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한국 대중가요의 의미 연결망-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Semantic Network of Korean Pop Songs — Changing meaning Structure from 1960’s to 200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5, v.21 no.1, pp.145-171
https://doi.org/10.18856/jpn.2015.21.1.005
김용학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Lyrics of popular songs convey the meanings and symbols that are important in that era because they are produced by the collective efforts of song writers, consumers, critics and distributors. This paper analyzes the semantic structure among keywords contained in popular song lyrics. Three hundred popular songs are compiled, one hundred each from 60’s, 80’s and 2000’s for social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 1) the most central keyword has always been ‘love’ regardless of the period the song was written. 2) During 60’s, natural phenomena such as rain, mist or lakes appeared frequently. Yet they disappear almost completely and replaced by English words like ‘nobody’ or ‘baby’ from 80’s. 3) The number of unique words increases rapidly over time and the mode of expressions became diverse. 4) The whole network structure changes from a radial type to a chain type indicating that the relative centrality of ‘love’ is weakened, although they the most important in each period. 5) Sentiments of longing for hometown disappears gradually, and scenes related with ‘drinking liquor’ become frequent.

keywords
의미연결망, 대중가요, 네트워크 분석, 사회변화, Semantic Network, Pop Songs, Network Analysis, Social Change

참고문헌

1.

문화체육관광부 http://www.mcst.go.kr/web/s_data/research/researchList.jsp,

2.

한국음원협회 http://www.kapp.or.kr/

3.

강승식 교수의 한글공학-정보검색 연구실 http://nlp.kookmin.ac.kr/

4.

강승식, 한국어 형태소 분석과 정보 검색 , 홍릉과학출판사, 2002.

5.

길진숙, 「일제강점기 대중가요 속의 ‘서울-모던—여성’의 풍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8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57~96쪽.

6.

김익두, 「한국 대중가요 연구사 검토」, 공연문화연구 제24권, 한국공연문화학회,2012, 5~45쪽.

7.

김용학, 사회연결망이론 , 박영사, 2003.

8.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 박영사, 2011.

9.

김주현, 「대중가요 가사의 정서표현과 시대적 의미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0.

김창남, 「한국의 사회변동과 대중문화」, 진보평론 2007년 여름 32호, 진보평론,2007, 62~84쪽.

11.

김현옥, 「대중음악과 대중정서의 상관성 — 2000년대 트로트 음악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제31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337~367쪽.

12.

문현병, 「문화산업과 대중문화」, 진보평론 2002년 겨울 14호, 진보평론, 2002,34~57쪽.

13.

박애경, 가요, 어떻게 읽을 것인가 , 책세상, 2000.

14.

백선기·김남일, 「한국 대중가요의 ‘남성성’ 변화 추이와 이데올로기적 의미 변천연구」,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 한국방송학회, 2006, 360~376쪽.

15.

서영희, 「조명암의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고향의식」, 한민족어문학 제64권, 한민족어문학회, 2013, 401~430쪽.

16.

아름출판사 편집부, 가요 반세기 , 아름출판사, 2006.

17.

양명희, 「大衆歌謠에 나타난 性別 對象語의 變化에 대한 硏究」, 어문연구 제15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7~32쪽.

18.

이동순, 「한국 근대 대중가요에 나타난 여성성의 실태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제20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165~187쪽.

19.

이상회, TV放送과 大衆文化 , 전예원, 1983.

20.

이영미, 한국 대중가요사 , 시공사, 1998.2

21.

이영미, 「한국 대중가요사 연구의 현단계」, 대중서사연구 제10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04, 123~152쪽.

22.

이지연·신수진,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낭만적 사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1호, 한국가족관계학회, 2004, 25~55쪽.

23.

임인숙, 「한국 대중가요의 외모차별주의」, 한국사회학 제41권 2호, 한국사회학회,2007, 240~270쪽.

24.

장유정, 「유도순의 대중가요 가사 분석과 작품 규정 문제」, 한국어문학연구 제60권,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3, 243~267쪽.

25.

장유정, 「대중가요를 통해 본 1960년대의 서울문화」, 민족문화논총 제35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7, 111~132쪽.

26.

장유정, 「1970-80 년대 한국 대중가요 가사의 특징-공중파 방송 인기곡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제24권, 한국공연문화학회, 2012, 79~113쪽.

27.

조규일, 「한국 대중가요의 종합적 검토: 1930년대 유행가 가사 고찰」, 인문과학 제31권,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265~275쪽.

28.

최상진·조윤동·박정열, 「대중가요 가사분석을 통한 한국인의 정서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제20권 1호, 한국심리학회, 2001, 41~66쪽.

29.

최은숙, 「20세기 전반기 대중가요 담론의 쟁점과 의의」, 한국민요학 제21권, 한국민요학회, 2006, 275~306쪽.

30.

최은숙, 「20세기 전반기 대중가요에 나타난 '타국'인식과 형상화 방식」, 한국민요학 제23권, 한국민요학회, 2008, 467~490쪽.

31.

하지운·배덕호·김상욱, 「블로그 연결망의 특성 분석」, 2009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제36권 1호, 한국정보과학회, 2009, 171~174쪽.

32.

홍경준·송호근, 「사회복지정책 결정 구조에 대한 정책 연결망 분석: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4호,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5~33쪽.

33.

홍석민·윤태일·이기홍, 「광고 대행사와 제작사의 사회연결망 분석 — 광고 대행사의 소유형태와 규모가 거래관계에 미친 영향」, KOBACO 광고연구 2005년 봄호, 한국방송광고공사, 2005, 187~211쪽.

34.

홍연주, 「한국 대중가요 노랫말의 특성에 관한 담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5권 1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1, 1~4쪽.

35.

홍종규·박석희,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농촌관광개발의 주민참여 연구」,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한국관광학회, 2007, 325~342쪽.

36.

J. Baudrillard, 이상률 역, 소비의 사회: 그 신화와 구조 , 문예출판사, 1999.

37.

A. Barabasi, Linked: How everything is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and what it means, Plume Editors, 2002.

38.

H. Becker, “Art As Collective 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ume 39, Issue 6,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74, pp. 767~776.

39.

S.P. Borgatti, M.G. Everett & L.C. Freeman, UCINET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MA: Analytic Technologies, 2002.

40.

Carley, K., “Extracting Culture through Textual Analysis”, Poetics, Volume 22, Issue 4, Elsevier, 1994, pp. 291~312.

41.

N. A. Christakis & J. H. Fowler, Connected: The surprising power of our social networks and how they shape our lives, Little, Brown, 2009.

42.

M. Granovetter, “Economic action and social structure: the problem of embeddednes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ume 91, Issue 3,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5, pp. 481~510.

43.

A. Quirin, O. Cordón, V. P. Guerrero-Bote, B. Vargas-Quesada, & F. Moya-Anegón, “A quick MST‐based algorithm to obtain Pathfinder networks (∞, n− 1)”,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ume 59, Issue 12,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pp. 1912~192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