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영화예술>의 뉴 시네마(New Cinema) 담론들 —1960년대 영화비평의 전문화와 영화학의 제도화

Discourses on New Cinema in Younghwa-yesul(Film Art)―The Professionalization of Film Criticism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Film Studies in the 196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3, pp.42-83
https://doi.org/10.18856/jpn.2018.24.3.002
이선주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1960s’ discourses on new cinema in Younghwa-yesul (Film Art), a Korean film journal that sought to not merely publish film criticism but also to introduce innovation to the entire Korean film culture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April 1965. Although its publication was repeatedly suspended and revived until the mid-1990s, as the only film-specific journal of the 1960s. Younghwa-yesul raised an array of significant critical agendas such as critic Lee Young-il’s Riŏllijŭm ch’ogŭngnon (‘transcendence of realism’ thesis) as a key topic of its first issue, cinepoem (a.k.a. yŏngsangjuŭi [imagism]), internationalism, avant-garde cinema, modern cinema, cine-club movement, and scenario movement. This paper contextualize these agendas within the industrial and cultural contexts of the Korean cinema in the 1960s, including the government’s drive for the corporatization of the local film industry, its enactment of a new film law, and its excellent film reward policy. In so doing, it focuses on how these agendas could construct the synchronous modernity of Korean cinema in terms of their correspondence with the world cinema of the 1960s characterized as the age of ‘new cinema’. Additionally, this paper illuminates how the journal’s search for the professional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film criticism coincided with the local formation of film studies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as well as how its effort to promote intersections of the official and the non-official film cultures aimed at public film education and the audience’s enlightenment. For these aim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journal’s editorials, features, articles, round-table discussions, studies on modern film theories and film directors, cine-club correspondences, and scenario studies. In this course, it elucidates the ways in which several concepts delineated, employed, or supported by these sections, including auteurism, realism, globalism, cinepoem, and avant-garde cinema, were reflective of the processes of translation and refraction that were derived from the journal’s reception of Western film theory and criticism. In doing so, it takes a perspective of considering both the journal’s key critics and contributors and its readers as the active subject of culture.

keywords
Younghwa-yesul (Film Art), film journal, 1960s’ Korean film culture, synchronous modernity, film education, cinepoem, <영화예술>, 영화잡지, 1960년대 영화문화, 동시적 근대성, 영화교육, 시네포엠

참고문헌

1.

영화예술 , 영화예술사, 1965년 4월~1966년 6월.

2.

영화 TV예술 , 영화 TV예술사, 1966년 8월~1969년 6월.

3.

강성률, 「한국영화비평 담론의 역사성과 시대별 화두」, 영화평론 제28호, 2016, 31-48쪽.

4.

김동호 외, 한국영화정책사 , 나남출판, 2005.

5.

김소연, 「<오발탄>은 어떻게 “한국 최고의 리얼리즘 영화”가 되었나?」, 계간 영화언어 , 2004년 봄호, 미디어 2.0.

6.

김소희, 「易-Dialogic : 역사란 죽은 나무를 되살리는 일—한국영화사가 이영일」, 易Trans 창간호, 2000.

7.

김정옥, 영화예술론 , 동화출판공사, 1975.

8.

김종원, 「한국영화비평사시론—하나의 정립을 위한 조명」, 영화평론 1호, 1989.

9.

김종원, 「이영일의 예술과 삶의 궤적—그의 영화비평과 시나리오, 그리고 문학」, 공연과 리뷰 제32호, 2001, 20-28쪽.

10.

김종원, 「한국영화 평단의 형성과 ‘영평’의 탄생—비평의 불모지에서 출발한 영평 40년의 발자취」, 한국영화사와 비평의 접점 , 현대미학사, 2007.

11.

김종원, 「영평 50주년을 질문하고 증언하다」, 영화평론 제28호, 2016, 15-30쪽.

12.

김호영, 「영화 이미지와 포토제니」, 영화연구 36호, 2008, 147-173쪽.

13.

나오키 사카이, 번역과 주체 , 이산, 2005.

14.

데이비드 보드웰, 「예술영화 내레이션」, 영화의 내레이션 2 , 오영숙·유지희 옮김, 시각과 언어, 2007.

15.

마르셀 마르땅, 영상언어 , 황왕수 옮김, 다보문화, 1993.

16.

문재철, 「60년대 중반 영화비평담론의 새로움—영상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41호, 한국영화학회, 2009, 61-79쪽.

17.

문재철, 「영화적 경험양식으로서 한국 시네필에 대한 연구」, 영화연구 47호, 한국영화학회, 2011, 113-138쪽.

18.

미츠히로 요시모토, 「민족적/국제적/초국적—트랜스 아시아 영화의 개념과 영화비평에서의 문화정치학」, 김소영 편저, 트랜스—아시아 영상문화 , 현실문화 연구, 2006.

19.

박유리, 「1960년대 서울대학생의 영화관람」,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0.

박지연, 「한국 영화산업의 변화과정에서 영화정책의 역할에 관한 연구—1950년대 중반에서 1960년대 초반의 근대화과정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1.

변인식, 영화미의 반란 , 태극출판사, 1972.

22.

변재란 외, 한국영화와 근대성 , 도서출판 소도, 2001.

23.

신봉승, 시나리오의 기법 , 청운출판사, 1966.

24.

신봉승, 영상적 사고 , 조광출판사, 1972.

25.

안병섭, 영화적 현실, 상상적 현실 , 원민, 2006.

26.

에밀리 비커턴, 카이에 뒤 시네마 영화비평의 길을 열다 , 이수원․정용준 옮김, 이앤비 플러스, 2013.

27.

오준호, 「이색적인 문화영화—유현목과 시네포엠(1964-66)의 실험영화 개념에 관한 제안」, 영화연구 71호, 한국영화학회, 2017, 101-134쪽.

28.

오준호, 「종합적인 이미지의 예술과 영상주의—최일수와 유현목의 시네포엠」, 영화연구 76호, 한국영화학회, 2018, 131-174쪽.

29.

이순진, 「한국영화사 연구의 현단계—신파, 멜로드라마, 리얼리즘 담론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12호, 대중서사학회, 2004, 187-224쪽.

30.

이선주, 「열정과 불안—1960년대 한국영화의 모더니즘과 모더니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1.

이영일, 영화개론 , 상구문화사, 1964.

32.

이영일, 한국영화주조사 , 영화진흥공사, 1988.

33.

이영일, 한국영화사 강의록 , 도서출판 소도, 2002.

34.

이영일, 한국영화전사(개정증보판) , 도서출판 소도, 2004.

35.

전지니, 「잡지 영화세계 를 통해 본 1950년대 영화 저널리즘의 정체성」, 근대서지 제7호, 2013, 486-509쪽.

36.

한영현, 「 사상계 와 대중문화담론—지식인‧대중‧영화를 중심으로」,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 , 소명출판, 2012, 358-395쪽.

37.

de Valck, Marijke and Malte Hagener eds., Cinephila: Movies, Love and Memory,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5.

38.

Epstein, Jean, “On Certain Characteristics of Photogénie,” French Film Theory and Criticism Vol 1:1907-1929, ed. Richard Abel,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8, pp.314-18.

39.

Hansen, Miriam Bratu, “The Mass Production of the Senses: Classical Cinema as Vernacular Modernism”, Modernism/modernity, vol.6, no.2 (April 1999), pp.59-77.

40.

Hansen, Vernacular Modernism: tracking cinema on a global scale(2006), World Cineams, Transnational Persectives, Routledge, 2010.

41.

Maltby, Richard and Melvyn Stokes eds., Hollywood Abroad: Audiences and Cultural Exchange,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

42.

Maltby, Richard, Melvyn Stokes and Robert C. Allen eds., Going to the Movies: Hollywood and the Social Experience of Cinema, University of Exeter Press, 2007.

43.

Neale, Steve, “Art Cinema as Institution,” Screen, vol.22, no.1 (1981), pp.11-39.

44.

Nornes, Abe Mark, Cinema Babel: Translating Global Cinema,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7.

45.

국제영화 ,

46.

영화세계 ,

47.

실버스크린 ,

48.

사상계 .

49.

<동아일보>,

50.

<경향신문>,

51.

<신아일보>,

52.

<대한매일>,

53.

<한국일보>,

54.

<서울신문>,

55.

<조선일보>.

56.

한국영상자료원 저,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0년대편, 공간과 사람들.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