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남성 아브젝트라는 새로운 가부장의 형상과 계급 재현의 젠더 정치—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New Aspect of Patriarch as a Male Abject and Gender Politics of Class Representation—Focusing on <Parasit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1, v.27 no.3, pp.53-94
https://doi.org/10.18856/jpn.2021.27.3.002
김건형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고는 영화 <기생충>에서 계급적 양극화를 드러내는 혐오스러운 남성 아브젝트의 젠더적 재현 양상에 주목한다. 프레카리아트 남성이 혐오스러운 신체/위치를 자임함으로써 남성 가부장이 되는 새로운 감정 정치의 양상을 독해하고자 한다. <기생충>은 통념적인 가족 서사와 반대로 부모를 책임지는 자식이라는 전도를 보여준다. 타인의 자리를 빼앗아야 자신의 자리가 생긴다는 신자유주의적 생존법을 부모 세대에게 가르쳐주는 것이다. 민혁으로부터 성공한 구세대 가부장의 유산인 수석을 전달받은 뒤부터, 기우는 중산층 남성 주체가 될 수 있다는 희망을 품는다. 그러나 이 전망을 상실한 뒤 기우는 아버지에게 먼저 죄송하다고 역전된 고백을 한다. 가족의 계급적 지위를 지켜내기 위해 자신이 희생해야 한다는 과잉된 책임 윤리를 드러낸다. 기택 역시 동익과 가부장으로서의 동일시를 시도했지만, 이 남성 연대가 계급에 의해 무너지면서 급작스러운 분노에 휩싸여 살인을 저지른다. 그 결과 기택은 몸에서 악취가 나는 지하생활자라는 혐오스러운 지위로 내려가게 되고, 오직 기우만이 고립된 아버지로부터 윤리적 반성의 메시지를 수신한다. 영화는 계급적 양극화라는 구조에 맞서 싸운 부자에게 윤리적 투사라는 숭고한 지위를 부여하는데, 특히 결말의 에필로그와 내레이션은 부자간의 윤리적 책임감과 상호 연대를 강조한다. 이 과정에서 여성 인물들의 목소리는 점차 누락시켜 남성 인물들을 향한 젠더적 선별을 희미하게 만든다. <기생충>은 계급적 아브젝트를 자임함으로써 윤리적으로 주체화되는 신자유주의 시대 프레카리아트 남성의 정치적 재현 전략을 드러내고, 혐오를 젠더적으로 선별해 재현함으로써 가부장의 책임 윤리를 새롭게 미학화하고 있다.

keywords
Gender Politics, Class Representation, Masculine Ethics, Male Subject, abject, Disgust/Hate, 젠더 정치, 계급 재현, 남성적 윤리, 남성 주체, 아브젝트, 혐오

참고문헌

1.

봉준호 감독, <기생충>, 바른손이앤에이, 2019.

2.

봉준호·한진원·김대환·이다혜, 『기생충 각본집』, 플레인아카이브, 2020.

3.

권승태, 「영화 <기생충>의 시각 정체성과 서사 정체성」, 『문학과영상』 21권 1호, 문학과영상학회, 2020, 7-30쪽.

4.

김건형, 「지금, 인간에 대해 말할 때 일어나는 일―혐오의 정치적 자원(화)에 대하여」, 『문학동네』 100호(2019년 가을호), 2019.

5.

김문정, 「법이라는 움직이는 이미지: 영화 <기생충>에 대한 법정신분석학적 비평」, 『법철학연구』 23권 3호, 한국법철학학회, 2020, 133-154쪽.

6.

김문주,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냄새의 타자성」, 『인문사회 21』 11권 2호,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597-610쪽.

7.

김성윤, 「“우리는 차별을 하지 않아요”―진화된 혐오 담론으로서 젠더 이퀄리즘과반다문화」, 『문화과학』 93권, 문화과학사, 2018, 93-119쪽.

8.

김용희,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서브텍스트로서의 상징과 국가적 알레고리」, 『아시아영화연구』 14권 1호,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7-33쪽.

9.

김종국, 「<기생충>(2019)의 영화색채, 검은 천사 하얀 악마」, 『만화애니메이션연구』61권,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317-338쪽.

10.

마사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조계원 역, 민음사, 2015.

11.

바바라 크리드, 『여성 괴물』, 손희정 역, 도서출판 여이연, 2017.

12.

박진후·임대근, 「‘봉준호 장르’의 가능성: <기생충>의 크로노토프 서사전략」, 『영화연구』 84권, 한국영화학회, 2020, 61-87쪽.

13.

발터 벤야민,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외』, 최성만역, 길, 2009.

14.

배선윤, 「히스테리 주체의 몰락: 영화 <기생충> 주요 등장인물 분석」, 『현대정신분석』 23권 1호,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9-48쪽.

15.

성일권, 「중산층의 ‘계급탈락’ 공포와 증오의 일상성, 그리고 상징폭력―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개념들」, 『한국프랑스문화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9, 129-136쪽.

16.

손성우, 「영화 <기생충>의 욕망의 자리와 환상의 윤리」, 『영화연구』 81권, 한국영화학회, 2019, 89-122쪽.

17.

송다영, 「영화 <기생충>에서 나타나는 혐오의 표현과 양상」,『『한국극예술연구』 69권, 한국극예술학회, 2020, 179-211쪽.

18.

심영덕, 「영화 ‘기생충’에 나타난 상상력 연구: 질 들뢰즈의 시간―이미지를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2권 11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693-722쪽.

19.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천병희 역, 문예출판사, 1998.

20.

안영주, 「기생충과 빵부스러기―영화 ‘기생충’의 무계획 형상과 시리아 페니키아 여인 (마르 7,23-31)의 빵부스러기 형상에 대한 기호학적 비교 분석」, 『기호학연구』 61권, 한국기호학회, 2019, 157-186쪽.

21.

양세욱, 「음식의 플롯, 미각의 미학: 음식과 미각의 시야로 다시 보는 영화 <기생충>」, 『영화연구』 86권, 한국영화학회, 2020, 271-297쪽.

22.

오세은, 「영화 <기생충>의 공간사회학적 의미 연구: 집, 계단, 창, 문 그리고 계급 갈등의 공간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3권 2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347-364쪽.

23.

왕인순·최은경, 「그레마스 기호학으로 본 영화 <기생충>의 내러티브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7권 1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75-97쪽.

24.

이다운, 「영화 <기생충> 연구―희비극으로 재현한 계급 공존의 불가능성」, 『어문연구』 101권, 어문연구학회, 2019, 283-303쪽.

25.

전혜은, 『섹스화된 몸』, 새물결, 2010.

26.

정현경, 「평등의 몰락에 대한 영화적 대응과 의미-영화 <설국열차>와 <기생충>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75권, 한국비평문학회, 2020, 7-33쪽.

27.

조 흡, 「<기생충>과 국가적 알레고리」, 『대한토목학회지』 67권 10호, 대한토목학회, 2019, 76-78쪽.

28.

줄리아 크리스테바, 『공포의 권력』, 서민원 역, 동문선, 2001.

29.

한송희, 「가난 재현의 정치학: 영화 <기생충>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8권 1호, 사단법인 언론과사회, 2020, 5-50쪽.

30.

허만섭, 「문화자본론 관점에서 본 영화 <기생충>―현대적 아비투스 계급의 발견」,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9권,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139-164쪽.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