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식민지 조선인,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그리고 그의 죽음- 김남천의 「미담(美談)」을 중심으로

The Colonial Korean, Native Diaspora, and his Death - A study of Kim Nam-Cheon’s “A Beautiful Story(美談)”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2, pp.53-83
https://doi.org/10.18856/jpn.2017.23.2.002
이진형 (건국대학교)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of agricultural community and the native’s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colonial Korea, and the internal ruptures in Japanese imperialism by reading of Kim Nam-Cheon’s short story “A Beautiful Story(美談)”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diaspora”. Kim Nam-Cheon’s short story concerns the diasporization of a colonial Korean peasant, and his ensuing death. Park Wal-Soo -a tenant farmer- becomes the hero of “a beautiful story” due to his diligence. He choices to become a wage-labourer when his agricultural village is reorganized due to Japanese gold mining and rural development policies. His choice induces the potentialization of his diasporic emotions which in turn lead to his excessive actions and ultimate death (a mark of his failure to negotiate his identity). The excessive actions and death of the native diaspora serve to demonstrate both the violence of Japanese colonial control and his double “diasporic intervention” in the modernized=colonized world. First, his excessive actions can be considered attempts to recover a lost home (even though it may be in an imaginative way). and second, the character’s death can be perceived as the implosion of the wage-labourer and the modernized=colonized world both. This paper’s emamination of the concept of diaspora and diasporic emotion sheds light on the existence of the modern colonial subject (dislocation), and the rupturability of the imperialist systems within which the native diaspora lives. This point may be the scandal of imperialism, which is hard to capture in terms of national antagonisms or control/resistance.

keywords
modernization, colonization, home, community, diasporic emotion, diasporic intervention, native diaspora, negative diaspora, 근대화, 식민화, 고향, 공동체, 디아스포라적 감정, 디아스포라적 개입,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네거티브 디아스포라

참고문헌

1.

김남천, 「美談」, 『少年行』, 학예사, 1939.

2.

김성민ㆍ박영균, 「분단극복의 민족적 과제와 코리안 디아스포라」, 『대동철학』 58, 대동철학회, 2012, 43-62쪽.

3.

박경숙, 「식민지 시기(1910년-1945년) 조선의 인구 동태와 구조」, 『한국인구학』 32-2, 한국인구학회, 2009, 29-58쪽.

4.

곽명숙, 「윤동주 문학 연구의 트랜스내셔널리즘적 가능성」, 『한중인문학연구』 37, 한중인문학회, 2012, 205-225쪽.

5.

구모룡, 「윤동주의 시와 디아스포라로서의 주체성」, 『현대문학이론연구』 43, 현대문학이론학회, 2010, 123-146쪽.

6.

구재진, 「이산문학으로서의 강경애 소설과 서발턴 여성」, 『민족문학사연구』 34, 민족문학사학회ㆍ민족문학사연구소, 2007, 392-415쪽.

7.

김관웅, 「“디아스포라 작가” 김학철의 문화신분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27, 한중인문학회, 2009, 297-330쪽.

8.

김미란, 「만주, 혹은 자치에 대한 상상력과 안수길 문학」, 『상허학보』 25, 상허학회, 2009, 273-307쪽.

9.

김양선, 「강경애 후기 소설과 체험의 윤리학-이산과 모성 체험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1,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197-220쪽.

10.

김영주, 「재만 조선인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인식과 만주성 연구」, 『한국문학논총』 58, 한국문학회, 2011, 115-141쪽.

11.

김응교, 「백석ㆍ일본ㆍ아일랜드」, 『민족문학사연구』 44, 민족문학사학회ㆍ민족문학사연구소, 2010, 99-121쪽.

12.

박기주, 「1930년대 조선산금정책에 관한 연구」, 『경제사학』 12-1, 경제사학회, 1988, 121-219쪽.

13.

오문석, 「윤동주와 다문화적 주체성의 문학」, 『한국근대문학연구』 25, 한국근대문학회, 2012, 149-176쪽.

14.

윤은경, 「유치환의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의식과 혼종성」, 『비평문학』 54, 한국비평문학회, 2014, 241-274쪽.

15.

이미나, 「1930년대 ‘금광열’과 문학적 형상화 연구」, 『겨레어문학』 55, 겨레어문학회, 2015, 109-141쪽.

16.

이유미, 「식민지 한국 정치소설의 모색과 이항우: 미주(美洲) 발간 「신한민보」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57,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159-191쪽.

17.

이춘매, 「김사량의 소설에 반영된 일제 강점기 한민족의 삶과 이산(離散)」, 『한중인문학연구』 29, 한중인문학회, 2010, 71-88쪽.

18.

임경규, 「화이트 디아스포라 vs. 네이티브 디아스포라」, 임경규 외, 『디아스포라 지형학』, 앨피, 2016.

19.

전봉관, 『황금광시대』, 살림, 2005.

20.

하정일, 「지역ㆍ내부 디아스포라ㆍ사회주의적 상상력」, 『민족문학사연구』 47, 민족문학사학회ㆍ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84-106쪽.

21.

허수열, 『개발 없는 개발』, 은행나무, 2005.

22.

케빈 케니, 『디아스포라 이즈is』, 최영석 역, 앨피, 2016.

23.

비린더 S. 칼라ㆍ라민더 카우르ㆍ존 허트닉, 『디아스포라와 혼종성』, 정영주 역, 에코리브르, 201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