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탈점령의 ‘급진적 동시대성’으로써의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의 합작다큐멘터리—미군정 한․일 문화영화의 자유주의 리얼리즘을 넘어서

'Radical Contemporaneity' as the De-occupation of Co-produced Documentary Film by Zainichi Korean Filmmaker's Collective—Beyond Liberal Realism of Cultural Documentaries of U.S Military Occupation in South Korea and Japa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1, pp.9-56
https://doi.org/10.18856/jpn.2018.24.1.001
안민화 (한국예술종합학교)

초록

이 글은 한국과 일본의 미군정 시기와 그 직후의 주류영화였던 미군정 문화다큐멘터들과 그와 대척 지점에 있던 비주류 영화,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의 합작다큐멘터리의 대조분석을 통해, 전후 동아시아에서의 미국 헤게모니가 재편되는 양상을 규명함과 동시에 그것에 대한 대안적인 서사를 추적하고자 한다. USIS와 CIE의 영화들은 존 그리어슨(John Greison)식 다큐멘터리 스타일을 통해 “자유주의적 통치성” 체현하는 자유주의적 주체와 국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럼으로써, 미군정은 경제적 성장과 안보의 기술들의 아이콘으로 각인되어 가는 동안 다양한 식민지적 유산들을 은폐할 수 있었다. 반면에 미군정이 추동한 미학적 궤도 안에서도, 그것에 회의적인 시선을 가진 예외적인 영화들이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에 발견되는데, 그것들은 다이렉트 시네마 형식을 삽입함으로써, 문화 다큐멘터리의 자기 반영성을 드러낸다. 나아가, 재일조선영화인집단은 일본인 감독들과 합작 다큐멘터리들을 만들며, 미군정의 문화정치학을 비판한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합작 영화, <조선의 아이>는 존 그리어슨의 미학을 20년대 소비에트 영화스타일인, 선동적인 수사적 미학과 시네마 베리테의 조합으로 전치시킴으로써, 미군정의 소수인종에 대한 정책에 저항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군정의 유사한 역할뿐만 아니라 그에 반대하는 한․일의 공통된 영화미학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제국과 식민지라는 이항대립을 넘어, 조나단 파비언(Johannes Fabian)이 말하는 급진적 동시대성(radical contemporaneity)의 개념을 통한 비교연구를 모색하고자 한다. 즉 급진적 동시대성의 한 예로써, 개인과 국가적 총체성이 상응하는 자유주의 통치성을 넘어선, 개인이 다양한 개별적 다수(singular plural)에 감응할 수 있고, 민족주의를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탈식민적이고 대안적 아시아공동체적인 서사․미학을 조망하고자 한다.

keywords
Cultural Films of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1950s, documentary of John Greison's style, liberal governmentality, Zainichi Korean Filmmaker's Collective, Direct Cinema, Cinema Verite, radical contemporaneity, alternative Asian communalism, children of Korea, 50년대 한․일 문화 다큐멘터리, 존그리어슨식 다큐멘터리, 자유주의 통치성, 재일조선영화인집단, 다이렉트 시네마, 시네마 베리테, 급진적 동시대성, 대안적 아시아공동체, 조선의 아이

Abstract

Through the contrastive analysis between USIS-Korea or CIE cultural films which were dominant films and documentaries by the Zainichi Korean Filmmaker's Collective which were minor films during and after the U.S occupation period both in South Korea and Japan, this paper examines not only the aspects of U.S. hegemony which was reorganized in East Asia but also traces its alternative narratives to U.S. occupation forces. The USIS and CIE documentaries played a role in forming a postwar liberal nation and subject by embodying 'liberal governmentality' through the style of John Grieson. By doing so, the U.S. occupation forces became the icon of the technologies of security and economic growth, while hiding various colonial legaci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exceptional documentaries in USIS-Korea and CIE cultural films, which were skeptical toward the narrative and aesthetics of U.S. occupation forces. Namely, these films reveal the self-reflexivity of cultural documentaries by using the form of 'direct cinema.' Furthermore, the Zainichi Korean Filmmaker's Collective makes a critique of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U.S. military occupation by making co-produced documentaries with Japanese filmmakers. For example, the co-produced documentary, Children of Korea, resists the politics of the U.S. occupation forces toward minorities by deploying John Greison's style into a combination of provocative rhetoric and 'cinema verite' which were the characteristics of Soviet film in the 1920s.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use the method of comparative studies through what Johannes Fabian calls 'radical contemporaneity'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empire and colony, by focusing not only on the similar role of the U.S. occupation forces but also the common cinematic aesthetics in Korea and Japan that opposes that. The 'radical contemporaneity' can be one of the examples of postcolonial and alternative Asian communalism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apitalistic nationalism. This communalism enables the individual to respond to the 'singular plural' (Jacques Nancy) beyond liberal governmentality in which the individual is commensurate with the national totality.

keywords
Cultural Films of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1950s, documentary of John Greison's style, liberal governmentality, Zainichi Korean Filmmaker's Collective, Direct Cinema, Cinema Verite, radical contemporaneity, alternative Asian communalism, children of Korea, 50년대 한․일 문화 다큐멘터리, 존그리어슨식 다큐멘터리, 자유주의 통치성, 재일조선영화인집단, 다이렉트 시네마, 시네마 베리테, 급진적 동시대성, 대안적 아시아공동체, 조선의 아이

참고문헌

1.

김기영, <사랑의 병실> 연대미상.

2.

김기영, <나는 트럭이다>, 1954.

3.

김기영, <수병 일기>, 1955.

4.

아라이 히데오, 교고쿠 다카히데, <조선의 아이, 朝鮮の子>, 1955.

5.

이형표, 테드 코넌트, <위기의 아이들>, 1955.

6.

하니 스스무, <교실의 아이들, 教室の子供たち>, 1955.

7.

호머 프린터 켈렘(Homer Flint Kellem), <전투중인 남한, Embattled Korea>, 1950.

8.

나오키 사카이, 「모너니티와 그 비판」, H.D. 하루투니언, 마사오 미요시 편, 포스트모더니즘과 일본 , 곽동훈 역, 시각과 언어, 1996.

9.

다케우치 요시미, 「근대의 초극」, 일본과 아시아 , 백지운․서광덕 역, 소명출판사, 2004.

10.

마루카와 데쓰시, 냉전 문화론 , 장세진 역, 너머북스, 2010.

11.

백영서, 「동아시아론과 근대적응․근대극복의 이중과제」, 창작과 비평 36-1, 2008, 31-51쪽.

12.

빌 니콜스, 다큐멘터리 입문 , 한울 아카데미, 2005.

13.

심혜경, 「주한미공보원 영화과의 제작환경과 한국영화인들: 해방에서부터 1960년대까지」, 냉전시대 한국의 문화영화 , 한국영상자료원 2011 수집복원전 기록영화 해설 자료집, 2011, 25-30쪽.

14.

이순진, 「냉전의 논리와 식민지 기억의 재구성」, 이순진․이승희, 냉전시대 한국의 문화영화 , 선인출판사, 2011.

15.

이순진, 「위기의 아이들」, 한국영화 걸작선 , 한국 영화 데이터베이스, 2013.

16.

정태수, 「30년대 사회주의 리얼리즘에서 60년대 전반기까지 쏘비에트 영화사에 나타난 창작법칙의 전개」, 영화연구 13, 1997, 167-200쪽.

17.

조혜정, 「미군정기 영화정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8.

존다우어, 패배를 껴안고 , 최은석 역, 민음사, 2009.

19.

함충범, 「종파분쟁기 북한영화 연구—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초건설과 1950년대 북한영화」, 영화연구 33, 2007, 167-200쪽.

20.

허 은, 「주한미공보원 영화: 미국의 헤게모니 구축과 ‘냉전 근대’의 교육」, 냉전시대 한국의 문화영화 , 한국영상자료원 2011 수집복원전 기록영화 해설 자료집, 2011, 13-23쪽.

21.

佐藤忠男, 日本映画史 2: 1941-1959 , 東京: 岩波書店, 増補版, 2006.

22.

鄭栄桓, 「運動としての映画ー解放直後の在日朝鮮人映画運動」, 日本に生きるということー境界からの視線 , 山形国際ドキュメンタリー映画際公式カダログ, 2005, pp.21-22.

23.

呂運王玉, 「総聯映画制作所の歩み」, 日本に生きるということー境界からの視線 , 山形国際ドキュメンタリー映画際公式カダログ, pp.26-27. 

24.

土屋由香, 親米日本の構築:アメリカの対日情報․教育政策と日本占領, 明石書店, 2011.

25.

Esposito, Roberto, Bios:Biopolitcs and Philosophy, University of Minnesota, 2008.

26.

Foucault, Michel, “Governmentality,” Graham Burchell, Colin Gordon and Peter Miller eds. The Foucault Effec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pp.87-104.

27.

Foucault, Michel, History of Pleasure, Volume 3, The Care of the Self, Vintage Books, 1986.

28.

Grieveson, Lee, “On governmentality and Screens”, Screen 50:1, Spring 2009.

29.

Grieveson, Lee, Empire and Film, British Film Institute, 2011.

30.

Kim, Han Sang, “Uneven Screens, Contested Identites-USIS, Cultural Films, and the National Imaginary in South Korea, 1945-1972”, 1945-1972, Ph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2013.

31.

Kim, Han Sang, “Cold War and the Contested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Filmmakers: On Boxes of Death and Kim Ki-yŏng’s USIS Films.” Inter-Asia Cultural Studies 14(4), 2013, pp.551-563.

32.

LaCapra, Dominick, Writing History, Writing Traum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4.

33.

Nancy, Jacques, Being Singular Plural,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

34.

Nichols, Bill, “Documentary Film and the Modernist Avant-Garde”, Critical Inquiry 27(4), 2001, pp.580-610.

35.

Nornes, Abe Markus, “The Crux”, Concentric: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39(1), 2013, pp.189-202.

36.

Robinson, Michael E. “Liberation, Civil War, and Division”, Korea’s Twentieth-Century Odyssey: A Short Hisotry,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7.

37.

Sharp, Jasper, Historical Dictionary of Japanese Cinema, Lanham, MD: The Scarecrow Press, 2011.

38.

Tsuchiya, Yuka, “Imagined America in Occupied Japan: (Re-)Educational Films Shown by the U.S. Occupation Forces to the Japanese, 1948-1952”, The Japanese Journal of American Studies 13, 2002, pp.193-213.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