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활자와 이미지로 읽는 할리우드—1920년대 조선극장의 영화관 프로그램과 미국 ‘특작’영화 경쟁

Hollywood in Print—Movie Programmes of a Korean Theater in Ethnically Segregated Kyǒngsǒng in the 1920s and the Reception of Hollywood Prestige Picture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1, v.27 no.1, pp.53-98
https://doi.org/10.18856/jpn.2021.27.1.002
안세정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한국학과)

Abstract

본 논문은 초창기 스튜디오 시스템의 설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상품화한 미국영화와 할리우드라는 산업적 표상이 1920년대 경성의 조선인 극장가에 수용되었던 한 양상을 검토한다. 특히, 고급영화상설관을 지향했던 조선극장의 영화관 프로그램과 홍보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특작영화 수입을 둘러싼 조선인 상영업자들의 경쟁을 살펴보고 그와 함께 초래된 관객성 분화의 단초를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작비가 많이 투입된 특작영화 제작의 역사적, 경제적 배경을 할리우드 거대 영화사들이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추구했던 규모의 경제를 통해 비교영화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영화라는 상품이 브랜드가 되고, 계획된 홍보와 마케팅을 바탕으로 전략적으로 판매될 수밖에 없었던 경제적 동기를 분석할 것이다. 둘째, 경성의 조선인 극장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장편영화로의 이행을 감행했던 조선극장이 미국 파라마운트 회사의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브랜드 인지도를 전용하여 고급상설관으로서 차별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려 했던 노력을 주보와 전단지 읽기를 통해 재구성한다. 기존의 일제 강점기 영화와 극장문화 연구에서 홍보와 마케팅의 역할은 단편적인 언급 외에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한 영역이었다. 본 논문은 주보와 전단지가 수행한 홍보와 매개의 기능에 주목하여, 활자와 이미지를 통한 할리우드 특작 영화 ‘읽기’를 시도한다. 주보와 전단지는 영화를 홍보하고, 관객에게 영화 선택을 도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영업자들이 주도적으로 발행한 선전 홍보물이다. 개봉될 영화에 대한 줄거리와 그 밖의 다양한 내용을 글과 이미지를 이용해 구현했던 인쇄물은 관객들의 영화‘보기’를 보완하는 독립적인 ‘읽기’의 매체이자 영화상품의 유통과정의 양쪽 스펙트럼에 존재하는 생산과 수용을 연결하는 매개적인 매체이기도 했다.

keywords
Theater Culture in Kyǒngsǒ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Chosǒn Kǔkchang(Theater), Movie Programme and Handbill, Publicity and Marketing of Films, Prestige Pictures, Paramount Pictures, Comparative History of Cinema, 식민지시대 극장문화, 조선극장 주보, 할리우드 영화 수용, 미국영화의 홍보, 특작영화, 파라마운트사, 비교영화사

참고문헌

1.

동아일보

2.

매일신보

3.

시대일보

4.

조선일보

5.

조광

6.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편, 자료로 보는 일제강점기 극장문화, 대한민국역사박물관,

7.

김병희, 1920-1930년대 영화광고와 보도기사에 나타난 영화 마케팅 메시지 분석 근대광고 미시사 , 광고연구 제79집, 한국광고홍보학회, 2008, 33-61쪽.

8.

김상민, <아리랑>과 할리우드 , 연구모임 시네마바벨 엮음, 조선영화와 할리우드, 소명출판, 2014, 111-147쪽.

9.

백문임, 조선 영화비평에서 미국영화의 문제: 1916-1931 , 연구모임 시네마바벨엮음, 할리우드 프리즘: 20세기 한국영화와 할리우드, 소명출판, 2017, 115-185쪽.

10.

안종화, 한국영화측면비사, 현대미학사, 1998.

11.

유선영, 황색 식민지의 서양영화 관람과 소비실천, 1934-1942: 제국에 대한 ‘문화적부인’의 실천성과 정상화 과정 , 언론과 사회 제13권 2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5, 7-62쪽.

12.

이구영, 사건으로 본 영화이면사-원로 영화인이 회고하는 어두운 시대의 증언 , 영화예술 1970년 11월~1972년 4월 연재.

13.

이순진, 조선인 극장 단성사: 1907-1939, 한국영상자료원, 2011.

14.

이승희, 조선극장의 스캔들과 극장의 정치경제학 , 대동문화연구 제72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115-156쪽.

15.

이호걸, 식민지 조선의 외국영화-1920년대 경성의 조선인 영화관에서의 외화상영 , 대동문화연구 제72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79-116쪽.

16.

이화진, 유럽영화의 조선배급: 도와상사(東和商事)의 사례를 중심으로 , 현대영화연구 제12권 3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281-334쪽.

17.

이화진, 소리의 정치: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제국의 관객, 현실문화, 2016.

18.

정충실, 1920~30년대 경성 영화관의 상영환경과 영화문화: 변화와 차이를 중심으로 , 아세아연구 제57권 3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4, 113-145쪽

19.

한국예술연구소 편, 이영일의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 김성춘․복혜숙․이구영편, 도서출판 소도, 2003.

20.

한상언, 유니버설 할리우드의 상륙: 1910년대 중반 경성에서 유니버설 영화의 상영 , 연구모임 시네마바벨 엮음, 할리우드 프리즘: 20세기 한국영화와 할리우드, 소명출판, 2017, 17-48쪽.

21.

近藤和都, 映画観客の読書実践――1920年代日本における映画館プログラムと 観ること , マス・コミュニケーション研究 87号, 2015, pp.137-155.

22.

Bakker, Gerben, “Stars and Stories: How Films Became Branded Products”, Enterprise & Society, Vol.2 No.3, 2001, pp.461-502.

23.

Balio, Tino, Grand Design: Hollywood as a Modern Business Enterprise, 1930-1939,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24.

Bowser, Eileen, The Transformation of Cinema, 1907-1915, Berkeley and Los Angeles: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25.

Cook, Pam & Mieke Bernink (eds.), The Cinema Book,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1999.

26.

Gomery, Douglas, The Hollywood Studio System: A History,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2005.

27.

Gunning, Tom, D.W. Griffith and the Origins of American Narrative Film: The Early Years At Biograph, Champaig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4.

28.

Koszarski, Richard, An Evening’s Entertainment: The Age of the Silent Feature Picture, 1915-1928,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29.

Nowell-Smith, Geoffrey (ed.), The Oxford History of World Cinema,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30.

Schatz, Thomas, The Genius of the System: Hollywood Filmmaking in the Studio Ear, New York: Pantheon Books, 1998.

31.

Staiger, Janet, “Announcing Wares, Wing Patrons, Voicing Ideals: Thinking about the History and Theory of Film Advertising”, Cinema Journal, Vol.29 No.3, 1990, pp.3-31.

32.

Thompson, Kristin, Exporting Entertainment: America in the World Film Market, 1907-34, London: British Film Institute, 1985.

33.

KOFA 콜렉션: 일제시기 조선인극장 주보 콜렉션. (https://www.kmdb.or.kr/history/leaflet)

34.

www.imdb.com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