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고령화사회의 문학—‘치매’를 다룬 소설을 중심으로

The Literature in the Aging Society—Focused on Novels about Dementi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1, pp.285-321
https://doi.org/10.18856/jpn.2018.24.1.009
엄미옥 (숙명여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reveal in dementia novels by analyzing the novels on dementia that have been published between the 1970s until today.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plain how the perception of dementia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what significance the narrative of Alzheimer's conveys in novels, and what implications it has for the literature of the aging era. In the past, the obliteration of memory, formerly called 'senility', was a subject of sociocultural care. However, the name has been changed to 'Alzheimer's disease' starting from the 1990s and is now considered to be a disease that must be treated medically. This change in perception is represented in novels: In Park Wanseo's novel, the terms 'senility' and 'dotage', the way a daughter-in-law called her mother-in-law, demonstrated the perceptions of that time; and in Park Bumshin's You, the recognition was changed and it came to be considered as a disease that could be prevented to some extent and needed to be actively treated. The literary works on dementia have a unique narrative style in which the daughter-in-law, daughter, or wife who takes care of a patient with dementia serves as the main narrator and focal point. This is because the person with dementia cannot be the subject of a narrative due to memory atrophy and a loss of cognitive function. The events described by the protagonist who observes the disease or the records taken by the narrator consist of a description of the patient's symptoms, the pain and conflict the caretaker suffers, and the inner perspective of the person that changes while she cares for the patient. In this narrative, the history of the patient's life is composed. Meanwhile, the person taking care of the elderly with senile dementia realizes in the process of caring that there remains an 'island of memory' attached to the happiest moment of the patient's life. The anchored world leads the caregiver to reflection and introspection, which demonstrates the paradox of the obliteration that a memory illness possesses. On the other hand, Kim Kyungwook stressed in his novel The Gate of Heaven that the caring issue in the age of family dissolution and aging is no longer a private matter but a subject that needs social and institutional intervention. This literature of dementia, where the multifaceted aspect of the life of the elderly and social phenomena are condensed, proposes a new literary potential as a genre of care (nursing) novel in the increasingly aging society.

keywords
senility, dementia, care, the elderly, aging era, obliteration, reflection, care (nursing) novel, 노망, 치매, 돌봄, 노인, 고령화, 망각, 성찰, 돌봄(간병)소설

참고문헌

1.

김경욱, 「천국의 문」, 제40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 문학사상사 2016.

2.

김원일, 「나는 누구냐-치매에 관한 보고서」, 슬픈 시간의 기억 , 문학과지성사, 2001.

3.

박범신, 당신-꽃잎보다 붉던 , 문학동네, 2015.

4.

박민규, 「낮잠」, 제32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 문학사상사, 2008.

5.

박완서, 「집보기는 그렇게 끝났다」, 배반의 여름 , 문학동네, 2006.

6.

박완서, 「포말의 집」, 배반의 여름 , 문학동네, 2006

7.

박완서, 「해산바가지」, 저녁의 해후 , 문학동네, 2006

8.

박완서, 「환각의 나비」, 그 여자네 집 , 문학동네, 2006

9.

박완서, 「후남아 밥 먹어라」, 그리움을 위하여 , 문학동네, 2006.

10.

이승우, 「검은 나무」, 검은 나무 , 민음사, 2005.

11.

김미영, 「소설에서의 치매 서사의 수용」, 국어문학 63, 국어문학회, 2016, 231-255쪽.

12.

김은정, 「모녀서사를 통해 본 치매의 상징적 연구」, 한국문학논총 제61집, 한국문학회, 2012, 303-327쪽.

13.

김은정, 「현대소설에 나타난 치매의 의미」, 한민족어문학 제63집, 한민족어문학회, 2013, 313-340쪽.

14.

김은정, 「박완서 노년소설에 나타나는 질병의 의미」, 한국문학논총 제70집, 한국문학회, 2015, 293-332쪽.

15.

김진국, 기억의 병—사회문화 현상으로 본 치매 , 2016, 시간여행,

16.

송명희 외, 인문학자 노년을 성찰하다 , 푸른 사상, 2012.

17.

성미라 외, 「재가 치매 노인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극복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3호, 한국간호과학회, 2013, 389-398쪽.

18.

양현덕․양인덕, 치매(인지증)이야기-역사와 현실 , 브레인와이즈, 2016.

19.

왕 철, 「실비아 플라스의 끝나지 않는 애도-「아빠」를 중심으로」, 영어영문학연구 36권 4호, 영어영문학회, 2010, 93-109쪽.

20.

유 준, 「「천국의 문」과 김경욱의 작품세계」, 제40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 문학사상, 2016.

21.

윤설영, 「무섭고도 슬픈 노인의 죽음, 노노개호(老老介護)의 끝」, 중앙일보 2017.10.1.

22.

이봉숙․김춘미․이명선, 「여성가족 간호자의 치매노인 돌봄 경험: 여성주의적 접근」,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5호, 한국간호과학회, 2004, 881-890쪽.

23.

이진우 외, 호모 메모리스 , 책세상, 2014.

24.

이현주․이주원․이준영,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 26(1), 충남대 사회과학연구소, 2015, 345-367쪽.

25.

장혜영․이명선,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돌봄 체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한국간호과학회지 47(3), 한국간호과학회, 2017, 367-379쪽.

26.

정연욱, 「개호소설 恍惚の人 를 통해 본 근대개호의 오류」, 일본어문학 54, 한국일본어문학회, 2012, 307-322쪽.

27.

정연욱, 「일본 ‘개호(介護)소설’ 구조연구」, 日本語文學 제70집, 한국일본어문학회, 2016, 253-273쪽.

28.

천선영, 「노망과 치매사이: 치매에 대한 담론 형성/확산 과정의 사회적 함의」, 2011년도 한국사회학회 전기사회학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사회학회, 2001, 507-531쪽.

29.

최종렬, 「한국 현대 노년 소설연구사」, 한국문학논총 50집, 한국문학회, 2008, 501-536쪽.

30.

카토 신지, 치매와 마주하기 , 박규상 역, 시니어 커뮤니케이션, 2007.

31.

고바야시 토시코․후쿠나가 토모코, 치매노인의 심리증상과 케어 , 황재영 역, 노인연구정보센터, 2011.

32.

야마무라 모토키, 나홀로 부모를 떠안다 , 이소담 역, 코난북스, 2014.

33.

이반 안토니오 이스쿠이에르두, 망각의 기술 , 김영선 역, 심심, 201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