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the style of 'disaster' narrative in the novels written by Kim Joong-hyuk, since 2000. In the novel, disasters are a condition that maximizes conflict among people, who are important components of modern novels. The disaster acts as a background to test the ethical judgment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Sometimes the disaster itself becomes a dynamic character and reveals its vitality. That is, it functions as a narrative component. Therefore, this study should focus on the stylistic expression of the disaster. Particularly, Kim Jong-hyuk has done various experiments on disaster.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explore the process of making a narrative interactively in various novels. So far, novels dealing with disasters have largely dealt with the apocalypse. In contrast, the portrayal of disaster in the novel written by Kim Joong-hyuk is deeply involved with human nature and deals with conflict with the rest of the world. At this time, the disaster is characterized by a monstrous fear. It is a giant plant, glass, earthquake, alien etc. and seem to have a lack of similarity. However, there is a similarity to the non-human world. The study seeks to distinguish between Kim Joong-hyuk's novel's stages of 'disaster onset', 'moments of disaster', and 'disaster aftermath'. Based on this study, we will explore the meaning of "disaster" in novels and examine the mode of disaster and responses to disasters. In his earlier works, Kim Joong-hyuk's novels The City of Glass, Basil, and Zombies present the disaster itself. Now he turns to presenting the human condition of suffering by disaster. The character of the novel is transformed from being solitary to being in a relationship with a lover and a sibling. Such a transformation has already led to the need for human behavior and presence of human beings in the context of a disaster. Kim Joong-hyuk is devoting himself to telling what ethical attitude the human should have in the face of disaster.
김중혁, 좀비들 , 창비, 2010.
김중혁, 「유리의 도시」, 「바질」, 1F/B1 일층, 지하 일층 , 문학동네, 2012.
김중혁, 「뱀들이 있어」, 세계의 문학 2013 겨울, 민음사, 2013.
김중혁, 「뱀들이 있어」, 「보트가 가는 곳」, 가짜팔로 하는 포옹 , 문학동네, 2015.
김중혁, 나는 농담이다 , 민음사, 2016.
강동호, 「이야기의 인력, 떠오르는 여백: 2010년 봄의 한국소설 <좌담>」, 문학동네 제17권 2호, 문학동네, 2010, 585-629쪽.
강유정, 「재난 서사의 마스터플롯」, 타인을 앓다 , 민음사, 2016, 48-63쪽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 문예출판사, 1995.
권혜경, 「좀비, 서구문화의 전복적 자기반영성: 조지 로메로의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과 <시체들의 새벽>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10권 3호, 문학과 영상학회, 2009, 535-561쪽.
금지아, 「문체론적 측면에서 본 한국소설의 중국어 번역 연구」, 번역학 연구 13권 5호, 한국번역학회, 2012, 33-57쪽.
김남혁, 「나선 운동을 이끄는 명사들의 비트-김중혁 소설집 악기들의 도서관」, 문예연구 16권 2호, 신아출판사, 2009, 476-480쪽.
김상태, 문체의 이론과 한국현대소설 , 한실, 1990.
김상태, 문체론 , 법문사, 1994.
김상태, 한국현대문학의 문체론적 성찰 , 푸른 사상, 2012.
김애란, 「물속 골리앗」, 비행운 , 문학과 지성사, 2012, 83-126쪽.
김정남, 「김중혁 소설에 나타난 도시성 연구- 1F/B1 일층, 지하 일층 에 나타난 도시문명의 조건」, 한민족 문화연구 55권, 한민족문화학회, 2016, 203-236쪽.
김지혜, 「재난서사에 담긴 종교적 상징과 파국의 의미-김애란․윤고은․정용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70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57-79쪽.
김형중, 「사물들의 해방자, 김중혁론」, 단 한 권의 책 , 문학과 지성사, 2008, 120-139쪽.
김혜영, 「상호텍스트성 관점에서의 다문화소설읽기」, 새국어교육 86권,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85-103쪽.
네그리 하트, 공동체: 자본과 국가 너머의 세상 , 정남영․윤영광 역, 사월의 책, 2014.
문강형준, 「재난 시대의 정동-애도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여성문학연구 35권,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41-67쪽.
방민호 외, 「스타일이 정신이다」, 2010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소설 , 도서출판 작가, 2010, 244-288쪽.
복도훈, 「세계의 끝: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인문학연구 제42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7-42쪽.
백지은, 「2000년대 소설에서 ‘환상’을 사유하기」, Journal of Korean Culture 29, 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 2015, 37-61쪽.
송병선, 「상호텍스트성 관점으로 보르헤스의 작품읽기: 배신자와 영웅에 관한 주제를 중심으로」, 이베로 아메리카 17권 2호,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2015, 1-27쪽.
신진숙, 「재난서사의 문화적 구성-후쿠시마와 밀양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18권,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533-579쪽.
양윤의, 「현대소설의 이형 연구-200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1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227-251쪽.
오혜진, 「출구없는 재난의 편재, 공포와 불안의 서사-정유정․편혜영․윤고은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제48집, 우리문학회, 2015, 319-345쪽.
우한용, 「소설문체론의 방법 탐구를 위한 물음들」, 현대소설연구 제33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7-30쪽.
윤고은, 밤의 여행자들 , 민음사, 2013.
이병헌, 「이상 소설의 문체」, 국제어문 53, 국제어문학회, 2011, 107-144쪽.
이수형, 「미디어의 환상을 넘어서: 김중혁․한유주․김애란의 소설」, 문학과 사회 통권 70호, 문학과 지성사, 2005, 211-230쪽.
이수형 외, 「아름다운 정답, 혁신적인 오답 -2006년 봄의 한국소설」, 문학동네 통권 47호, 문학동네, 2006, 1-28쪽.
이종오, 문체론 , 살림, 2006.
이찬수, 「재난: 자연의 타자화, 인간의 사물화」, 종교문화비평 26권, 종교문화비평학회, 2014, 195-229쪽.
임재호, 「문체 개념에 대한 재검토」, 열린 정신 인문학연구 15권 2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277-304쪽.
전성욱, 「세계의 끝에 관한 상상들-한국문학과 재난 종말의 서사」, 동남어문 , 동남어문학회, 2014, 5-35쪽.
정여울, 「구원 없는 세계에서 살아남기」, 문학과사회 23권 4호, 문학과지성사, 2010, 333-346쪽.
정은균, 국어와 문학텍스트의 문체연구 , 한국학술정보, 2011.
조경식, 「 칠레의 지진 의 서사구조」, 독어교육 49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0.12, 335-356쪽.
제라르 쥬네뜨, 서사담론 , 권택영 옮김, 교보문고, 1992.
테리 이글턴,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 , 이미애(역), 책 읽는 수요일, 2016.
폴 리쾨르, 시간과 이야기 2, 김한식․이경래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0.
홍덕선, 「파국의 상상력: 포스트 묵시록 문학과 재난 문학」, 인문과학 57집,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5-39쪽.
황도경, 문체, 소설의 몸 , 소명출판, 2014.
황도경, 문체로 읽는 소설 , 소명출판, 2001.
황도경, 「상상의 문법, 소설의 음모: 박민규, 김애란, 한유주를 중심으로」, 유랑자의 달 , 소명출판, 2007, 3-37쪽.
황아름, 「김중혁 소설 연구: 단독성과 울림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13.
Ronald W. Perry, “What is a Disaster?”, Handboook of Disaster Research, 2007, 1-15쪽.
박세회, “소설가 김중혁은 우리의 시간을 되돌리고 싶다”, <허핑턴인터뷰>, 2015.9.4. http://www.huffingtonpost.kr/sehoi-park/story_b_8060682.html, (최종검색일 2017.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