지・오지영, 「<응답하라 1997>에 나타난 정서의 구조와 집합기억」, 미디어, 젠더&문화 26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4.

김준, 「다시 못 올 것에 대하여: 노동자 구술증언 속의 ‘향수’ 또는 ‘과거의 낭만화’」, 사회와 역사 제85집, 한국사회사학회.

5.

김태형, 불안증폭사회 , 위즈덤하우스, 2010.

6.

김혜경, 「1980년대 이후 한국사회 비판적 가족담론의 변화: 비동시성의 동시성」, 가족과 문화 제24집4호, 한국가족학회, 2012.

7.

김홍중, 「골목길 풍경과 노스탤지어」, 경제와 사회 제77호, 비판사회학회, 2008.

8.

박노현, 「텔레비전 드라마의 ‘왕정’과 ‘복고’: 미니시리즈의 타임슬립과 복고 선호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30집, 인하대학교한국학연구소, 2013.

9.

이기형, 「세대와 세대 담론의 문화정치-"신세대"와 "촛불세대"의 주체형성과 특성을 다룬 논의들을 중심으로」, 사이 9,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10.

이다운, 「TV드라마와 내레이션-2000년대 미니시리즈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연구 제41집, 한국극예술학회.

11.

이화진, 「‘90년대’를 돌아보기: 기억의 아카이브와 세대의 자기 서사화」, 고고 8090, 한국 대중서사와 기억의 문화 정치 , 대중서사학회 2014년 가을학술대회 자료집

12.

최병근, 「<써니>를 통해 본 복고 이미지와 환각적 기호로서의 향수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50호, 한국영화학회, 2011.

13.

태지호, 「문화적 기억으로서 ‘향수 영화’가 제시하는 재현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7권 6호, 한국언론학회, 2013.

14.

편집위원회(심광현 대표집필), 「세대의 정치학과 한국현대사의 재해석」, 문화과학 62, 문학과학사, 2010.

15.

홍성태, 「붕괴사고와 사고사회: 와우아파트와 삼풍백화점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제87집, 한국사회사학회, 2010.

16.

데이비드 로웬덜, 김종원・한명숙 역, 과거는 낯선 나라다 , 개마고원, 2006.

17.

이재민・이근영, 「“백화점마저” 사고공화국 개탄/삼풍백화점 붕괴참사 PC통신 반응」, 한겨레신문 , 1995.06.30.

18.

이광윤, 「꽃다운 청춘을 앗아간 7년 전 삼풍백화점 붕괴」, 오마이뉴스 , 2002.06.2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