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S3D 영화의 서사 기법에 관한 연구-<아바타>, <크리스마스 캐롤>, <드래곤 길들이기>, <코렐라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arrative of Stereoscopic 3D Movie—Focusing on Avatar, A Christmas Carol, How to Train Your Dragon, and Coralin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1, pp.323-348
https://doi.org/10.18856/jpn.2018.24.1.010
우정권 (단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patial background, characters, conflicts, etc. They were used for each of the narrative components in in-3D depth assignments. The narrative feature of S3D movies is the primary maximization of synesthesia. Space was not only used as a background of the film but was also changed and expanded. Avatar, A Christmas Carol, How To Train Your Dragon, and Coraline all show a clear contrast between 'here' and 'there'. Another way to maximize synesthesia is to arrange and organize layers. At the opening of A Christmas Carol, the camera drives the city from the sky and adjusts the speed and angles variously so that the people in the building and the street move into the urban space where the layers form. They stereotyped the arrangement of layers to the synesthesia that people have when they look at the world as they fly through the sky. It also moves in space. It is a narrative device that seeks to maximize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by using the motif that the character moves in space such as is used in Avatar and A Christmas Carol. This spatial setting and spatial movement are the narrative features of S3D movies only because they are the most effective way to express stereoscopic effects. There is no generalized formula for characterizing good characters: positive space, evil characters are negative spaces. However, the good character and the evil character have stereoscopic valu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tereotypes assigned to one character are consistent within the narrative. Only then can the audience perceive one character in the same sense. Even when characters are in conflict, they are expressed using stereographic values. How To Train Your Dragon consists of one plot and two subplots. At this time, the plot shows the 'external conflict' in which the dragon and the human are confronted, and the subplot shows the 'internal conflict' in which the main character Hiccup must overcome his physical and mental defects. The narrative conflict has a deep correlation with the stereoscopic value. Since S3D movies evoke realistic feelings through realistic 3D effects, auditory elements are as important as the visual. Avatar uses auditory elements to distinguish the world of the earth and the world of the Sky. S3D should always be remembered as a means of emphasizing a well-made story, a means of immersive storytelling. In other words, in order to make an S3D movie even if it can be made into a 2D movie, a corresponding scenario should be supported, and the elements of narrative should be constructed so as to realize pres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sensation is clarified in the narrative. Additionally, I examined whether the components of the narrative worked to give a sense of existence.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create scenarios of S3D movies in the future and can be used for shooting and editing.

keywords
S3D, Narrative, Virtual Reality, Character, Plot, storytelling, depth, creativity, Avata, A Christmas Carol, How to Train Your Dragon, Coraline, S3D, 서사, 가상현실, 캐릭터, 플롯, 스토리텔링, 입체 값, 창작법, 아바타, 크리스마스 캐롤, 드래곤 길들이기, 코렐라인

참고문헌

1.

<아바타(Avata)>, 20세기폭스, 2010.

2.

<크리스마스 캐롤(A Christmas Carol)>, 디즈니, 2009.

3.

<드래곤 길들이기(How To Train Your Dragon)>, 그립토나이트 게임즈, Etranges Libellules 2010.

4.

<코렐라인(Coraline)>, 파파야 스튜디오, 2009.

5.

강익모, 「3D영상시대 기호소재 연구-<아바타>,<토르>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5권 4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1, 1-14쪽.

6.

고호빈, 「스테레오스코피 3D영화 제작에 있어서 미장센의 문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 연구 제47권, 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165-176쪽.

7.

김 건, 「새로운 시각 이미지, 3D 입체영화」, 인문과학연구 38호,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287-310쪽.

8.

김기덕, 「3D 입체영상 <아바타>와 언캐니 현상」, 인문콘텐츠 22호, 인문콘텐츠학회, 2011, 85-110쪽.

9.

김도영, 「입체영상의 비주얼 스토리텔링 방법에 관한 연구: 입체단편영화 ‘퓨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독미디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0.

김인기, 「3D입체영화에서 입체요소와 관객이 느끼는 만족도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

김중철, 「영화 <다우트(Doubt)>의 서사 공간 분석」, 대중서사연구 제23권 1호, 대중서사학회, 2017, 165-195쪽.

12.

김형래, 「 ‘몰입’ 개념으로 본 3D 입체 영화의 미래」, 외국문학연구 41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83-112쪽.

13.

류재형, 「3D 입체영상의 현실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애니메이션 연구 9권 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3, 49-71쪽.

14.

문희정, 「3D애니메이션에서의 스토리와 색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4호 통권 32호,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1, 245-254쪽.

15.

민경미, 「애니메이션 입체 영화에 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8권,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5, 127-142쪽.

16.

박기수, 「디즈니 3D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50권, 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107-128쪽.

17.

박성효, 「깊이 값이 3D 영상의 스토리텔링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8.

박진형, 「관객의 몰입도와 스토리텔링 전달 향상을 위한 트랜스미디어 활용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9.

심은진, 「3D 영화에서 프레임과 외화면의 개념」, 문학과 영상 제12권 4호, 문학과 영상학회, 2011, 1037-1053쪽.

20.

이동은, 「공감각의 문화혁명: 3D입체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인문콘텐츠 제32호, 인문콘텐츠학회, 2014, 121-139쪽.

21.

이옥기, 「3D 영상에 대한 매체별 수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언론 과학연구 11(1),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330-371쪽.

22.

이훈희, 「저예산 3D 영화의 효율적 워크플로우 연구: 3D 단편영화<도둑, 고양이>제작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3.

조해진, 「입체영화 환경에서 고려해야 할 스토리텔링 유형 연구」, 영화연구 제49호, 한국영화학회, 2011, 353-379쪽.

24.

최동혁,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을 위한 3D입체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3호,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21-31쪽.

25.

최정우 외, 아바타 인문학 , 자음과 모음, 2010.

26.

한우정, 「3차원 입체상의 발과 망에 한 연구」, 영화연구 16, 한국영화학회, 2001, 107-130쪽.

27.

로버트 맥키,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 고영범․이승민 옮김, 황금가지, 2009.

28.

Atkinson, Sarah, “Stereoscopic-3D storytelling-Rethinking the conventions, grammar and aesthetics of a new medium”, Journal of Media Practice 12(2), 2011.

29.

http://www.imdb.com/name/nm0007205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