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가족 멜로드라마 <완득이>에서 재현되는 하층민·다문화 가족과 향수의 의미

The Meanings of the Multicultural Lower Class Family and Nostalgia Represented in Punch, a Korean Family Melodram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5, v.21 no.1, pp.115-144
https://doi.org/10.18856/jpn.2015.21.1.004
정민아 (용인대학교)

Abstract

Punch, a family melodrama, was released in 2011 and achieved a better-than- expectations success at the box office. It is a recent phenomenon that a family melodrama has ranked high in the box office record. This paper aims to probe for the meaning of Punch in the light of the rise of the family melodrama in Korea’s film industry. Punch can be said to make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erms of film industry. In this paper I search for genre and social meanings of the phenomenon that family melodrama has become a full-scale hit genre. Also will be discussed what the lower class subject and the multiculturalism presented in the film mean to the audience and how the nostalgia factor is utilized for commercial success. Having been through the times of the post-IMF system, neo-liberalism and the neo-conservative administrations, we have witnessed the box office success of family films, nostalgia films and films featuring heroes from lower class, which had not been well fit for Korean film industry’s code of commercial success before 2000. Nowadays the Korean society produces and circulates not just films but general mass cultural products with reactionary and nostalgic features. This paper traces the origin of the tendency of Korean films since Punch, a 2011 hit film, through the over-10million- viewer films in 2015. I will analyze Punch critically and try to understand how the masses express their ontological anxiety as social beings in their enthusiasm for certain films.

keywords
<완득이>, 가족 멜로드라마, 가족주의, 하층민, 다문화, 공동체, 향수, 이미지-풍경, Punch, family melodrama, familism, lower class, multiculturalism, community, nostalgia, image-scape

참고문헌

1.

<완득이>(2011) 유비유필름, 어나더픽쳐스 제작, 이한 연출.

2.

계운경, 「<완득이>의 상업전략과 사회질서의 유지·재생산―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한국콘텐츠 학회, 2013,71~81쪽.

3.

권명아, 가족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 책세상, 2000.

4.

김경욱, 나쁜 세상의 영화사회학: 21세기 한국영화와 시대의 증후 , 강, 2013.

5.

김기봉 외, 가족의 빅뱅 , 서해문집, 2009.

6.

김남석, 「다문화 가정의 심리적 거리와 영상 표현 방식에 대한 연구―영화 [완득이] (2011)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55권,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5~26쪽.

7.

김예림, 「‘존중’ 없는 사회의 대중문화, 그 욕망과 미망에 대한 단상― 도가니 와 완득이 를 중심으로」, 문학과 사회 2012년 여름호 제25권 제2호 통권 제 98호, 2012, 154~170쪽.

8.

김준, 「다시 못 올 것에 대하여: 노동자 구술증언 속의 ‘향수’ 또는 ‘과거의 낭만화’」,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제85집, 한국사회사학회, 2010, 83~124쪽.

9.

김홍중, 「골목길 풍경과 노스탤지어」, 경제와 사회 제77호, 비판사회학회, 2008, 139~168쪽.

10.

노지승, 「영화, 정치와 시대성의 징후, 도시 중간계층의 욕망과 가족」, 역사문제연구 제25호, 역사문제연구소, 2011, 159~192쪽.

11.

박범준, 「영화가 보여주는 우리 삶의 사각지대―<도가니>와 <완득이>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통권 제7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1, 284~292쪽.

12.

양인실, 「해방 후 일본의 재일조선인 영화에 대한 고찰」, 사회와역사 제66권, 한국사회사학회, 2004, 258~295쪽.

13.

양인실, 「포스트 <GO>의 불/가능성」, 영화 5권 1호,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2012, 29~58쪽.

14.

원숙경, 「타자의 시선으로 재현된 이주민―영화 <방가?방가!>와 <완득이>를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제18권 제1호,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109~136쪽.

15.

이득재, 가족은 야만이다 , 소나무, 2001.

16.

정민아, 「동시대 한국영화의 이주자 혼종문화와 이주 공간: <로니를 찾아서>, <반두비>, <완득이>를 중심으로」, 영화 5권 1호,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2,59~87쪽.

17.

정민아, 「청춘잔혹물어, 재일한인영화의 디아스포라와 탈식민지 저항」, 현대영화연구 제5호, 한양대 현대영화연구소, 2008, 177~194쪽.

18.

조진희, 「한국영화, 이주여성을 들여다보다―<파이란>에서 <완득이>에 이르기까지 이주여성 재현 양상 분석」, 언론학연구 제16권 제1호,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2, 379~404쪽.

19.

최성환, 「다문화주의와 타자의 문제」, 다문화콘텐츠연구 1호 통권 6호,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2009, 131~154쪽.

20.

최용성, 「한국영화에 나타난 가족·모성 윤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제14집, 한국교육윤리학회, 2007, 81~108쪽.

21.

최지희, 「<신기생뎐> 수용자의 즐거움에 대한 연구」, 동서언론 제16집, 동서언론학회, 2013, 139~176쪽.

22.

허정, 「 완득이 를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 다문화콘텐츠연구 제12집,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2012, 95~138쪽.

23.

황영미, 「 완득이 의 서술전략과 영화화 연구」, 돈암어문학 제24집, 돈암어문학회, 2011, 281~ 308쪽.

24.

Anderson, Perry, 김철효 외 옮김, 뉴레피트리뷰 2 , 길, 2009.

25.

Canclini, Néstor García, 이성훈 옮김, 혼종문화―근대성 넘나들기 전략 , 그린비,2011.

26.

Felski, Rita, 김영찬·심진경 옮김, 근대성의 젠더 , 자음과모음, 2010.

27.

Gelezeau, Valerie, 길혜연 옮김, 아파트 공화국 , 후마니타스, 2007.

28.

Harvey, David, 초의수 옮김, 도시의 정치경제학 , 한울, 1996.

29.

Lehman, Peter·Luhr, William, 이형식 옮김, 영화에 대해 생각하기 , 명인문화사,2009.

30.

Reynols, Simon, 최성민 옮김, 레트로 마니아 , 작업실유령, 2014.

31.

「[10대가 아프다] “한국 가정은 애정공동체 아닌 대입 프로젝트 공동체”」, 경향신문 2012. 1. 3.

32.

「그녀의 스크린에는 늘 여성이 흐른다」, 시사IN 제337호, 2014. 3. 1.

33.

「다운받아 드라마 보는 시대, 간접광고 중요성 커져」, 조선비즈 , 2013. 4. 24.

34.

David Joel, “Punch’ Tackles Fil-Korean’s Search for Mother,” ABS/CBN News (www.abscbnnews.com), 2011.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