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1980-90년대 한국 독립영화의 전회-유령적 타자(Specter-others)와의 접속

Genealogy 1980-90's Korean Independent Film- Contact to Specter-other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1, pp.221-247
https://doi.org/10.18856/jpn.2017.23.1.008
전우형 (건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198090s revolution of the Korean independent film is embedded in the movement from the film to the film Contact. respond to the possibility that the connection the films is continuous solidarity of the 1980s. Chang, Yun-Hyun’s idea of reading the possibility of the 1980s in PC communication was combined with Myung-Film’s planning. This made the film Contact. By delaying the encounter between the lovers, bravely broke the traditional narrative. , it showed the first production model by paying a fair fee for film music. It also posed the aesthetics of Asian film upfront instead of the spectacles Hollywood films, provocatively attempting to redistribute aesthetic of Asian . In the process of the Korea film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South Korean movies becoming independent from capital and powerand the aesthetics, were forced to re-encounter the wandering ghosts of others. efining the ghosts and illuminating the new relationship with reveal the particularities of Korean. ’, which a new connection with the other was obviously an important force in the growth of independent film. The capital provided the audience director from the independent film scene. However, capital specter entangled oppression of the past and aspirations the future. In the sense that, and above all because it on the border free from responsibility, it close to the specter-others. The basis of possibility Contact 1990s independent film be found in two opposite vectors. One is new relation with capital, the other is representation of new social movement. these two factors have been commonly cited as proof that cultural movement and new social movement liberalized since 1990s. However the planning process in Contact was different. Shim, Jae-Myung and Shim, Bo-Kyung also mediated the rationality of capital and refreshed the old agenda in 1980s. Through Contact, they tried to experiment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 film as a method of new social movement by inventing necessary for sustainable society.

keywords
film, O! Dreamland(1989), The Night Strike(1990), Contact(1997), Media capital, Gender, Specter-others, 독립영화, <오! 꿈의 나라>(1989), <파업전야>(1990), <접속>(1997), 미디어 자본, 젠더, 유령적 타자

참고문헌

1.

김근영, 「한국의 영화운동 전개과정에 관한 분석: 기회구조와 운동주체의 전략적 선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

김소연, 「민족영화론의 변이와 ‘코리안 뉴웨이브’ 영화담론의 형성」, 『대중서사연구』 12권 1호, 2006, 287-318쪽.

3.

김소연, 「1980년대 영화운동 담론에 나타난 세계영화사와의 전이적 관계 연구」, 『현대영화연구』 15권 1호, 2013, 145-180쪽.

4.

김윤지, 「한국독립영화의 정체성 모색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

김은정, 「한국 독립영화의 문화적 이행 - 사회운동에서 문화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6.

남다은, 「누가 독립영화를 식민화하는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16, 2010.

7.

남인영,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의 재현양식 연구」, 중앙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8.

변재란, 「‘새로운 영화’를 위한 논쟁」, 『80년대 한국사회 대논쟁집』, 중앙일보사, 1990.

9.

서울영상집단, 『변방에서 중심으로: 한국독립영화의 역사』, 시각과 언어, 1996.

10.

서울영화집단, 『영화운동론』, 제3문학사, 2000.

11.

안지혜, 「시민사회의 성장과 한국 영화의 역동적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2.

염찬희, 「시장개방 이후 한국영화의 변화 과정과 특성에 대한 체계분석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3.

원용진 「독립영화전용관의 위상과 역할」, 『독립영화』 34, 2007, 93-102쪽.

14.

이미경, 「제도화 이후 영화운동의 변화」, 『지방자치연구』 16, 2013, 1-20쪽.

15.

이효인, 「한국 독립영화에 대하여1: 변방의 변방에서, 아마추어에서 작가까지(1994-1995)」, 『독립영화』 1, 1999, 80-89쪽.

16.

자크 데리다, 『마르크스의 유령들』, 진태원 역, 이제이북스, 2007.

17.

홍기선, 「미국영화 직배 저지 및 영화진흥법 쟁취투쟁의 의의와 문제점」, 『영화언어 II: 1989 봄에서 1995 봄까지』, 시각과 언어, 1989.

18.

Tzioumakis, Yannis, Hollywood’s Indies,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