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소수자는 연대할 수 있는가? 2016년의 여성영화가 던진 질문-<미씽>과 <죽여주는 여자>에 대한 재고

Can Minorities Be in Solidarity? The Question that Feminist Films in 2016 Asked - A Reconsideration on Missing and The Bacchus Lad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7, v.23 no.4, pp.251-289
https://doi.org/10.18856/jpn.2017.23.4.008
전지니 (한국항공대학교)

Abstrac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what <Missing> and <The Bacchus Lady> as 'feminist films' of having been released in the similar period are listening to public opinions about an issue that women in diverse groups faced in the middle of Korean society, and are ultimatel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solidarity in minorities. Out of these, <Missing> focuses on calling for the audience flow through borrowing a form of classical tragedy as well as claiming to stand for mystery, and on implementing catharsis of fear and pity. Also, <The Bacchus Lady> takes a method of observing the other side of our society at a distance instead of enforcing empathy upon a character of having been embodied a tragedy in Korean modern history. Out of these, <Missing> picks up a problem of solidarity, which is not easy for two women whose race and bracket are different, with traversing a gap of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for solidarity between divorced working mom and Joseonjok(Korean Chinese) nanny. By the way, the immigrant woman in the play exists as a subject of being observed, and is placed as a target that needs to be clarified in a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of investigating truth and a person of being investigated. In case of <The Bacchus Lady>, it extends critical mind through averting the eyes to the current elderly issue without stopping in addressing a problem of prostituted women and sexual minorities. And in the process of being arranged even the lethargic elderly all as the non-mainstream, a difference in groups is made nothing. A woman becomes a subject of exchange again in male community. Nevertheless, a movie makes this situation romantic with deleting violence that is placed amidst a trading relationship based on gender inequality. In the vortex of gaining power in 'man's movie', it is an undeniable outcome in a point that <Missing> and <The Bacchus Lady> are addressing a problem of labor and daily life in women who belong to diverse brackets in the middle of the neo-liberalistic era. However, two movies, which keenly figured out women's reality, have a common limitation in a regard of eventually returning to a discourse of conservative motherhood. At the point of time that a controversy over feminism in Korean film is being progressed again actively, the work of illuminating the lights and darks in feminist films, which have appeared in the meantime, will be able to become the foundation in which Korean movie secures gender sensitization after this.

keywords
Feminist film, <Missing>, <The Bacchus Lady>, Feminism debate, Gender inequality, 여성영화, <미씽>, <죽여주는 여자>, 페미니즘 논쟁, 젠더 불평등

참고문헌

1.

<미씽: 사라진 여자>, 이언희 연출, 2016, 100분.

2.

<죽여주는 여자>, 이재용 연출, 2016, 111분.

3.

<소월길>, 신종훈 연출, 2014, 23분.

4.

『경향신문』,

5.

『무비스트』,

6.

『씨네 21』,

7.

『오마이뉴스』,

8.

『여성신문』,

9.

『한국일보』.

10.

강준만, 「한국 매매춘의 역사 한국은 왜 ‘매매춘 공화국’이 되었는가?」 2, 『인물과사상』 137호, 인물과 사상사, 2009, 168-207쪽.

11.

김기영, 「오이디푸스 신화의 수용과 변형」, 『드라마연구』 26호, 한국드라마학회, 2007, 151-188쪽.

12.

김지미, 「‘아수라’장이 된 정권의 언 ‘럭키’한 ‘자백’과 ‘죽여주는 여자’의 비극적 ‘춘몽’」, 『황해문화』 93호, 새얼문화재단, 2016, 371-380쪽.

13.

김지미, 「복수와 결탁 시스터후드와 브로맨스」, 『황해문화』 94호, 새얼문화재단, 2017, 315-324쪽.

14.

백문임, 「브로맨스 vs ‘형제’ 로맨스」, 허윤・손희정 기획, 『그런 남자는 없다』, 오월의 봄, 2017, 240-261쪽.

15.

소영현, 「징후로서의 여성/혐오와 디아스포라 젠더의 기하학-이주의 여성화, 이주노동의 가정주부화」, 『대중서사연구』 23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7, 85-117쪽.

16.

유지나・변재란 편, 『페미니즘/영화/여성』, 여성사, 1993.

17.

유현미, 「90년 이후 페미니즘 영화비평 경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소영 편, 『시네페미니즘, 대중영화 꼼꼼히 읽기」, 과학과 사상, 1995, 313-348쪽.

18.

이슬비, 「2010년대 한국영화에서의 여성 연대」,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9.

이영순, 「『오이디푸스』왕의 미스터리 기법 읽기: 발견과 인식, 급전의 미학을 중심으로」, 『현대영어영문학』 59권 4호, 현대영어영문학회, 2015, 303-323쪽.

20.

이종현, 「얼굴 미학을 통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 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72호, 한국영화학회, 2016, 237-264쪽.

21.

이종현・박치완, 「한국인의 문화유전자와 공동체의식의 복권-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45호, 인문콘텐츠학회, 2017, 149-172쪽.

22.

이화원, 「라신 비극의 여인들」, 『한국연극학』 19호, 한국연극학회, 2002, 73-100쪽.

23.

장은미・한희정,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타자들의 공간」, 『한국언론정보학보』 84권 4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99-123쪽.

24.

주진숙 외, 『여성영화인사전』, 소도, 2001.

25.

최현숙, 『할배의 탄생』, 이매진, 2016.

26.

니라 유발-데이비스, 『젠더와 민족』, 박혜란 역, 그린비, 2012.

27.

쇼히니 초두리, 『페미니즘 영화이론』, 노지승 역, 앨피, 2012.

28.

수잔나 D. 월터스, 『이미지와 현실 사이의 여성들』, 김현미 외 역, 또 하나의 문화, 1999.

29.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천병희 역, 문예출판사, 2004.

30.

앤 브룩스, 『포스트페미니즘과 문화이론』, 김명혜 역, 한나래, 2000.

31.

앨리스 버틀러, 『여성영화-경계를 가로지르는 스크린』, 김선아・조혜영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32.

에드윈 윌슨, 『세계 연극사』, 김동욱 역, 한신문화사, 2000.

33.

와카쿠와 미도리, 『사람은 왜 전쟁을 하는가: 전쟁과 젠더』, 김원식 역, 문학동네, 2007.

34.

토마스 엘새서‧말테 하게너, 『영화이론』, 윤종욱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35.

프랭크 E. 비버, 『영화미학용어사전』, 김혜리 역, 영화언어사, 1995.

36.

강성률, 「페미니즘 비평 방법론을 쇄신하라」, 『씨네 21』, 2004.3.11.

37.

구둘래, 「뭣이 중헌디, 정신 똑바로 차리고 생각하자」, 『한겨레』, 2016.12.26.

38.

김영옥, 「‘죽여주는 여자’가 필요합니까? <오지 않은 미래의 발견> 노년: 젠더, 계급, 연령의 정치학 사이」, 『일다』, 2016.12.26.

39.

김현민, 「한국 영화 남초 시대 ① 한없이 지루해진 지옥도」, 『ize』, 2016.9.29.

40.

김현민, 「2016년, 한국 여성영화의 새로운 원년이 될 수 있을까」, 『ize』, 2016.12.8.

41.

듀 나, 「‘아수라’, 또 하나의 ‘알탕 영화'」, 『한겨레』, 2016.10.10.

42.

심영섭, 「페미니즘 비평이 몸부림칠 때」, 『씨네 21』, 2004.3.30.

43.

임수연, 「[페미니즘 ①] 영화 제작부터 비평까지, 왜 페미니즘이 필요한가」, 『씨네 21』, 2017.9.11.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