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Agent “M”—‘혐오’의 장치와 리빙 데드의 (비)인간

Agent “M”—The Apparatus of “Hate” and Human or Non-Human Beings as Living Dead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1, v.27 no.1, pp.133-185
https://doi.org/10.18856/jpn.2021.27.1.004
권두현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Abstract

이 글은 낙태 문제를 다룬 텔레비전 드라마 <M>을 물질성, 관계성, 행위주체성 등의 이론적 초점과 연결시켜 행위적 현실(agential reality)의 축도로서 회절적으로 독해하려는 시도다.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에 따르면, 텔레비전 드라마 <M>은 당대의 의료 기술, 괴담과 전설, 그리고 남성중심적 정동 등의 물질적이고 담론적인 장치들의 행위적 내부작용을 통해 산출된 사회문화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1990년대는 기술, 담론, 정동 등의 장치들을 통해 ‘혐오’를 반복적으로 드러내는데, 이는 여성의 젠더화된 신체를 향한다. 성형과 낙태라는 물질적-담론적 실천은 몸을 둘러싼 행위적 현실이 의료 기술은 물론, 젠더화된 혐오의 정동과 긴밀하게 엮여 있다는 사실을 예증한다. 이와 관계된 또 다른 물질적-담론적 현상으로서 괴담의 유행과 전설의 재발견 역시 탈자연화된 몸에 대한 혐오의 정동으로부터 생산되고, 이 정동을 다시 한 번 확대재생산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이러한 정동 환경 속에서 등장한 <M>은 회절(diffraction)을 상연하는데, 이는 테크노-신체의 물질화에 대한 포스트휴먼적 함축을 결여한 채 백래시의 역행적 힘에 따라 이루어진다. <M>은 역사적으로 틀 지워지고, 맥락 속에서 정의된 ‘인간(Man)’에 대한 휴머니즘적 가정들을 보편적인 정의(justice)로서 앞세운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휴머니즘의 젠더화된 정의(definition)일 뿐이다. ‘낙태죄’ 폐지 이후, COVID-19 감염증 유행과 함께, 의료 기술 및 담론, 신체적 물질을 둘러싼 정동이 격렬히 내부작용하는 현재는 <M>이 애써 거부한 인간의 대안적 정의에 대해 신중하게 사유하고 응답해야 할 때다.

keywords
행위주체, 행위적 실재론, 수행적 유물론, 회절, 낙태, 젠더, 정동, 혐오, 테크놀로지, 드라마, <M>, Agent, Agential Realism, Performative Materialism, Diffraction, Abortion, Gender, Affect, Hate, Technology, Drama, M

참고문헌

1.

정세호 연출, <M>, MBC, 1994.8.1.~1994.8.30. (총 10부작)

2.

권명아, 젠더·어펙트 연구에서 연결성의 문제: 데이터 제국의 도래와 ‘인문'의 미래 , 석당논총 제77집,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5-38쪽.

3.

그레이엄 하먼, 네트워크의 군주-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철학, 김효진 역, 갈무리, 2019.

4.

그레이엄 하먼 , 비유물론, 김효진 역, 갈무리, 2020.

5.

김동식 외,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여성의 재생산 건강 및 권리 보장을 위한정책방향(연구보고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6.

김보명, ‘여성 공간’과 페미니즘-트랜스젠더 여성에 대한 배제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의 연구 제71권,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83-118쪽.

7.

김종대, 도시에서 유행한 빨간마스크의 변이와 속성에 대한 시론 , 한국민속학제41집, 한국민속학회, 2005, 95-121쪽.

8.

김환석 외,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전 지구적 공존을 위한 사유의 대전환, 이성과감성, 2020.

9.

노성환, 바다를 건넌 일본의 요괴-빨간 마스크의 도시괴담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제36집, 대한일어일문학회, 2007, 353-378쪽. ,

10.

노성환 일본의 민속생활, 민속원, 2009.

11.

노성환, 홍콩할매귀신과 일본의 요괴 , 일어일문학 제87집, 대한일어일문학회, 2020, 285-306쪽.

12.

레비 R. 브라이언트, 존재의 지도-기계와 매체의 존재론, 김효진 역, 갈무리, 2020.

13.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이경란 역, 아카넷, 2015.

14.

로지 브라이도티, 변신: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 김은주 역, 꿈꾼문고, 2020.

15.

멜리사 그레그·그레고리 시그워스 편저, 정동 이론, 최성희·김지영·박혜정 역, 갈무리, 2015.

16.

문선영, 전설에서 공포로, 한국적 공포물 드라마의 탄생 , 우리문학연구 제45집, 우리문학회, 2015, 229-259쪽.

17.

문선영, TV드라마의 과학적 상상력-M, RNA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82집(23권 1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317-337쪽.

18.

바바라 크리드, 여성괴물: 억압과 위반 사이, 손희정 역, 도서출판 여이연, 2020.

19.

복도훈, SF는 공상하지 않는다, 은행나무, 2019.

20.

손희정, 혐오의 시대-2015년,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 여/성이론통권 제32호, 도서출판여이연, 2015, 12-42쪽.

21.

송아름, 1990년대의 불안과 <여고괴담>의 공포 , 한국극예술연구 제34집, 한국극예술학회, 2011, 291-324쪽.

22.

쇼히니 초두리 편저, 페미니즘 영화이론, 노지승 역, 앨피, 2012.

23.

신유나·최규진, 낙태죄 제·개정 및 법적 논쟁의 역사: 사회·정치적 맥락을 중심으로 , 민주주의와 인권 제20권 제2호,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0, 169-206쪽.

24.

앤 마리 발사모, 젠더화된 몸의 기술-사이보그 여성 읽기, 김경례 역, 아르케, 2012.

25.

엘리자베스 그로스, 몸 페미니즘을 향해: 무한히 변화하는 몸, 임옥희·채세진 역, 꿈꾼문고, 2019.

26.

원용진 외, 메디컬 드라마의 크로노토프 , 대중서사연구 제25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9, 169-216쪽.

27.

윤지영, 현실의 운용원리로서의 여성혐오: 남성공포에서 통감과 분노의 정치학으로 , 철학연구 제115집, 철학연구회, 2016, 197-243쪽.

28.

이강원, ‘젠더’와 트랜스섹슈얼리즘: 성전환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인류학에 대한성전환적 연구 , 비교문화연구 제19집 1호,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3, 5-39쪽.

29.

임소연, 성괴를 위한 변명: 사이보그 프로젝트로서의 성형수술 , 한국과학기술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과학기술학회, 2017.5, 88-98쪽.

30.

임소연,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안-사이에서 ʻʻ몸과 함께ʼʼ , 과학기술학연구 제19권 제3호, 한국과학기술학회, 2019, 169-202쪽.

31.

제인 베넷, 생동하는 물질: 사물에 대한 정치생태학, 문성재 역, 현실문화, 2020.

32.

조주현, 난자: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 한국여성학 제22권2호, 한국여성학회, 2006, 5-40쪽.

33.

조주현, 과학적 실천이론과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의 접점: 캐런 바라드의 경우 , 한국여성철학 제25권, 한국여성철학회, 2016, 65-104쪽.

34.

주디 와이즈먼, 페미니즘과 기술, 조주현 역, 당대, 2001.

35.

캐런 바라드, 행위적 실재론-과학실천 이해에 대한 여성주의적 개입 , 박미선 역, 문화과학 제57호, 문화과학사, 2009, 61-82쪽.

36.

하대청, 위험, ‘괴담’, 감정 , 2016년 한국과학기술학회 후기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과학기술학회, 2016.12, 61-69쪽.

37.

허버트 마셜 매클루언, 기계신부: 산업사회 인간의 민속설화, 박정순 역,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8.

Barad, Karen, “Agential Realism: Feminist Interventions in Understanding Scientific Practices”, Science Studies Reader, Mario Biagioli (ed.), New York: Routledge, 1999, pp.1-11.

39.

Barad, Karen, “Posthumanist Performativity: Toward an Understanding of How Matter Comes to Matter”, Signs, Vol.28 No.3, Gender and Science: New Issue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pp.801-831.

40.

Barad, Karen,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ke University Press, 2007.

41.

Foster, Hal, “An Archival Impulse”, October, Vol.110, MIT Press, 2004, pp.3-22.

42.

Fraser, Nancy, Justice Interruptus: Critical Reflections on the “Postsocialist” Condition, New York: Routledge, 1997.

43.

Gamble, Christopher N., Joshua S. Hanan & Thomas Nail, “What is New Materialism?”, Angelaki, Vol.24 No.6, 2019, pp.111-134.

44.

Haraway, Donna, Staying with the Trouble, Duke University Press, 2016.

45.

Harris, Anne M. & Stacy Holman Jones, The Queer of Things: Performance, Affect, and the More-Than-Human, Lexington Books, 2019.

46.

Rasmussen, Søren, “Anarchival Scripts”, Capacious: Journal for Emerging Affect Inquiry, Vol.2 Nos.1-2, OPEN HUMANITIES PRESS, 2020, pp.186-205.

47.

Rouse, Joseph, “Feminism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Feminism, Science, and the Philosophy of Science, J. Nelson (ed.), Kluwer Academic Pub, 1997, pp.195-215.

48.

Rouse, Joseph, Engaging Science: How to Understand its Practices Philosophically, Cornell Univ Press, 2010.

49.

Slaby, Jan & Christian von Scheve (eds.), Affective Societies: Key Concepts, Routledge, 2019.

50.

<PC로 교정형태 미리 선택>, 매일경제, 1990.5.27.

51.

<권인숙 “‘14주 낙태’는 역사적 퇴행…낙태죄 전면 폐지 개정안 발의할 것”>, 경향신문, 2020.10.7.

52.

<성전환판결엇갈려혼선>, 조선일보, 1990.6.30.

53.

<성형수술의 패션화 시대>, 경향신문, 1990.6.15.

54.

<세계 유일 ‘0명대 출산율’ 참사…시작은 80년대 초음파 검진>, 중앙일보, 2019. 11.30.

55.

<청주지법성전환1호>, 경향신문, 1990.6.30.

56.

<호주제 폐지 이끌어낸 여성 100인 “낙태죄도 전면 폐지하라”>, 경향신문, 2020. 9.28.

57.

“시기별 인구정책: 1990-2000”, <국가기록원-인구정책>(http://theme.archives.go.kr/next/populationPolicy/policy2000.do)

58.

루인, “Queering up history: 가장 소란스러운 아카이브”,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 2019.8.(http://www.zineseminar.com/wp/issue02/%ED%8A%B8%EB%9E%9C%EC%8A%A4-%EC%97%AD%EC%82%AC-%ED%80%B4%EC%96%B4%EB%A7%81-%EC %95%84%EC%B9%B4%EC%9D%B4%EB%B8%8C/)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