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1960~1970년대 과학소설에 대한 인식과 창작 경향 - <학생과학> 지면의 과학소설을 중심으로

Features of domestic science fiction in the 1960~1970's- concentrated on Science for Student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1, pp.249-291
https://doi.org/10.18856/jpn.2017.23.1.009
최애순 (계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research tendency of domestic science fiction(SF) in the 1960~1970's. The subject of study is SF writers' club's work, particularly Seo Kwang-oon's science fiction. These works were published by the magazine of Science for Students. Therefore, SF writers' club's works were classified as science fiction for adolescents. The paper studied why the gap between SF writers and readers emerged. It explained this in that domestic SF in the 1960~1970's experienced and identity crisis between fiction and real science. Therefore, SF writers' club members described space wars in the context of war on Earth, for example in 6ㆍ25 or the war of Vietnam. SF writers of Science for Students also considered writings on telepathy or the supernatural as superstition and doubted that it would be science, as well as denying the therapy of neurosis, psychiatry. Science fictions include new scientific technique, but the new developments were often refused. Domestic SF was confused by the conflict between science and superstition.

keywords
fantasy, science fiction, fantasy & science fiction, a war novel, spy-thriller, technology, Seo Kwang-oon, superstition, telepathy, the universe, SF writers' club, Testimony of Polaris, Blow up the control tower, 공상, 과학소설, 공상과학소설, 전쟁소설, 방첩소설, 기술, 서광운, 미신, 텔레파시, 우주, SF작가 클럽, 북극성의 증언, 관제탑을 폭파하라

참고문헌

1.

고장원, 『SF의 법칙』, 살림, 2012.

2.

고장원, 『세계과학소설사』, 채륜, 2008.

3.

김이구, 「과학소설의 새로운 가능성」, 『창비어린이』 3-2, 2005, 156-171쪽.

4.

김재국, 「한국 과학소설의 현황」, 『대중서사연구』 5권 1호, 2002, 93-116쪽.

5.

김지영, 「한국 과학소설의 장르소설적 특성에 대한 연구」, 『인문논총』 32집, 2013, 375-397쪽.

6.

고장원, 「1960~70년대 청소년 과학소설 장르 연구- 『한국과학소설(SF)전집』(1975)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제35집, 2013, 125-149쪽.

7.

고장원, 「한국 과학소설의 환상성 연구- 오영민의 『화성호는 어디에』와 『마의 별 카리스토』를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69집, 2015, 191-222쪽.

8.

대중서사연구회, 『과학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2000.

9.

모희준, 「냉전시기 한국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난 종말의식 고찰」, 『어문론집』 65, 2016, 127-144쪽.

10.

고장원, 「한낙원의 과학소설에 나타나는 냉전체제 하 국가 간 갈등 양상」, 『우리어문연구』 50집, 2014, 223-248쪽.

11.

박상준 엮음, 『멋진 신세계』, 현대정보문화사, 1992.

12.

복도훈, 「한국의 SF, 장르의 발생과 정치적 무의식- 복거일과 듀나의 SF를 중심으로」, 『창작과 비평』 36-2, 2008, 49-68쪽.

13.

고장원, 「단 한 명의 남자와 모든 여자: 아마겟돈 이후의 유토피아와 섹슈얼리티」, 『한국근대문학연구』 24, 2011, 345-373쪽.

14.

손종업, 「문윤성의 『완전사회』와 미래의 건축술」, 『어문론집』 60, 2014, 239-263쪽.

15.

우미영, 「한국 현대 소설의 ‘과학’과 철학적ㆍ소설적 질문- 김보영과 배명훈의 SF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55, 2014, 121-141쪽.

16.

이숙, 「문윤성의 『완전사회』(1967) 연구- 과학소설로서의 면모와 지배이데올로기 투영 양상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52, 2012, 225-253쪽.

17.

임태훈, 「1960년대 남한 사회의 SF적 상상력- 재앙부조, 완전사회, 학생과학」, 『우애의 미디올로지』, 갈무리, 239-273쪽.

18.

조계숙, 「국가이데올로기와 SF, 한국 청소년 과학소설- 『학생과학』지 수록작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0권 3호, 2014, 415-442쪽.

19.

조성면, 「SF와 한국문학」, 『대중문학과 정전에 대한 반역』, 소명출판, 2002, 178-205쪽.

20.

최애순, 「우주시대의 과학소설- 1970년대 아동전집 SF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0집, 2013, 213-242쪽.

21.

고장원, 「『학원』의 해외 추리ㆍ과학소설의 수용 및 장르 분화 과정」, 『대중서사연구』 21권 3호, 2015, 275-320쪽.

22.

최정원, 「한국 SF 및 판타지 동화에 나타난 아동상 소고(小考)」, 『한국아동문학연구』 14호, 2008, 173-202쪽.

23.

추재욱, 「빅토리아 시대 과학소설에 나타난 진화론에 대한 연구」, 『영어영문학』 59권 5호, 2013, 689-712쪽.

24.

한금윤, 「과학소설의 환상성과 과학적 상상력」, 『현대소설연구』 12, 2000, 89-110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