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1980년대 문화운동담론에 나타난 대중문화와 문화주의 비판 연구

A Study on the Criticism of Popular Culture and Culturalism in the Discourse of Cultural Movement in the 1980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8, v.24 no.4, pp.161-201
https://doi.org/10.18856/jpn.2018.24.4.006
김성일 (경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form and significance of criticism of cultural movement discourse on popular culture and culturalism in the 1980s. At the time, in the discourse of cultural movements, popular culture and culturalism were understood as a culture for the sake of the ruling class to be used to suppress the resistance of the oppressed class. The cultural movement discourse, which was announced as part of the publishing movement, draws our critical attention as it speaks out the epistemology of the time. The discourse of cultural movement in the 1980s carried out the criticism of the characteristics, medium, and effect of popular culture as follows. First, popular culture was criticized as commercial culture and foreign culture at that time; especially, the criticism was given to the pursuit of explicit profits and acceptance of culture by Japan and the United States. Second, it was the criticism of the media, which was symbolized as “3S” and carried out in the monolithic cultural policy of the state power. Third, the effect of popular culture on the social reality was criticized that popular culture paralyzes social consciousness and distorted Shinmyeong(cultural sense of liberation and pleasure). Lastly, in the discourse of cultural movements in the 1980s, the criticism of artistic orientation, political neutrality, and Western dependence related to culturalism was developed as follows: firstly, the criticism of the nature of art by the culturalism that advocated “art for art’s sake” was carried out. Secondly, the criticism of the appropriation of art as an apolitical field was made. And, thirdly, the criticism of cultural elitism and blind faith in Western literary arts was raised. Theoretically, discussions on the negative aspects and dysfunctions of popular culture and culturalism are relatively clear.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has been no empirical prior study on the criticism of popular culture and culturalism in the cultural movement discourse of the 1980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construct a narrative of the criticism of mainstream culture by examining and referring to the original texts of cultural discourse at that time.

keywords
1980년대, 문화운동, 문화운동담론, 주류문화, 대중문화, 문화주의, the 1980s, cultural movement, the discourse on cultural movement, mainstream culture, popular culture, culturalism

참고문헌

1.

강영희, 「마당극 양식론의 정립과 올바른 대중노선의 모색」, 『사상문예운동』 창간호, 풀빛, 1989, 171-196쪽.

2.

광주청년문학회, 「왜 민중적 내용에 민족적 형식인가」, 『녹두꽃』 제1권, 녹두, 1988, 202-221쪽.

3.

광주청년문학회, 「창작실제에서 부딪히는 문제들」, 『녹두꽃』 제1권, 녹두, 1988, 424-441쪽.

4.

김대호, 「해방으로서의 영화」,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254-267쪽.

5.

김봉준·라원식, 「함께 나누어 누리는 미술」,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242-253쪽.

6.

김성기, 「민중형식과 그 테두리」, 『문화운동론 2』, 공동체, 1986, 150-178쪽.

7.

김용락, 「민중문학론」, 『민중문화론』, 영남대출판부, 1993, 279-304쪽.

8.

김정현, 「대학문화패 활동의 올바른 방향정립을 위하여」, 『문화운동론 2』, 공동체, 1986, 203-240쪽.

9.

김정환, 「예술성, 운동성, 대중성, 민중성, 일상성, 전문성」, 『문화운동론 2』, 공동체, 1986, 122-149쪽.

10.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2013.

11.

김창남 외, 『노래운동론』, 공동체, 1986.

12.

문승현, 「노래운동의 몇 가지 문제들」,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196-226쪽.

13.

문호연, 「연행예술운동의 전개」,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52-77쪽.

14.

민중예술위원회, 『삶과 멋』, 공동체, 1985.

15.

박기성, 『문화커뮤니케이션과 대중문화』, 평민사, 1983.

16.

박승옥, 「노동운동에서 문예사업이 전개되어야 할 방향」, 『녹두꽃』 제1권, 녹두, 1988, 154-163쪽.

17.

박영정, 「80년대 민중문예운동의 전개과정」, 『한국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지식사회학적 이해』, 녹두, 1991, 319-339쪽.

18.

박현우, 「지식인 문화운동의 현단계」, 『문화운동론 2』, 공동체, 1986, 180-202쪽.

19.

백원담, 「민중민주변혁운동의 현단계와 노동자문화운동」, 『사상문예운동』 창간호, 풀빛, 1989, 124-149쪽.

20.

백진기, 「문예통일전선과 80년대 후반기 민족문학의 대오」, 『녹두꽃』 제1권, 녹두, 1988, 8-48쪽.

21.

신승엽, 「노동문학의 현 단계」, 『문학예술운동』 1집, 풀빛, 1987, 154-195쪽.

22.

신현준, 「1980년대 문화적 정세와 민중문화운동」, 『1980년대 혁명의 시대』, 새로운 세상, 1999, 213-243쪽.

23.

심 산, 「창작역량의 조직적 운용에 대하여」, 『녹두꽃』 제1권, 녹두, 1988, 181-191쪽.

24.

양은경, 「1990년대 한국 문화연구(Culture Studies)의 형성과 권력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25.

연성수 편, 『공동체놀이』, 동녘, 1985.

26.

윤문무, 「자본주의와 대중문화」, 『오늘의 한국사회』, 사회비평사, 1993, 83-105쪽.

27.

이동연, 「한국 문화연구의 역사기술학」, 『문화사회』 제2권, 문화과학사, 2006, 225-260쪽.

28.

이동연, 『대안문화의 형성-한국 문화운동의 최전선』, 문화과학사, 2010.

29.

이영미, 「진보적 예술문화의 발전과 침체」, 『6월민주항쟁과 한국사회 10년—6월민주항쟁 10주년 기념 학술대토론회 자료집 2』, 당대, 1997, 429-451쪽.

30.

이재현, 「민중문학운동의 과제」,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176-195쪽.

31.

임헌영 외, 「좌담—문학과 예술의 대중화를 위하여」, 『문학예술운동 1』, 풀빛, 1987, 8-61쪽.

32.

장명국, 「오늘의 작가는 무엇을 써야 하는가」, 『녹두꽃』 제1권, 녹두, 1988, 245-253쪽.

33.

장선우, 「민중영화의 가능성」, 『실천문학』 창간호, 실천문학사, 1985, 147-157쪽.

34.

정이담, 「문화운동 시론」,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14-30쪽.

35.

정이담, 「문화운동시론 III」, 『문화운동론 2』, 공동체, 1986, 79-120쪽.

36.

정지창, 「대중문화와 민중문화운동」, 『민중문화론』, 영남대출판부, 1993, 63-72쪽.

37.

정창렬 외, 「권두좌담—공동체의 역사·경제학적 전망과 문화운동의 시각」, 『공동체문화』 제1집, 공동체, 1983, 9-42쪽.

38.

정희섭, 「민중문화와 민중문화운동」, 『민중문화론』, 영남대출판부, 1993, 35-55쪽.

39.

조상호, 「1980년대의 사회비판과 출판언론의 등장」, 『한국언론과 출판저널리즘』, 나남, 1999, 313-389쪽.

40.

조정환, 「민주주의 민족문학론에 대한 자기비판과 <노동해방문학론>의 제창」, 『노동해방문학』 창간호, 노동문학사, 1989, 240-267쪽.

41.

조항제, 「여가와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 『한국사회운동사-한국변혁운동의 역사와 80년대의 전개과정』, 한울, 1997, 151-182쪽.

42.

채광석, 「분단 상황의 극복과 민족문화운동」,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31-49쪽.

43.

채희완·임진택, 「마당극에서 마당굿으로」,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102-150쪽.

44.

최승운, 「문화예술운동의 현단계」, 『문화운동론 2』, 공동체, 1986, 14-78쪽.

45.

최열, 「우리시대의 미술운동」, 『문화운동론』, 공동체, 1985, 225-241쪽.

46.

황선진 외,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실천적 대안」, 송건호 외 편, 『한국민족주의론 ∐』, 창작과비평사, 1983, 381-420쪽.

47.

Arnord, Matthew. Culture and Anarchy,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0.

48.

Bourdieu, Pierre.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Richard Nice(tran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49.

Fiske, John. Television Culture, London: Routledge, 1987.

50.

Golding, Peter.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London: Arnold, 1977.

51.

Goldmann, Lucien. Cultural Creation in Modern Society, St. Louis: Telos Press, 1976.

52.

Stacey, Jackie. Star Gazing: Hollywood and Female spectatorship, London: Routledge, 1994.

53.

Willener, Alfred. The Action Image of Society on Cultural Politicization, N. Y: Pantheon, 1970.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