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A study on the ludonarrative dissonance of AAA-level games, examined through <The Last of Us part Ⅱ>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1, v.27 no.1, pp.227-265
https://doi.org/10.18856/jpn.2021.27.1.006

Abstract

본고는 본격적인 게임 비평의 영역에서 발생한 루도내러티브 부조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최근작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를 대상으로 이를 구체화한다. 그 과정에서 이 게임이 루도내러티브 부조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그동안의 게임성에 대한 정의를 넘어서는 인지적 경험을 플레이어에게 전달하고 있음을 살핀다. AAA급 게임의 전방위적인 발달과 함께 루도내러티브 부조화는 각각의 게임들이 극복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로 나타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는 루도내러티브 부조화를 극복하는 것보다는 더욱 드러내는 방식으로 새로운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가 전달하는 루도내러티브 부조화에는 아이러니한 해석적 가능성의 효과들이 있다. 본고는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부조화를 살피는데, 첫 번째는 게임 내부의 플레이-서사 구조 사이의 부조화다. <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2>는 두 구조 사이에서 발생하는 부조화를 플레이어에게 환기시킴으로써, 플레이어가 그러한 부조화를 인지하고 전체 게임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두 번째로 게임의 내적 구조를 넘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플레이어 내부에 존재하는 인지적 부조화를 자극한다. 바로 게임성이라는 개념을 확장하여, 게임이 편의적인 자기효능감을 위한 도구 이상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환기하는 것이다. 이처럼 루도내러티브 부조화는 게임성에 대한 더 근본적인 재정의 및 변화 가능성에 대한 문제의식의 표현이 될 수 있다.

keywords
루도내러티브 부조화, 더 라스트 오브 어스, 게임, 서사, 아이러니, ludonarrative dissonance, The Last of Us, game, narrative, irony

Reference

1.

<The Last of Us PartⅡ>, Naughty Dog, 2020.

2.

김희선, 오픈 월드 게임의 중첩적 구성과 메타시뮬레이션 고찰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0권 4호, 한국게임학회, 2020, 47-56쪽.

3.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의 즐거움, 이희재 옮김, 해냄, 2001.

4.

박인성, 기생과 병존 사이, 게임의 육체 , 자음과모음 35호, 자음과모음, 2017, 254-267쪽.

5.

박인성, 2010년대 비디오 게임에서 나타는 서사와 플레이의 결합 방식 연구-AAA급게임의 심리스(Seamless) 스타일을 중심으로 , 한국근대문학연구 41호. 근대문학회, 2020, 83-111쪽.

6.

유승환, 게임과 서사의 충돌과 그 극복의 노력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14집,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7, 317-363쪽.

7.

Hutcheon, Linda, Irony’s Edge: The Theory and Politics of Irony, Routledge, 1994.

8.

Miller, J. Hillis, Versions of Pygmalion, Harvard Univ Press, 1990.

9.

Murphy, David, “Hybrid Moments: Using Ludonarrative Dissonance for Political Critique” The Journal of the Canadian Game Studies Association, Vol.10No.15, 2016, pp.1-12.

10.

Seraphine, Frédéric, “The Rhetoric of Undertale-Ludonarrative Dissonance and Symbolism-”, Digital Games Research Association JAPAN Proceedings of 8th Conference, 2018.3.2.-3.3. 3.

11.

Grubb, Jeff, “Red Dead Redemption 2 is a disappointment”, VentureBeat, 2018.10.28. (https://venturebeat.com/2018/10/29/red-dead-redemption-2-is-adisappointment/)

12.

Hocking, C. “Ludonarrative Dissonance in Bioshock: The problem of what game is about”, 2007.10.7. (http://clicknothing.typepad.com/click_nothing/2007/10/ludonarrative-d.html)

13.

Makedonski, B., “Ludonarrative Dissonance: The roadblock to realism”, 2012.9.26. (https://www.destructoid.com/ludonarrative-dissonance-the-roadblock-to-realism235197.phtml)

14.

Myers, Maddy, “The Last of Us Part 2 review: We’re better than this”, Polygon, 2020.6.12. (https://www.polygon.com/reviews/2020/6/12/21288535/the-last-of-us-part-2-r eview-ps4-naughty-dog-ellie-joel-violence)

15.

Plante, Chris, “The Last of Us 2 epitomizes one of gaming’s longest debates”, Polygon, 2020.6.26. (https://www.polygon.com/2020/6/26/21304642/the-last-of-us-2-violence)

16.

Seraphine, Frédéric, “Ludonarrative Dissonance: Is Storytelling About Reaching Harmony?”, 2016.9.2.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07569310_Ludonarrative_Dissona nce_Is_Storytelling_About_Reaching_Harmony)

17.

“There are games that are just comfort food. This is not one of those”, Aoife Wilson interview with Neil Druckmann, EUROGAMER, 2020.6.5. (https://www.eurogamer.net/articles/2020-06-05-there-are-games-that-are-justcomfort-food-this-is-not-one-of-those)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