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A Study on Kisaeng–Domestic Dramas in 193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5, v.21 no.1, pp.227-260
https://doi.org/10.18856/jpn.2015.21.1.008

Abstract

<Deceived by Love, Despaired by Money>(1936) and <The Power of Mother> (1937) are the most successful pop drama in the late 1930’s in colonized Joseon. These works are called kisaeng–domestic dramas(妓生-家庭劇) dealing with problematic situation after kisaeng’s marriage. The paper is to show those characteristics and those places in the history of popular arts, comparing with ‘Shinpa domestic dramas’(新派-家庭劇) in 1910’s and ‘tragic love dramas at the red light district’(花柳悲戀劇) in 1920’s-1930’s. The narrative of kisaeng–domestic dramas following the style of melodramatic representation, reveals excessive rhetoric, caused by contradictory situation of depressed ‘truth’ and desire to express. In the dramas, kisaengs are the good struggling to maintain chastity and the persons holding the kisaeng down are the bad. The dramas focus on traditional individual moral such as chastity in women and love for family in men, compared to ‘Shinpa-domestic dramas’ focusing on social moral such as fidelity and empathy. The dramas highlight newly optimistic emotion such as pride and hope, compared to ‘tragic love dramas at the red light district’ focusing on pessimistic emotion such as grief. In kisaeng–domestic dramas, the bond daughter-in-law between father-in-law represents the patriarch conspired by the colonial policy of Japan. In this respect, The kisaeng-domestic dramas as melodrama is not only the myth of forces upholding patriarchal ideologies but also the moral rhetoric revealing the colonization strategy of Japan.

keywords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어머니의 힘>, 기생-가정극, 화류비련극, 신파 가정극, 서양발 연애극, <Deceived by Love, Despaired by Money>(1936), ‘kisaeng-domestic dramas’, ‘Shinpa domestic dramas’, <The Power of Mother>(1937), ‘tragic love dramas at the red light district’

Reference

1.

박진영 편, 쌍옥루 , 현실문화, 2007.

2.

서연호 편, 한국희곡전집 5 , 태학사, 1996.

3.

전광룡 외 편, 한국신소설전집 10권 , 을유문화사, 1968.

4.

한국극예술학회 편, 한국현대대표희곡선집 , 태학사, 1996.

5.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단 엮음, 한국유성기음반 1권-4권, 한걸음 더, 2011.

6.

권보드래, 「죄, 눈물, 회개-1910년대 번안소설의 감성구조와 서사형식」, 한국근대문학연구 16, 한국근대문학회, 2007, 7-38쪽.

7.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 현실문화연구, 2008.

8.

김만수·최동현, 일제강점기 유성기음반 속의 극·영화 , 태학사, 1998.

9.

김유미, 「신파극 혹은 멜로드라마의 지속성 연구-관객의 입장에서 본 <장한몽>과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한국연극학 28, 한국연극학회, 2006, 163-191쪽.

10.

김재석, 「토월회의 번역극 공연인식과 그 의미」, 국어국문학 168호, 국어국문학회,2014, 297-335쪽.

11.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 집문당, 1993.

12.

백문임, 춘향의 딸들, 한국 여성의 반쪽짜리 계보학 , 책세상, 2001.

13.

백현미, 「신파, 비절쾌절 극의 탄생」, 국어국문학 164호, 국어국문학회, 2013, 453-488쪽.

14.

양승국, 「1930년대 대중극의 구조와 특성」, 울산어문논집 12,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7, 125-201쪽.

15.

우수진, 「멜로드라마, 그 근대적인 모럴의 형식」, 한국연극학 49호, 한국연극학회,2013, 49-71쪽.

16.

윤민주, 「가정비극류 신파극에 나타나는 멜로드라마적 과잉에 대한 연구-1910년대 초기 번안소설 각색 신파극을 중심으로」, 어문론총 55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1, 509-547쪽.

17.

이승희, 「한국 사실주의 희곡에 나타난 성의 정치학: 1910-1945」, 한국극예술연구 17집, 한국극예술학회, 2003, 151-187쪽.

18.

이승희, 「멜로드라마의 이율배반적 운명-<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와 <어머니의 힘>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20, 민족문학사학회, 2004, 208-237쪽.

19.

이영미, 「화류비련담과 며느리 수난담의 조합-<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의 서사구조」, 한국극예술연구 27집, 한국극예술학회, 2008, 95-125쪽.

20.

최은옥, 「한국근대 대중극과 대중서사의 관련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5.

21.

로버트 B. 헤일만, 「비극과 멜로드라마: 발생론적 형식에 관한 고찰」, 송옥 외 역, 비극과 형식, 그 의미와 형식 , 고려대학교출판부, 1995.

22.

피터 브룩스, 이승희·이혜령·최승연 역,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 소명출판, 201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