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738-3188
이 글은 <순수의 시대>의 서사와 회화, 음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을 통하여 공감각적 미학 세계를 이해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서사와 관련한 회화의 이차원적 상호텍스트성 분석은 Old New York이 소장한 회화, 엘렌이 소장한 회화, 파커 하우스 거리 화가의 초상화, 루브르 미술관의 루벤스 회화 등이 대상이다. 또 서사와 관련한 공연의 삼차원적 상호텍스트성 분석은 구노(Charles F. Gounod)의 <파우스트>가 공연되는 뉴욕 아카데미 오브 뮤직, 부시코(Dion Boucicault)의 <방랑자>가 공연되는 웰랙 극장, 이 두 곳의 무대와 박스석이 대상이다. 다음으로, 서사와 관련한 음악의 상호텍스트성 분석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제8번, 멘델스존의 현악오중주 제2번 등 내재/외재의 클래식과 외재의 번스타인(Elmer Bernstein) 음악이 대상이다. <순수의 시대>의 구성적 사건은 지속되지 않는 사랑과 욕망의 되새김 속에 갇힌 열정을, 보충적 사건은 Old New York의 가부장제 권위가 초래한 사고의 편협과 가치의 전도를 내포한다. 영화 속 인물들은 제한을 받지 않는 표면은 제시하고, 문제가 되는 이면은 은폐하는 이중생활을 한다. 등장인물은 클라이맥스에서도, 엔딩에서도 감정을 노출하지 않으려고 절제한다. 영화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억압적 삶의 유형과 성격인데, 이를 표현하는 데 연기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서 회화, 음악 등의 도움으로 내면세계를 더 섬세히 표현한다. <순수의 시대>에 등장하는 회화와 음악의 상호텍스트성은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미묘한 감정을 연속성으로 강조한다. 마치 각 부분이 이전 부분에 각인된 것 같은 공감각적 이미지를 지니고, 그 연속성으로 “쉼 없이 계속되는 카메라 움직임들과 몽타주 효과에 부응한다.” <순수의 시대>에서 에로틱의 역동성은 욕망을 드러내는 일과 그 욕망이 금기에 가려지는 일 사이에서 교묘한 줄타기를 하는 충족과 실망을 오가며 극적 흥분을 최고조로 끌어올린다. 서사와 관련한 회화와 음악이 2차원적 평면과 한정적 프레임의 한계를 극복하는 미학적 성과를 얻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순수의 시대>에서의 동일화는 영화 서사의 시청각적 재현을 통한 공감각적 미학 세계를 구축한 것에 기반을 두고 형성하므로 영화 미학의 가능성을 재발견하는 의의가 크다.
이디스 워튼, 순수의 시대, 송은주 역, 민음사, 2018.
Bernstein, Elmer, Film The Age of Innocence, Soundtrack, Sony Legacy, 1993.
Scorsese, Martin, Film The Age of Innocence, Columbia Pictures Presents, 1993.
김숙재, 이디스 워튼(Edith Wharton)의 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에 나타난 순수(Innocence) 이데올로기의 메커니즘 , 일립논총 12집, 한국성서대학교출판부, 2006, 47-74쪽.
리차드 시켈, 마틴 스코세이지와의 대화, 이태선 역, 비즈앤비즈, 2012.
벵상 피넬, 몽타주-영화의 시간과 공간-, 심은진 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4.
신사빈, 영화 <센소>의 멜로드라마 속성과 문화 혼종성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26호,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5-25쪽.
에바 일루즈, 감정 자본주의, 김정아 역, 돌베개, 2012.
에바 일루즈, 사랑은 왜 아픈가-사랑의 사회학-, 김희상 역, 돌베개, 2013.
음악세계 편집부, 작곡가별 명곡해설 라이브러리 1: 베토벤, 김방현 역, 음악세계, 2003.
이미선, 대상 소타자로 작용하는 엘런 올렌스카-순수의 시대에 나타난 남녀관계 , 비교문화연구 53집,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73-102쪽.
자크 아몽, 멈추지 않는 눈, 심은진·박지회 역, 아카넷, 2019.
자크 아몽 외, 영화미학, 이용주 역, 동문선, 2003.
정락길, 마틴 스코세이지의 <순수의 시대>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연구 , 외국문학연구 46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131-154쪽.
정혜옥, 모녀 관계 정립을 통한 여성의 독립: 순수의 시대(The Age of Innocence)를중심으로 , 현대영미소설 6권 1호,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1999, 339-366쪽.
질 무엘릭, 영화음악, 박지회 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20.
프랜시스 베렌슨, 음악의 감정적 내용에 대한 해석 , 마이클 크라우츠 엮음, 음악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김정진 역, 음악세계, 2012, 100-119쪽.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2006.
한스 크리스찬 슈미트, 영화음악의 실제, 강석희·김대웅 역, 집문당, 2001.
허정애, 인종주의의 우화로서의 순수의 시대 , 영미어문학 56호, 한국영미어문학회, 1999, 65-84쪽.
Gargano, James W., “Tableaux of Renunciation: Wharton’s Use of The Shaughran in The Age of Innocence”, Studies in American fiction 15(1),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1987, pp.1-12.
Kalisch, Volker, “The Certainty of the Uncertain: Notes on Mendelssohn’s String Quintets”, translated by Susan Steiner & Richard Haney-Jardine, L'Archibudelli, Mendelssohn-String Quintets(CD), Sony Music Entertainment Inc., 2000, pp.5-9.
Lawrence, Amy, “The Age of Innocence: Layers of Containment”, The Psychoanalytic Review 81(2), Guilford Publications, Inc., 1994, pp.328-332.
Moseley, Edwin M., “The Age of Innocence: Edith Wharton’s Weak Faust, College English 21(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1959, pp.156-160.
Nicholls, M., “Male Melancholia and Martin Scorsese’s The Age of Innocence”, Film quarterly 58(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pp.25-35.
Lewis, Jo Ann, “‘The Age of Innocence’(PG)”, Washington Post, 1993.10.31. (https://www.washingtonpost.com/wp-srv/style/longterm/movies/videos/theageofinnocencepglewis_a09e3f.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