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A Study on the Humanity of ‘Machine-Human’ Represented in SF Films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2, pp.129-156
https://doi.org/10.18856/jpn.2022.28.2.004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SF영화가 재현하는 기계—인간의 특성에 주목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윤리적 주체성의 본질을 살펴보는데 있다. 인간 주체의 대타항적 존재로 이해되었던 시각에서 벗어나 기계—인간의 (비)인간성의 면모를 살핀다면 창조주인 인간의 본성뿐 아니라 근원적으로 지녀야 할 인간성의 차원 역시 기계—인간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인간성’의 의미가 지닌 허구적 실체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대안적 제시로 순수한 주체적 형상을 살피고자 한다. 인간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축적된 기억이나 풍요로운 내적 삶이 있다는 환상은 오히려 자신을 기만하는 행위로 받아들여야 한다. 나를 구성하는 배경과 내적 삶—내용의 허울을 버리고 ‘텅 빈 상태’에 이르렀을 때 오히려 순수한 주체의 지위에 이를 수 있다. 이를 살피기 위해 ‘기억’의 정체성 구성과 연관되는 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기억은 기계—인간의 인공적 성격과 결합될 때 다양한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신체의 소멸성에 갇힌 기계—인간이 실존적으로 경험한 과거로 재현되거나 이식된 기억이 실체적 정체성이 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야기하기도 한다. ‘기억’은 소멸되는 순간 겪는 ‘환상’으로도 재현되면서 인간성을 드러내는 감정들이 정서, 본능, 욕망으로 연결되는 전일적 대상임을 살펴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는 SF영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대타항적 존재로 구현되는 ‘기계—인간’의 성격과 그 의미를 고찰하는 일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간의 자질로 주체성을 갖춰야 함을 의미한다. 순수한 주체의 형상을 한 기계—인간의 형상은 비인간성으로 표상되는 기존의 시각을 넘어서는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새롭게 바라봐야 하는 주제이다. 인간과 기계—인간의 상동성을 대조하는 일이야말로 확장된 인간성의 의의를 살피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SF영화, 기계–인간, 인간성, 비–인간성, 기억, 주체, 믿음, 신의(信義), SF Film, Machine-Human, Humanity, Inhumanity, Memory, Subject, Belief, Faith

Reference

1.

Rivers, Christian, Film Mortal Engines, Universal Pictures, 2018. (모털 엔진)

2.

Scott, Ridley, Film Blade Runner, The Ladd Company & Blade Runner Partnership, 1982. (블레이드 러너)

3.

Spielberg, Steven, Film A.I. Artificial Intelligence, Amblin Entertainment & Stanley Kubrick Productions, 2001. (에이.아이.)

4.

Villeneuve, Denis, Film Blade Runner 2049, Alcon Entertainment & Columbia Pictures Presents, 2017. (블레이드 러너 2049)

5.

강순규, 「비인간적인 인간과 인간적인 복제인간—영화<블레이드 러너>를 중심으로 —」, 『아시아영화연구』 4권 2호,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2, 133-153쪽.

6.

고맹임, 「아포칼립스 이미지와 영상미학—<블레이드 러너>와 <A.I>를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제15집, 한국카프카학회, 2006, 69-90쪽.

7.

김성수, 「할리우드 SF영화의 이미지텔링에 사용된 알레고리 연구—비주얼문화연구 견지에서의 <블레이드 러너>와 <마이너리티 리포트> 핵심 장면들에 대한 분석」, 『글로벌문화콘텐츠』 제19호, 글로벌문화컨텐츠학회, 2015, 1-32쪽.

8.

김소연, 「포스트휴머니즘 영화에서 (탈)육체성과 기술—환상의 문제설정: <블레이드러너2049>를 중심으로」, 『씨네포럼』 제33호,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9, 9-32쪽.

9.

노시훈, 「SF영화에 나타난 프로메테우스의 모티프—<엑스 마키나>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4권 3호, 대중서사학회, 2018, 248-249쪽.

10.

로버트 스콜즈·에릭 라프킨, 『SF의 이해』, 김정수 외 옮김, 평민사, 1993.

11.

마크 롤랜즈, 『우주의 끝에서 철학하기』, 신상규 외 옮김, 책세상, 2014.

12.

박소연·함충범, 「2010년대 할리우드 영화 속 인간과 인공지능의 관계적 존재 양상 연구: <그녀>(2014), <블레이드 러너2049>(2017), <당신과 함께한 순간들>(2017)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40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95-119쪽.

13.

박영석, 「21세기 SF영화와 포스트휴먼의 조건—정신과 신체의 인공적 관계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32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427-458쪽.

14.

슬라보예 지젝, 『믿음에 대하여』, 최생렬 옮김, 동문선, 2003.

15.

슬라보예 지젝, 『신체없는 기관』, 김지훈 외 옮김, 도서출판b, 2006.

16.

슬라보예 지젝, 『시차적 관점』, 김서영 역, 마티, 2009.

17.

슬라보예 지젝, 『잃어버린 대의를 옹호하며』, 박정수 옮김, 그린비, 2009.

18.

슬라보예 지젝, 『헤겔 레스토랑1』, 조형준 역, 새물결, 2013.

19.

알랭 바디우, 『윤리학—악에 대한 의식에 관한 에세이』, 이종영 역, 동문선, 2001.

20.

임종기, 『SF부족들의 새로운 문학 혁명, SF의 탄생과 비상』, 책세상, 2004.

21.

임태훈, 「비인간 경제 생태계로 이행하는 자본주의 미래사—블레이드 러너 세계관에 대하여」, 『영상문화콘텐츠연구』 제18집,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189-211쪽.

22.

임홍빈, 『감정론의 한 시도—수치심과 죄책감』, 바다출판사, 2013.

23.

정소영, 「The Construction of Human subjectivity in Ridley Scott’s Blade Runner」, 『문학과 영상』 제3권 2호, 문학과영상학회, 2002, 263-279쪽.

24.

테리 이글턴, 『포스트 모더니즘의 환상』, 김준환 역, 실천문학사, 2000.

25.

크리스티앙 메츠, 『상상적 기표—영화·정신분석·기호학』, 이수진 옮김, 문학과지성사, 2009.

26.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이진우 외 옮김, 한길사, 1996.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