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메디컬 드라마의 크로노토프

The Chronotope of Medical Drama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9, v.25 no.2, pp.169-216
https://doi.org/10.18856/jpn.2019.25.2.005
원용진 (서강대학교)
이준형 (서강대학교)
박서연 (서강대학교)
임초이 (서강대학교)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Bachchin’s Chronotope as a tool for analyzing coevolution between the genre of the epic and society. Bachchin says through the concept of chronotope, literary works are on the foundation on which the axs of time and space intersect, and the literary works standsuch intersections are always conversing with social and historical chronotopes and mutually penetrating. Thus, finding and analyzing chronotope in literary works and extended things such as films and dramas reveals how chronotope and chronotope of a society have created specific social realities through a process of resonance. To make analytical use of this concept, we proposed a “cronotope drama analysis method” and concretely analyzed the genre of Korean medical dramas. The naturalized categories of health care, health, and disease are socially constructed entities, and the analysis of public works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is process of social construction is essential but was under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Korean medical drama’s “Chronotope” has evolved using “Chronotope of the school” and “Chronotope of the secret chamber”. At this time, the genre of Chronotope was expanding spatially and converging in time.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structures and systems within the genre has grown, and the capacity of individual actors has decreased. This change in chronotope was interpreted as resonating with the social reality of neo-liberalistic spatial expansion and simultaneous production. The neo-liberalistic trend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has embraced the category of health care and was further influencing the chronotope of drama text. It can also be inferred that the popular understanding of health care produced by the medical drama genre has taken a break in the process of forming a social reality of health care again.

keywords
Chronotope, Medical Drama, Genre, Structuralist Analysis, Coevolution, 크로노토프, 메디컬 드라마, 장르, 구조주의 분석, 공진화

참고문헌

1.

게리 솔 모슨·캐릴 에머슨, 『바흐친의 산문학』, 오문석 외 역, 책세상, 2006.

2.

권기배, 「모더니즘과 소설의 정의: 내면의식 고찰로서의 문학의 철학/철학의 문학」, 『한국슬라브학회』 제21권 4호, 2006, 1-24쪽.

3.

김병욱, 「「자랏골의 비가」의 크로노토프와 담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12집, 2001, 64-86쪽.

4.

김응숙, 「텔레비전 드라마<종합병원>의 담론 분석」, 『언론과 사회』 제3호, 1995, 130-161쪽.

5.

김종구, 「무진기행, 길의 크로노토프의 시학」, 『한국언어문학회』』 제49호, 2002, 253-274쪽.

6.

김종구, 「영화 읽기의 서사학: The Rhetoric of Hong Sang-soo’s Filmic Narrative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18호, 141-163쪽.

7.

김주미, 「<의협신문>에 나타난 의료전문주의의 담론화 방식」, 『언론과학연구』 제16권 3호, 2016, 77-110쪽.

8.

김주미, 『메디컬드라마』,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9.

데이비드 하비,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구동회·박영민 역, 한울, 2009.

10.

미하일 바흐찐,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전승희 역, 창작과비평사, 1988.

11.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 이규현 역, 나남, 2004.

12.

박 진, 「토도로프의 서사이론-서사시학의 성과와 한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19호, 2003, 130-156쪽.

13.

서정철, 「바흐찐과 크로노토프: 라블레의 소설연구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 제42호, 2011, 105-134쪽.

14.

송이은, 「노무현 정부 이후 진행된 한국 의료민영화의 성격」, 『한국사회학』 제46권 4호, 2012, 205-232쪽.

15.

신영전, 「‘의료민영화’정책과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역사적 맥락과 전개」, 『비판사회정책』 제29호, 2010, 45-90쪽.

16.

오연희, 「오정희 소설의 여성성 연구—“옛우물”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1호, 1997, 269-285쪽.

17.

오혁진, 「한국 병원드라마의 장르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8.

원용진·주혜정, 「텔레비전 장르의 중첩적 공진화」, 『한국방송학보』 제16권 1호, 2002, 300-332쪽.

19.

유승호, 「후기 근대와 공간적 전환」, 『사회와이론』 제23호, 2013, 75-104쪽.

20.

이채원, 「스릴러에서 블랙코미디로, 두 〈하녀〉 비교 연구」, 『문학과영상』 제12권 2호, 2011, 507-540쪽.

21.

이헌정, 「국내 텔레비전 메디컬 드라마가 의료현실을 다루는 방식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2.

주효진·임훈, 「메디컬 드라마 등장인물의 캐릭터 구조와 유형분석」, 『사회과학연구』 제41권 2호, 29-53쪽.

23.

츠베탕 토도로프, 『산문의 시학』, 신동욱 역, 문예출판사, 1973.

24.

한용환, 「텍스트 유형론의 실용성과 활용성」, 『동악어문학』 제37호, 273-291쪽.

25.

황영미, 「한국 TV 의학 드라마에 나타난 의사 캐릭터 유형 변화 양상 연구」, 『세계한국어문학』 제5호, 247-280쪽.

26.

Alexander, L., “Storytelling in Time and Space: Studies in the Chronotope and Narrative Logic on Screen”, Journal of Narrative Theory, 37-1, 2007, pp.27-65.

27.

Bemong, N . et a l. ( eds.), Bakhtin’s Theory of the Literary Chronotope: Reflections, Applications, Perspectives, Academia Press, 2010.

28.

Fiske, J., Television Culture, Routledge, 2006.

29.

Flanagan, M., Bakhtin and the Movies: New Ways of Understanding Hollywood Film, Palgrave Macmillan, 2009.

30.

Keunen, B., “Bakhtin, Genre Theory and Theoretical Comparative Literature: Chronotopes as Memory Schemata”, CLCWeb: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lture: a WWWeb Journal, 2-2, 2000, pp.1-15.

31.

Ladin, J., “Fleshing Out the Chronotope”, Critical Essays on Mikhail Bakhtin, Caryl Emerson (ed.), New York: Hall, 1999, pp.212-236.

32.

Vice, S., Introducing Bakhti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7.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