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738-3188
본고는 김려령 작가의 소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 이한 감독의 영화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을 대상으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의 변형 과정을 분석하여, 포스트IMF시대 가족해체 및 ‘개인화’를 둘러싸고 상이한 서사적 대응이 공존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개념에 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원작에서 출발한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마리-로르 라이언의 서사학적 관점인 ‘트랜스픽셔낼러티(transfictionality)’를 참조하였다. 소설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은 가족해체라는 실존적 조건을 받아들이는 ‘개인화’의 두 가지 양상을 드러낸다. 소설 『완득이』는 ‘자기 발견’을 통해 가부장 중심의 가족로망스를 벗어나 친밀한 개인들의 동행과 같은 느슨한 가족 유대를 보여주었다. 소설 『우아한 거짓말』은 철저히 고립된 자신을 발견하는 청소년의 이야기를 통해 ‘고통의 개인화’를 보여주는 동시에 남겨진 자들의 애도가 불가능함을 서늘하게 그려냈다. 한편, 영화로 전환된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은 가족 해체에 직면한 가족 구성원들이 이에 맞서 가족을 재발견하고 복원하는 서사를 보여 주었다. 영화 <완득이>는 다문화 정체성을 통해 가족공동체의 확장을 도모하였고, 영화 <우아한 거짓말>은 남겨진 가족들이 슬픔 속에서도 ‘자살생존자’로 살아남아 자신들의 애도를 완성하였다. 위 소설의 스토리월드는 청소년 개인의 ‘자기 발견’에, 영화로 전환된 스토리월드는 ‘가족을 재발견’하는 데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스토리텔링의 변형, 특히 서사구조의 재구성(‘수정 modification’)을 통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매체 전환 텍스트들 간의 관계를 ‘충실한 재현’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은 물론 상반된 주제와 세계관을 보여 주고 있다. 즉 ‘인물의 등장’이라는 기준점을 제공하되, 원작에서 출발하여 매체를 전이하면서 스토리텔링을 변형시킴으로써 원작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이질적인 목소리들을 생성하여 다성적 스토리월드로 개방하였다. 가족해체와 개인화를 둘러싸고 불확실성이 증폭하는 포스트IMF시대에, 이와 같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의해 생성된 다성적(多聲的) 스토리월드는 개인의 자유/위험과 공동체에의 안주라는 이질적인 욕망을 경험하도록 이끈다. 이는 ‘횡단, 초월, 변형’을 근간으로 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문화정치적 함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김려령, 완득이, 창비, 2008.
김려령, 우아한 거짓말, 창비, 2009.
이한 감독, <완득이>, 유비유필름․어나더무비스, 2011.
이한 감독, <우아한 거짓말>, 유비유필름․무비락, 2014.
강문희․이광자․송보경, IMF 이후의 가족생활형태의 변화 , 여성연구논총 13,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1998, 5-32쪽.
강유정, 장르로서의 청소년 소설 , 타인을 앓다, 민음사, 2016, 167-180쪽.
고경민, 재생산과 재매개 도구로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스토리앤이미지텔링 12,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47-70쪽
권호창,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일관성 개념과 분석 방법에 관한 시론 , 문화와 융합 제42권 9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349-367쪽.
김경희․김혜미, 자살자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변화 사례 연구: 소설 우아한 거짓말을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설계와 실행 , 문학치료연구 52,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37-84쪽.
김기홍 외, 문화콘텐츠와 트랜스미디어: 어벤져스에서 오즈의 마법사까지, HUINE, 2016.
김미영, 다문화 사회와 소설교육의 한 방법: 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 42, 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79-104쪽.
김미현, 가족이데올로기의 종언 :1990년대 이후 소설에 나타난 탈가족주의 , 여성문학연구 13,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137-168쪽.
김성진, 학교 폭력에 대한 청소년 소설의 서사화 양상 , 문학치료연구 26,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333-354쪽.
김영찬, 아비 없는 소설극장: 2000년대 젊은 작가들의 상상세계1 , 비평극장의 유령들, 창비, 2006, 196-215쪽.
김예림, 존중 없는 사회의 대중문화, 그 욕망과 미망에 대한 단상 , 문학과사회통권 제98호, 문학과지성사, 2012, 154-170쪽.
김 윤, 청소년소설과 가족이야기 , 창비어린이 11(4), 창비어린이, 2013, 189-203쪽.
김인숙, IMF 이후 빈곤가족 해체의 현황과 대안 , 사회복지리뷰 4권 1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1999, 35-63쪽.
김정훈, 특집: 한국에서의 개인화 과정과 개인주의: 개인화의 양면성과 새로운 정치의 가능성 , 동향과 전망 94,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9-44쪽.
김준형, 야담에 등장한 트릭스터와 소설적 지향 , 남도문화연구 31, 순천대학교남도문화연구소, 2016, 265-291쪽.
김혜온, IMF시대의 청소년들의 소비행태와 가족생활 ,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98.6, 97-119쪽.
김혜정, 청소년문학에 나타난 가족해체서사 연구: 2011년 출간된 청소년소설을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10,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2, 177-193쪽.
김화선, 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성장의 문제: 김려령의 완득이를 중심으로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3,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08, 279-300쪽.
김효정, 장르별 표현방식과 의미구성의 차이: 소설 <완득이>와 영화 <완득이>를중심으로 , 한국말글학 제29집, 한국말글학회, 2012, 1-30쪽.
김 휘․박성호, 디즈니 마블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특성 연구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51,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8, 159-179쪽.
남정은․김희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에 관한 연구 ,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0호,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5, 23-49쪽.
류철균․한혜원 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박경희, 한국 청소년소설과 청소년의 성장 담론, 역락, 2017.
박기수, 웹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 애니메이션연구 12권 3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6, 97-117쪽.
박선화, 영상콘텐츠화된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결핍 양상 연구: 김려령의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을 중심으로 ,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박성봉, 멀티미디어시대 대중예술과 예술 무정부주의, 일빛, 2011.
백지연, 사라진 ‘아비’와 글쓰기의 기원 , 사소한 이야기의 자유, 창비, 2018, 313-326쪽.
블라디미르 프로프, 민담 형태론, 어건주 역, 지만지, 2009.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소영현, 북 쇼핑 시대의 문학, 완득이라는 낯선 영토 , 작가세계 20(3), 세계사, 2008, 320-334쪽.
송현호, <완득이>에 나타난 이주담론의 인문학적 연구:동반자적 교사의 역할과 의미를 중심으로 , 현대소설연구 59,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403-426쪽.
신영헌․강지현, 이주서사로서의 완득이에 그려진 성장의 의미 , HOMO MIGRANS 22, 이주사학회, 2020, 257-283쪽.
신지현, 가족해체의 실상과 문제점에 따른 가족복지대책 ,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3권 1호,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07, 199-225쪽.
심영희, IMF시대의 청소년문제 양상과 과제: 위험사회의 관점에서 , 청소년학연구 5권 3호, 한국청소년학회, 1998, 115-145쪽.
양승미, 소설의 영화화에 나타난 표현방식과 의미 연구: 소설 《완득이》와 영화 <완득이>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오민용, 상호텍스트의 한 종류로서 소설에 관한 소고: M.Bakhtin의 대화이론을 중심으로 , 콘텐츠문화 4,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4, 37-98쪽.
오세란, 한국 청소년소설 연구, 청동거울, 2013.
오세란, 청소년문학의 정체성을 묻다, 창비, 2015.
오탁번․이남호, 서사문학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부, 1999.
울리히 벡, 위험사회, 홍성태 옮김, 새물결, 2019.
울리히 벡․엘리자베트 벡-게른샤임,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강수영․권기돈․배은경 옮김, 새물결, 2006.
윤혜영, 캐릭터 기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모델 연구: 노드롭 프라이의 이론을중심으로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61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339-363쪽.
음영철,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소녀들의 자살심리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6권 제2호, 2016, 686-695쪽.
이도현, 성장서사의 통과의례 공간 연구 ,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이동연, 광장세대와 문화교육 운동 , 교육비평 10, 2002, 214-227쪽.
이동연, 청소년은 저항하는가?: 청소년 주체형성의 다중성 읽기 , 오늘의 문예비평 72호, 2009, 23-45쪽.
이동은, 메타이야기적 상상력과 캐릭터 중심 스토리텔링 모델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2,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6, 213-240쪽.
이명호, 젠더지형의 변화와 페미니즘의 미래: 1990년대 미국과 2000년대 한국 페미니즘 담론 비교연구 , 여성문학연구 26,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133- 161쪽.
이영수, 멀티버스에 기반한 마블코믹스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애니메이션연구 10권 4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189-209쪽.
이준희, 확장형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반 생태계 모델 ,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11권 3호, 한국영상학회, 2013, 5-16쪽.
장경섭, 가족이념의 우발적 다원성: 압축적 근대성과 한국가족 , 정신문화연구24(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161-202쪽.
장수경, 우아한 거짓말에 나타난 1인칭시점과 다중시점의 서술전략과 욕망 , 한국문예창작 15권 2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6, 145-177쪽.
정병곤․이건근, 한국의 저출산율 문제에 울리히 벡의 개인화 이론 적용하기 , 인문사회21 10권 5호,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1469-1478쪽.
정순희․여윤경, 소비자 연령별 투자행동 차이 분석: IMF 경제위기 전․후 비교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권 1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4, 29-45쪽.
정혜경, 여성 성장소설에 나타난 가족서사의 재구성: 아버지 부재(不在)모티프에대한 서사적 대응방식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 44권, 국제어문학회, 2008, 407-434쪽.
정혜경, 이 시대의 아이콘 ‘청소년’(을 위한) 문학의 딜레마 , 백수들의 위험한 수다, 케포이북스, 2011, 58-77쪽.
정혜경, 소설의 영화화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살인자의 기억법’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67, 국어문학회, 2018, 257-289쪽.
조규동․조희원, 영화에 나타난 따돌림의 실태와 교정복지의 역할 연구: 영화 <우아한 거짓말>을 중심으로 , 교정복지연구 34, 한국교정복지학회, 2014, 225-252쪽.
조윤경, 접두어 ‘trans-’의 인문학적 함의: 탈경계 인문학 Trans-Humanities 연구를위한 개념 고찰을 중심으로 , 탈경계 인문학 제3권 3호, 이화여자대학교이화인문과학원, 2010, 5-27쪽.
조한혜정, N세대 새로운 행동 패라다임 연구의 방향: ‘발달심리학’에서 ‘자아 형성학’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3), 한국심리학회, 2000, 1-8쪽.
조혜자․방희정, 사회경제적 변화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3권 1호, 한국심리학회, 1998, 1-15쪽.
조희웅, 트릭스터담 연구 , 어문학논총 6,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87, 58-94쪽.
최미령, 한국 청소년소설에 투영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 ,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하채현, 청소년문학의 개념 고찰과 한국 청소년 문학의 가능성: 세계 각국 청소년문학과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융합인문학 제6권 제4호, 한국융합인 문학회, 2018, 7-25쪽.
한혜원․남승희,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구조 연구: 로스트 대체현실게임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15, 인문콘텐츠학회, 2009, 7-27쪽.
홍찬숙, 개인화: 해방과 위험의 양면성,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황영미, 완득이의 서술전략과 영화화 연구 , 돈암어문학 24호, 돈암어문학회, 2011, 281-308쪽.
황종연, 편모슬하, 혹은 성장의 고행 , 비루한 것의 카니발, 문학동네, 2001, 33-58쪽.
Jenkins, Henry,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6.
Phillips, Andrea, A Creator’s guide to Transmedia Storytelling: How to Captivate and Engage Audiences Across Multiple Platforms, McGraw-hill, 2012.
Ryan, Marie-Laure, “Transmedial Storytelling and Transfictionality”, Poetics Today, Vol.34 No.3, 2013, pp.361-388.
국가기록원 시기별 인구정책 1990-2000년대(https://theme.archives.go.kr/next/populationPolicy/policy2000.do)
성창훈, <1인 가구의 증가와 정책 대응>, KIET 산업경제, 산업연구원, 2020.2. (https://www.kiet.re.kr/kiet_web/?sub_num=12&state=view&idx=55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