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Daum 웹툰 <바리공주>를 통해 본 고전 기반 웹툰 콘텐츠의 다층적 대화 양상—서사구조와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About the Multi-layered Communication of Princess Pari on the Webtoon Platform of Daum—Focusing on Analysis of Narrative Structure and Comment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19, v.25 no.3, pp.303-345
https://doi.org/10.18856/jpn.2019.25.3.009
최기숙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the multi-layered communication in the Webtoon Princess Pari, released on the Daum portal site, created (written and illustrated) by Kim Naim, through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comments with the qualitative / quantitative methodology. The webtoon Princess Pari is structured in an omnibus style in which unit narratives are intermittently articulated, multi-lined, and interconnected. As integrated narratives which link with unitary narratives, Pari’s growth story as a shaman and a romance narrative are structured. The classical original story of the shaman was used as a prehistory corresponding to the prequel of the webtoon through a preview, and the writer restructured the narrativ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the gender asymmetry and the patriarchal ideology of the original text. The viewer then creates a conversational space by giving critical and reflective comments. According to a statistical analysis conducted through sampling, the types of comment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 contents ≫ Emotional response ≫ Intuitive overall review ≫ Knowledge and reflection ≫ Comments on comments. In the process of creation and acceptance of the Webtoon, a multi-layered dialogue between classical and modern, content and audience, acceptance and creation has been at play. In the creation dimension, the writer used a device to fill the gap of mythical symbols of the contents. At the level of the audience, they formed a culture of sharing information, knowledge, and reflection about tradition/folk/culture through comments. This corresponds to classical and modern dialogue through the webtoon. The viewers form a sympathetic bond, attempt hermeneutical coordination, supplement the information, and search for a balanced angle through controversial conversation. In addition, by commenting on attitudes, views, and perspective, the commentators showed a behavioral pattern corresponding to meta-criticism in literature. The viewers’ comments acted as feedback on the creation of the webtoons, so that the creation and acceptance itself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the content of the webtoon. The webtoon Princess Pari, which was based on Korean classical narrative, has been reorganized onto ‘moving and dynamic’ content, which leads to sense, thinking, criticism and reflec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various dialogues.

keywords
Princess Pari, Paridegi, Webtoon[Web comics], comment, Shaman story, kwisin, Daum, Criticism, Kim Naim, 바리공주, 바리데기, 웹툰, 댓글, 서사무가, 귀신, Daum, 비평, 김나임

참고문헌

1.

김나임, 웹툰 <바리공주> http://webtoon.daum.net/webtoon/view/princessbari

2.

무적핑크, 웹툰 <조선왕조실톡>https://comic.naver.com/webtoon/list.nhn?titleId=642598&weekday=wed2014.12.9.~2018.11.17

3.

나무위키 ‘바리공주(웹툰)’ https://namu.wiki/w/%EB%B0%94%EB%A6%AC%EA%B3%B5%EC%A3%BC(%EC%9B%B9%ED%88%B0)

4.

강우규, 「바리 이야기의 웹툰 수용 양상과 의미 고찰: Daum 웹툰 <바리공주.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1-1,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311-338쪽.

5.

강진옥, 「무속 여성신화와 농경적 생명원리: <바리공주>와 <세경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 구비문학회, 2005, 307-346쪽.

6.

강혜선, 「서사무가(敍事巫歌) <바리공주>의 여성적 리더십 연구」, 『돈암어문학』 25, 돈암어문학회, 2012, 103-124쪽.

7.

김건형, 「웹툰 플랫폼의 공동독서와 그 정치미학적 가능성」, 『대중서사연구』 22-3, 대중서사학회, 2016, 119-169쪽.

8.

김대범, 「<신과함께>의 체험 공간화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4,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7-22쪽.

9.

김명희, 「웹툰 <바리공주>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연구」, 『한글』 79-4, 한글학회, 2018, 939-974쪽.

10.

김미라, 「웹툰 미생(未生)의 성공요인 분석: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중심으로」, 『바둑학연구』 11-2, 2014, 93-105쪽.

11.

김보현, 「웹툰 『조선왕조실톡』에 나타난 역사기록물의 문화 콘텐츠화 방식 연구」, 『한국고전연구』 37,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283-308쪽.

12.

김봉석, 「바리데기 신화 읽기의 교육과정학적 함의: 효(孝)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9-4,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1-23쪽.

13.

김정은, 「동해안무가 <바리데기>의 화자별 변이 양상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32, 2011, 351-392쪽.

14.

김주희, 「무용 소재 만화의 서사분석과 독자 반응 연구」, 『한국무용예술학』 68, 한국무용예술학회, 2018, 19-35쪽.

15.

김진철, 「웹툰의 제주신화 수용양상: 『신과함께』 <신화편>을 중심으로」, 『영주어문』 31, 영주어문학회, 2015, 37-62쪽.

16.

김혜림, 「웹툰 한중 번역전략 분석: 『신과함께-저승편』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23-2,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19, 49-70쪽.

17.

노홍주ㆍ전한성, 「한국신화의 문학교육 내용 구성의 한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2-1,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8, 133-168쪽.

18.

박창호, 「인터넷의 매개적 상호작용으로서의 댓글의 찬성과 반대에 대한 분석」, 『담론 201』 16-2,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135-164쪽.

19.

신동흔, 「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적 신 관념의 단면: 신과 인간의 동질성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43, 비교민속학회, 2010, 349-377쪽.

20.

엄윤주, 「웹툰의 댓글 현상을 통한 국어과 교육내용 재구성」,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1.

이경하, 「바리신화 ‘古典化’ 과정의 사회적 맥락」, 『국문학연구』 26, 국문학회, 2012, 7-31쪽.

22.

이동균ㆍ이서준ㆍ최인영,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금연 홍보 웹툰의 반응분석: “씌가렛뎐” 댓글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3-1, 한국보건정보 통계학회, 2018, 70-79쪽.

23.

이명현, 「<신과함께> 신화편에 나타난 신화적 세계의 재편: 신화의 수용과 변주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40, 한국구비문학회, 2015, 167-192쪽.

24.

이승연ㆍ박지훈,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문제와 재현방식: <당신과 당신의 도서관>, <목욕의 신>, <무한동력>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3, 한국소통학회, 2014, 209-242쪽.

25.

이태훈, 「웹툰의 영화화 트렌드에 대한 영화산업의 대중예술성 분석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6-5,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391-398쪽.

26.

이희경,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현대적 재해석: 전승본과 김선우의 소설 「바리공주」비교, 영상, 게임, 무대예술로의 현대적 변용을 중심으로」, 『동서언론』 13, 동서언론학회, 2010, 147-184쪽.

27.

장은진, 「한국 대중문화 속에 나타난 사후세계의 환상성」,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1, 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255-273쪽.

28.

최기숙, 「‘감성적 인간’의 발견과 감정의 복합성ㆍ순수성ㆍ이념화: 19세기 국문소설 <남원고사>의 ‘사랑’의 표상화 맥락」, 『고소설연구』 34, 고소설학회, 2012, 217-249쪽.

29.

최기숙, 「일상ㆍ노동ㆍ생애와 ‘성찰’의 힘, 대화의 공감 동력: <미생>이 던진 질문과 희망」, 『대중서사연구』 22-4, 대중서사학회, 2016, 235-278쪽.

30.

최수웅, 「주호민의 <신과함께>에 나타난 한민족 신화 활용 스토리텔링 연구」, 『동아인문학』 41, 동아인문학회, 2017, 71-99쪽.

31.

황예진, 「전통 서사에 반영된 저승관의 현대적 변용 연구」, 『글로컬창의문화연구』 7-2,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9, 21-32쪽.

32.

Choe, Keysook, Media Cultural Politics and the Politics of Sympathy-Queen Seondeok,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19-1, 2016, pp.111-137.

33.

Watanuki, Reiko, 「이용자간 상호작용성이 네이버 웹툰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베스트댓글과 일반댓글의 효과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