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738-3188
본고는 시대와 사회에 따라 의미를 달리해 온 소녀가 최근 포스트휴먼 상상력과 결합하여 영화 속 싸우는 소녀로 등장한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에 포스트휴먼 소녀라는 이미지를 배태한 사회적 맥락과 그 재현 양상을 분석하고, 미래 여성 신체에 대한 한국 사회의 상상의 허용치와 ‘싸우는 기술증강 소녀’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둘러싼 의미경합을 밝히고자 하였다. 21세기 고도로 발달한 디지털 영상기술로 인하여 영화는 기존의 상상만으로 가능했던 미래 존재를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성인 남녀와 달리 미성숙하다고 여겨진 소녀가 포스트휴먼으로 상상될 때에는 오히려 강한 실감효과를 추구하는 그 가능성으로 인해 감히 재현할 수 없는 불가능한 영역이 생기게 된다. 즉, 포스트휴먼 소녀는 인간의 원형을 최대한 보존한 신체증강형에 그쳤으며,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탈하는 비판적 형상화를 구현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기술로 증강된 미래 신체는 에로틱한 폭력에 기대지 않는, 또한 모성애와 이성애에 매몰되지 않는 싸우는 위험한 소녀의 이미지를 만들었다. 물론 인간의 순수한 프로토타입에 근거한 포스트휴먼 소녀의 이상화는 기술의 인간화를 확신하는 기술도구주의에 경도되어 있다. 근대적 휴머니즘에 영합하는 이러한 기술 사유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포스트휴먼 소녀는 자기 파괴적 대항을 통해 기술—객체의 새로운 정치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테크노크라시와 신자유주의 정치적 감수성을 표출한 우울한 신체에서 벗어나 있으며, 생명 정치의 위계에 균열을 내는 체제전복적 행위를 구사했다. 포스트휴먼은 한 사회가 고도화된 기술시대로 이행하는 과정 중에 일어나는 다양한 힘들의 경합을 예시하는 하나의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 영화 속 포스트휴먼 소녀는 여전히 이상화된 소녀 이미지를 고수하려는 인간형상중심주의를 예증하지만, 미시사회적 수준까지 침투한 기술생명권력의 폭압적 지배방식에 윤리적 고찰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박훈정 감독, <마녀>, 영화사 금월, 2018.
이해영 감독,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청년필름, 2015.
김남옥, 「포스트휴먼 신체론」,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제12호, 한국사회학회, 2014, 117-117쪽.
김선엽, 「모순적 복수성을 횡단하며 구축되는 2000년대 한국 영화의 포스트휴먼」, 『영화연구』 제32호, 한국영화학회, 2007, 7-40쪽.
김소연, 「사이보그 앨리스를 성구분하기: <그녀>와 <루시>의 포스트휴먼 젠더 정치에 대한 라캉적 주해」, 『젠더와 문화』 제9권 2호,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211-240쪽.
김소연, 「초능력 영화의 포스트바디의 알레고리적 존재론―<초능력자>, <경성학교:사라진 소녀들>, <염력>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제29권,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243-266쪽.
김수연, 「<공각기동대>(Ghost in the Shell, 1995)의 현재성과 포스트휴먼 퀴어 연구」, 『비교문화연구』 제40권,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111-131쪽.
김은정, 「포스트휴먼 소녀의 형상에 관한 연구: 종말 SF 웹툰과 게임의 그려진 소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디지털 영화 미학』, 정헌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레프 마노비치, 『뉴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옮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로지 브라이도티, 『변신: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 김은주 옮김, 꿈꾼문고, 2020.
미쉘 푸코, 『광기의 역사』, 이규현 옮김, 나남출판사, 2003.
바바라 크리드, 『여성괴물: 역압과 위반 사이』, 손희정 옮김, 도서출판 여이연, 2017.
박미영, 「한국 여성 스릴러 장르와 프레카리아트의 고딕적 상상력」, 『아시아여성연구』 제13권 1호,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0, 33-58쪽.
박영석, 「21세기 SF 영화와 포스트휴먼의 조건—정신과 신체의 인공적 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제14권 3호, 현대영화연구소, 2018, 427-458쪽.
사이토 타마키, 『전투미소녀의 정신분석』, 이정민·최다연 옮김, 에디투스, 2018.
수잔 제퍼드, 『하드바디』, 이형식 옮김, 동문선, 2002.
앤 마리 발사모, 『젠더화된 몸의 기술—사이보그 여성 읽기』, 김경례 옮김, 아르케, 2012.
조혜영 외, 『소녀들』, 도서출판 여이연, 2018.
Brown, Jeffrey A., “Gender and the Action Heroine: Hardbodies and the “Point of No Return””, Society for Cinema & Media Studies, Vol.35 No.3, 1996, pp.52-71.
Buckland, Warren, “Between science fact and science fiction: Spielberg’s digital dinosaurs, possible worlds, and the new aesthetic realism”, Screen, Vol.40No.2, 1999, pp.177-192.
Oehlert, Mark, “From Captain America to Wolverine: Cyborgs in Comic Books:Alternative Images of Cybernetic Heroes and Villains”, The Cybercultures Reader, David Bell & Barbara M. Kennedy (ed.),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2000, pp.112-123.
Penely, Constance, Andrew Ross & Donna Haraway, “Cyborgs at Large:Interview with Donna Haraway”, Social Text, Vol.25 No.26, 1990, pp.9-23.
Prince, Stephen, “True Lies: Perceptual Realism, Digital Images, and Film Theory”, Film Quarterly, Vol.49 No.3, 1996, pp.27-37.
Sim, Hyekyong, “Acting ‘like a woman’: South Korean female action heroines”, Journal of Japanese and Koerean Cinema, Vol.12 No.2, 2020, pp.110-123.
Slack, Jennifer Daryl & J. MacGregor Wise, Culture and Technology: A Primer,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