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article is a reexamination of the feminist criminal narrative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by Yang Gui-ja in the context of the rise of the women’s movement and consumer culture of the middle class in Gangnam in the 1980s and 1990s. At this time, the explosive media culture served to strengthen the ideology that placed the middle-class family at the center as well as the consumption culture. The combination of consumer media culture, women’s movement and democratization created a soft and domestic male image while visualizing the material foundation of the middle class in the 1990s of South Korea. In this novel, the domestic male image transforms the feminist criminal narrative into the narrative of the femme fatale attacking the stability and dignity of the middle class family, and at the moment of the transformation, the feminist woman Kang Min-ju is killed by a lower class man who has admired and loved her. This novel is not only current but also signifying as a text that overlaps sociocultural reproduction and feminist issues of the middle class based on Gangnam in the 1990s. This is because it show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femicide, such as serial murder of targeting women, as a core code of criminal narrative to be held in Korea since the late 1990s.
양귀자,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살림, 1992.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90년대편』 1권, 인물과사상사, 2006.
강준만, 「자동차의 미디어 기능에 관한 연구—자동차의 미디어 기능에 관한 연구, 자동차는 한국인의 국가, 사회 정체성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언론과학연구』 9, 한국지역언론학회, 2009, 5-46쪽.
김덕영, 『현대의 현상학- 게오르그 짐멜 연구』, 나남출판사, 1991.
김양선·김은하, 「양귀자의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이르는 길」, 『여성과 사회』 4, 한국여성연구소, 1993, 102-125쪽.
김지연, 「젠더폭력과 가부장제 사회: 데이트폭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김진송·엄혁·조봉진 기획, 『압구정동: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현실문화연구, 1992.
김항·이혜령, 『인터뷰: 한국 인문학의 지각변동』, 그린비, 2011.
더글라스 켈너, 『미디어 문화』, 김수정·정종희 역, 새물결, 1997.
레너드 카수토, 『하드보일드 센티멘탈리티』, 김재성 역, 뮤진트리, 2012.
류보선, 「길 찾기, 혹은 소설가의 숙명—「숨은 꽃」과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대하여」, 『경이로운 차이들』, 문학동네, 2002, 257-282쪽.
마거릿 콘, 『래디컬 스페이스』, 장문석 역, 삼천리, 2013.
미셸 바렛·메리 맥킨토시, 『반사회적 가족』, 김혜경·배은경 역, 나름북스, 2019.
미셸 푸코, 『성의 역사』I, 이규현 역, 나남출판, 1997.
박인혜, 「‘여성인권운동’의 프레임과 주체 변화에 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박혜경, 「폐허 속에 일구는 희망의 연대—양귀자의 작품세계」, 『문학의 신비와 우울』, 문학동네, 2002, 151-174쪽.
소현숙, 「1956년 가정법률상담소 설립과 호주제 폐지를 향한 기나긴 여정」, 『역사비평』 113, 역사비평사, 2015, 72-94쪽.
신병현, 「여성노동자의 집단적 정리해고와 ‘민주’노조 운동」, 『진보평론』 1, 진보평론사, 1999, 251-271쪽.
심진경, 『여성과 문학의 탄생』, 자음과 모음, 2015.
오자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정체성 형상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오혜진, 「퇴행의 시대와 ‘K문학/비평’의 종말—2015년 문학권력 논쟁 및 문학장의 뉴웨이브를 중심으로」,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한국문학의 정상성을 묻다』, 오월의 봄, 2019, 80-117쪽.
원영미, 「자동차공장 식당 여성노동자의 일상」, 『울산사학』 15, 울산대 사학회, 219-278쪽.
육현승, 「미디어로서의 자동차」, 『독일어문학』 80, 한국독일어문학회, 2018, 177-140쪽.
이광호, 「리얼리즘이 있던 자리—현길언·양귀자의 소설」, 『문학과 사회』 6(4), 1993, 1391-1406쪽.
정유성, 「역사 속의 신세대 1990년대—궁핍한 정신 풍요의 구가」, 『역사비평』, 역사문제연구소, 1996, 155-165쪽.
정정희, 「1990년대 여성작가 소설에 대한 비평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조용욱, 「근대 영국에서의 가정성(domesticity) 이념」, 『한국학논총』 39, 국민대 한국학 연구소, 2013, 325-356쪽.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80-90년대 한국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진보평론』 7, 진보평론, 2001, 126-148쪽.
주은우,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사회와 역사』 88, 한국사회사학회, 2010, 307-344쪽.
진형준, 「작품 해설 여성성의 신화적 임재」,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살림, 1992, 318-325쪽.
Amstrong, Nancy, Desire and Domestic Fiction: A Political History of the Nove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겨레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