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738-318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background of the acceptance and formation of Manmun Manhwa in colonial Joseon. It raises questions about previous discussions that cartoons have emerged as a political product of Japan’s suppression of the media. Through this, this paper look at other possibil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colonial Joseon’s situation of inner movement and the influx of popular culture. The term “Manmun-Manhwa” was first used in 1925, not by Ahn Seok-Ju. In addition, Ahn Seok-Ju returned home after studying in Tokyo and developed a cartoon in earnest. This paper trac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his interest in universal comics. Ahn Seok-Ju emphasized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image to all cartoonists. This marked the birth of a cartoonist with literary qualities and a cartoonist with the ability to write. This represents the cultural scene of the 1920s and 1930s, which was reorganized from text-oriented to Image text, with the emergence of a unique style of universal comics. In the end, Manmun Manhwa(comics) have emerged as the purpose of modern journalism and a strategy to popularize them.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is era, the acceptance of Manmun Manhwa is being examined in various ways in the connection between comics and essays. Like this, Manmun Manhwa are an important symbol of the colonial cultural arena, reorganizing not only cartoon history but also modern media into image text.
개벽
신여성
동아일보
조선일보
시대일보
고은지, 1930년대 대중문화 속의 ‘춘향전’의 모던화 양상과 그 의미 , 민족문화사연구 34호, 민족문학사학회, 2007, 272-303쪽.
강소영,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와 만화만문(漫畵漫文), 그리고 조선만화행(朝鮮漫畵行) , 일본연구 74호, 일본연구소, 2017, 7-28쪽.
류종렬, 일제 말기 이주홍의 만문만화 연구(1) , 한국문학논총 제74집, 한국문학회, 2016, 393-428쪽.
류종렬, 일제 말기 이주홍의 만문만화 연구(2) , 한국문학논총 제76집, 한국문학회, 2017, 405-437쪽.
서유경, 만문만화 <모던 심청전> 연구 , 문학교육학 46,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195-220쪽.
서유경, 심청전의 근대적 변용 연구 , 고전문학과 교육 30,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45-72쪽.
서유경, 판소리 문학 재생산에 나타난 도시 문화적 양상 , 판소리연구 41, 판소리학회, 2016, 107-133쪽.
서은영, 한국 근대 만화의 전개와 문화적 의미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서은영, 1930년대 기자-만화가의 한 양상: 최영수를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제23권 4호, 대중서사학회, 2017, 93-122쪽.
손상익, 한국만화통사 상, 시공사, 1999.
시미즈 이사오 편, 풍자만화로 보는 근대일본, 장영순 역, 소명, 2011.
신명직, 안석영 만문만화 연구 , 현대문학의 연구 17, 한국문학연구학회, 2001, 7-67쪽.
신명직, 모던보이 경성을 거닐다, 현실문화연구, 2003.
신명직, 김규택 만문만화와 ‘웃음’ , 사에구사 도시카쓰 외, 한국 근대문학과 일본, 소명, 2003.
신원기, 開闢의 <銀파리>에 나타난 풍자의 양상 , 동학학보 제58호, 동학학회, 2021, 79-105쪽.
야마모토 사에, 東京朝日新聞에 연재한 오카모토 잇페이(岡本一平)의 <朝鮮漫 画行>(1927): 신문 만화에 그려진 일본 통치하의 한국 , 미술사논단 38, 한국미술연구소, 2014, 185-209쪽.
안석주, 안석영문선, 관동출판사, 1984.
안석주, 인간궤도, 푸른꿈, 1991.
윤기헌, 한국근대만화사 가이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염희경, 방정환, 다시 문제는 필명이다(1)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제23호,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47-89쪽.
이상경, 부인에서 신여성까지-근대여성 연구의 기초자료 , 근대서지(2), 소명출판, 2010, 146-188쪽.
장정희, 방정환 문학연구-‘소년소설’의 장르의식과 서사전략을 중심으로 ,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최 열, 한국만화의 역사-우리 만화의 발자취 일천년, 열화당, 1995.
최윤정, 일제 강점기 이주홍의 만화 , 스토리&이미지텔링 14권, 건국대학교GLOCAL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7, 445-480쪽.
최혜진, 김규택 판소리 문학 작품의 근대적 특징과 의미 , 판소리연구 35, 판소리학회, 2013, 251-286쪽.
최호석, 웅초 김규택의 장편 만문만화에 대한 연구-20세기 초 고전소설의 양식적전환과 관련하여 , 한국언어문학 제92호, 한국언어문학회, 2015, 183-208쪽.
保科英人, 戰前の新聞にみる昆虫漫画 , 日本海地域の自然と環境 No.21, 2014, pp.107-117.
清水 勲, 四コマ漫画-北斎から 萌え まで, 岩波新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