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상징체계로서의 설화—동서양 비교연구를 통해 본 동북아시아 설화의 상징성

Oral Literature as a Symbolic System—A Discourse on Northeast Asian Oral Literature in Comparative Studies of Eastern and Western Symbolism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9, v.25 no.3, pp.267-302
https://doi.org/10.18856/jpn.2019.25.3.008
이윤종 (원광대학교)

초록

‘설화’는 크게 ‘신화’, ‘전설’, ‘민담’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며, 역사 시대 이전부터 구전으로 전승된 이야기들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문화 연구의 관점에서 동북아시아 문화의 원천으로서의 설화를 거시적·담론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설화의 ‘상징성’에 초점을 맞춰 동서양의 설화를 둘러싼 담론을 비교연구하여 동북아시아 설화연구의 특성을 짚어 보고자 한다. 즉, 근대화를 거치면서 탈신화화되고 탈주술화된 서구 사회와 동북아시아에서 설화가 갖는 상징적 의미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설화는 오랜 기간을 거쳐 민간에서 구비전승되며 변화한 것은 물론 근대화 과정 속에서 문자화되며 고대의 원형적 모습을 잃고 현대성 속에서 ‘오염’됐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근대화가 탈각시킨 자연과 인간의 ‘유사성’의 원리는 아직까지도 설화에서 찾을 수 있다. 때문에 서구에서는 설화 중에서도 신화를 중심으로 잃어버린 주술적 사유를 복원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압축 근대화를 겪으며 상실한 신화적 사유의 상징성을 설화의 비유적 특성과 함께 고찰해보고자 한다.

keywords
설화, 신화, 전설, 민담, 상징체계, 비유적 언어, 비유, 카타크레시스, 제유, 환유, 닮음, 유사성, 인접성, 동북아시아, 서구, 비교연구, oral literature, myth, legend, folktale, symbolic system, figure of speech, trope, catachresis, synecdoche, metonymy, resemblance, similarity, proximity, Northeast Asia, the West, comparative studies

Abstract

Oral literature can largely be categorized into myth, legend, and folktales, which are stories orally transmitted from the prehistoric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scourse on the oral literature of the East and the West from a cultural studies viewpoint by focusing on its “symbolic systems,” particularly “figures of speech,” or “tropic traits”, in order to utilize this oral literature as a resource in the study of Northeast Asian culture. Undergoing modernization, the symbolic meaning of oral literature has been demythologized both in the West and in Northeast Asia. Of course, oral literature, verbally transmit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has naturally been changed over time and even “contaminated” in a sense by losing its original archaic archetype while it was textualized with letters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Nevertheless, the principle of “resemblance” and “similarity” between nature/universe and human/humanity, which has been stripped away in modernity, can still be found in oral literature with its mythic power. For this reason, the study of oral literature in the West has attempted to restore the lost magical power within it, particularly in myth. As such, this study delves into the symbolism of the mythic thought of Northeast Asian countries, namely Korea, China, and Japan, which has been lost in the course of their compressed modernization, in relation to the tropic figures of their oral literatures.

keywords
설화, 신화, 전설, 민담, 상징체계, 비유적 언어, 비유, 카타크레시스, 제유, 환유, 닮음, 유사성, 인접성, 동북아시아, 서구, 비교연구, oral literature, myth, legend, folktale, symbolic system, figure of speech, trope, catachresis, synecdoche, metonymy, resemblance, similarity, proximity, Northeast Asia, the West, comparative studies

참고문헌

1.

김화경, 『한국의 설화』, 지식산업사, 2002.

2.

나카자와 신이치, 『신화, 인류 최고(最古)의 철학』, 김옥희 역, 동아시아, 2001.

3.

로버트 단턴, 『고양이 대학살』, 조한욱 역, 문학과 지성사, 1996.

4.

미르치아 엘리아데, 『샤마니즘—고대적 접신술』, 이윤기 역, 까치글방, 1992.

5.

미셸 푸코, 『지식의 고고학』, 이정우 역, 민음사, 2000.

6.

미셸 푸코, 『말과 사물』, 이규현 역, 민음사, 2013.

7.

블라디미르 프롭, 『민담형태론』, 황인덕 역, 1998, 예림기획.

8.

송효섭, 『해체의 설화학』,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9.

육당전집편찬위원회 편, 『육당최남선 전집』 5권, 현암사, 1973.

10.

이윤종, 「동북아시아 ‘기로(棄老) 설화’의 영화적 재현: <고려장>과 <나라야마 부시코>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55,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133-158쪽.

11.

임동권, 「민속문학론」, 『현대문학』 3월호, 현대문학사, 1961.

12.

장덕순,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971.

13.

조셉 캠벨,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이윤기 역, 민음사, 1999,

14.

전경수, 『손진태의 문화인류학—제국과 식민지의 사이에서』, 민속원, 2010.

15.

정재서, 『동양적인 것의 슬픔—넘어섬, 그 힘의 예증까지』, 살림, 1996.

16.

정재서, 『살아있는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정재서의 신화비평, 동아시아 이미지의 계보학』, 문학동네, 2007.

17.

정재서, 『앙띠 오이디푸스의 신화학—중국신화학의 새로운 정립을 위하여』, 창비, 2010.

18.

주경철, 『신데렐라 천년의 여행』, 산처럼, 2005.

19.

최연숙, 『민담, 상징, 무의식』,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7.

20.

최인학, 『구전설화연구』, 1994, 새문사.

21.

카를 G. 융 외, 『인간과 상징』, 이윤기 역, 열린책들, 1996.

22.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신화와 의미』, 임옥희 역, 이끌리오, 2000.

23.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신화학』 전 4권, 임봉길 역, 한길사, 2005.

24.

프리드리히 니체, 『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 이진우 역, 책세상, 2012.

25.

M. 엘리아데, 『우주와 역사』, 정진홍 역, 현대사상사, 1976.

26.

Barthes, Roland, Mythologies, translated by Annette Lavers, New York: Farrar, Straus and Giroux, 1972.

27.

Deleuze, Gilles & Felix Guattari, Anti-Oedipus: Capitalism and Schizopherenia,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3.

28.

Foucault, Michel, The Order of Things: An Archaeology of Human Sciences, New York: Vintage Books, 1994.

29.

Frazer, James George, The Golden Bough: A Study on Magic and Religion, London: Wordsworth Editions, 1993.

30.

Freud, Sigmund, Totem and Taboo, translated by James Strarchey, New York: W. W. Norton, 1990.

31.

Hobsbawm, Eric & Terence Ranger (eds.), The Invention of Tradition (Thirteenth printing), Cambridge, UK: Canto, 2005.

32.

Jung, Carl Gustav, The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Collective Works of C. G. Jung), translated by R. F. C. Hull,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1.

33.

Tatar, Maria, The Classic Fairy Tales, New York: Norton, 199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