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TV 드라마 <추적자>의 정치학과 이데올로기

The Politics and Ideology of The Chaser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2, pp.256-291
https://doi.org/10.18856/jpn.2017.23.2.008
신주진 (중앙대학교)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popular TV drama The Chaser, which began broadcasting in 2012. This typical “revenge drama” conveys feelings and affects such as rage, anxiety, and victimization that are felt by many contemporary individuals. Furthermore, the show expresses the ideology of neoconservatism whereby it endeavor to overcome the present social crisis via adherence to conservative values. This drama, which depicts the desperate struggle and victory of an ordinary head of the household over a giant structural evil, re-presents the dichotomy of hero versus villain as good-natured but weak individual versus bad and powerful society in an extended critique of individualism. The individual in this drama is a male hero who goes blind with vengeance and turns to violence on account of losing his lovely daughter and wife. While the character shows excessive sentimentality and empathy, he also shows excessive masculinity. The character is no different than the image of the hero as the subject of neoliberal struggle. The character’s motivations for revenge are paternal love and family loyalty. Healing the evil immorality and ignorance of his society requires a devoted and unconditional love for family members. It is even more problematic to justify the violence of the others such as women, weak people, in justification the value of the individual and family. The Chaser can be interpreted as a neoconservative text that promotes the restoration of family principles as a means of overcoming political, economic and moral crises in the wake of a financial crisis.

keywords
<추적자>, ‘복수극’, 감정구조, 정동, 신보수주의, 개인주의, 남성성, 가족 이데올로기, The Chaser, revenge drama, structure of feelings, affect, neoconservatism, individualism, masculinity, family ideology

참고문헌

1.

박경수 극본, 조남국·진혁 연출, <추적자>, 16부작, SBS TV, 2012.5.28 ~ 2012.7.17.

2.

박경수 작가 필모그래피 (http://movie.daum.net/person/tvprogramlist?personId=308530)

3.

강내희, 『신자유주의 금융화와 문화정치경제』, 문화과학사, 2014.

4.

김정하, 「트라우마와 정동」, 『비평과 이론』 제19권 2호, 2014, 47-64쪽.

5.

그레고리 J. 시그워스·멜리사 그레그, 「미명의 목록[창안]」, 멜리사 그레그·그레고리 시그워스 편저, 『정동이론』, 최성희 등 옮김, 갈무리, 2015, 14-54쪽.

6.

레이몬드 윌리엄스, 『기나긴 혁명』, 성은애 옮김, 문학동네, 2007.

7.

마사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조계원 옮김, 민음사, 2015.

8.

마이클 라이언·더글라스 켈너, 『카메라 폴리티카 상·하』, 백문임·조만영 옮김, 시각과 언어, 1996.

9.

맹정현, 『프로이트 패러다임』, SPF-위고, 2015.

10.

멜라니 클라인, 『아동정신분석』, 이만우 옮김, 새물결, 2011.

11.

박이은실, 「패권적 남성성의 역사」, 『문화과학』 76, 2013, 151-184쪽.

12.

손희정, 「21세기 한국 영화와 네이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3.

스튜어트 홀, 『대처리즘의 문화정치』, 임영호 옮김, 한나래, 2007.

14.

우에노 치즈코,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나일등 옮김, 은행나무, 2012.

15.

장성갑·김대방, 「내셔널리즘 자장 안에서의 동아시아적 상상과 남성성의 강화: 현대 한국 장르영화를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25호, 2014, 169-196쪽.

16.

조세프 브로이어, 「이론적 고찰」, 『히스테리 연구- 프로이트 전집3』, 김미리혜 옮김, 열린책들, 2003(재간), 249-329쪽.

17.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근대』, 이일수 옮김, 강, 2005.

18.

질 들뢰즈, 「정동이란 무엇인가」, 질 들뢰즈 등 지음, 『비물질노동과 다중』, 서창현 등 옮김, 갈무리, 2005, 21-138쪽.

19.

피터 브룩스,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이승희 등 옮김, 소명출판, 2013

20.

한예림, 「메타복수극으로 햄릿 다시 읽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1.

허윤, 「‘딸바보’ 시대의 여성혐오-아버지 상(father figure)의 변모를 통해 살펴 본 2000년대 한국의 남성성」, 『대중서사연구』 제22권 4호, 2016, 279-309쪽.

22.

Williams, Raymond, The Sociology of Culture, New York: Schocken Books, 1982.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