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폭력의 재귀적 운동에 대한 징후적 독해—<소년심판>, <지금 우리 학교는>, <D.P.>를 중심으로

Symptomatic Reading on Recursive Movement of Violence—With a Focus on Juvenile Justice, All of Us Are Dead, and D.P.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2, pp.259-295
https://doi.org/10.18856/jpn.2022.28.2.008
안숭범 (경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현실 제도와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를 ‘사회 구조적 폭력의 발현’이라는 관점에서 읽어내는 데 목적이 있다. 세 작품 속 주요 인물들은 폭력에 관한 극단적인 환경에 노출되어 청소년기, 청년기를 보내고 있다. 폭력적 환경을 가능케 하는 은밀한 이데올로기는 알튀세르가 논한 국가장치의 역능과 작동의 관점에서 논할 수 있다. 소재와 상황이 모두 다르지만, 주요 인물들이 경험하는 폭력은 사회적 상상력으로 풀어내야 할 ‘역학 문제’를 환기시킨다. 먼저 <소년심판>은 억압적 국가 장치이면서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이기도 한 법이, 본래의 취지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상황을 묘사한다. 기성세대가 공유해온 지배 이데올로기의 통로로서 소년법의 틈새를 적확하게 보 여주는 셈이다. 결과적으로 소년범들을 통해 감지되는 폭력의 재귀성은 ‘사유하는 사법’의 필요성을 강변한다. <지금 우리 학교는>에 등장하는 ‘요나스 바이러스’는 자기 안녕을 추구하는 기성 사회가 학교 폭력을 방관한 자리에서 발생한다. 그리고는 계층화된 사회에 안착하기 위해 서로를 착취해온 학생들 사이로 삽시간에 퍼져나간다. ‘살아남은 아이들’과 ‘절비’는 폭력의 전염성을 방조하는 사회 시스템을 고발하는 동시에 기성세대의 규율화의 의지를 고발한다. 마지막으로 <D.P.>는 ‘군탈체포조’의 임무 수행 과정을 중심으로 서사가 진행되는데, 이는 예외성의 표지가 나타나면 합의된 폭력으로 억압하는 군대의 규율체계를 적확하게 보여준다. <D.P>는 군대라는 억압적 국가 장치 내부에 자리한 폭력의 순환성을 보여주면서 수용자로 하여금 선명한 입장을 요구한다.

keywords
Juvenile Justice, All of Us are Dead, D.P., repressive state apparatus, ideological state apparatus, Louis Althusser, Violence, Circulation of violence, Contagiousness of violence, <소년심판>, <지금 우리 학교는>, <D.P.>, 억압적 국가 장치,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루이 알튀세르, 폭력, 폭력의 순환성, 폭력의 전염성

참고문헌

1.

이재규‧김남수 연출, <지금 우리 학교는>, 넷플릭스, 2022.

2.

한준희 연출, <D.P.>, 넷플릭스, 2021.

3.

홍종찬 연출, <소년심판>, 넷플릭스, 2022.

4.

김형효, 『구조주의: 사유체계와 사상』, 인간사랑, 2008.

5.

노태맹,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으로부터 우리는 무엇을 얻을 것인가?」, 『현대사상』 제24호, 대구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2020, 75-99쪽.

6.

라몬 로바토, 『넷플릭스 세계화의 비밀』, 안세라 역, 유엑스리뷰, 2020.

7.

로제 다둔, 『폭력』, 최윤주 역, 동문선, 2006.

8.

루이 알튀세르, 『맑스를 위하여』, 고길환·이화숙 역, 백의, 1990.

9.

루이 알튀세르, 『레닌과 철학』, 이진수 역, 백의, 1997.

10.

루이 알튀세르, 『재생산에 대하여』, 김웅권 역, 동문선, 2007.

11.

르네 지라르, 『폭력과 성스러움』, 김진식·박무호 역, 민음사, 2012.

12.

발터 벤야민, 「폭력비판을 위하여」, 『발터 벤야민 선집 5』, 최성만 역, 도서출판 길, 2012.

13.

삐에르 부르디외, 『구별짓기—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 역, 새물결, 2006.

14.

스티븐 핑커,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 김명남 역, 사이언스북스, 2014,

15.

안숭범, 「<스타워즈> 오리지널 트릴로지의 빌런 활용 전략 연구: 시리즈 서사는 어떻게 연장되는가?」, 『인문콘텐츠』 제62호, 인문콘텐츠학회, 2021, 199-221쪽.

16.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윤희기·박찬부 역, 열린책들, 2004.

17.

진태원, 「과잉 결정, 이데올로기, 마주침: 알튀세르와 변증법」, 『자음과 모음』 9호, 자음과 모음, 2010, 1,034-1,069쪽.

18.

천선영, 『죽음을 살다: 우리시대 죽음의 의미와 담론』, 나남, 2012.

19.

테리 이글턴, 『문화란 무엇인가』, 이강선 역, 문예출판사, 2011.

20.

토마스 렘케, 『생명정치란 무엇인가』, 심성보 역, 그린비, 2018.

21.

한병철, 『폭력의 위상학』, 김태환 역, 김영사, 2020.

22.

한병철, 『피로사회』, 김태환 역, 문학과지성사, 2021.

23.

안숭범, <[안숭범의 문화톡톡]사유하지 않는 사법에 대한 질문—<소년심판>론>, 『르몽드디플로마티크』, 2022.4.18.(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5628)

24.

안숭범, <[안숭범의 문화톡톡]절비는 아직 옥상에 있다—<지금 우리 학교는>>, 『르몽드디플로마티크』, 2022.3.21.(http://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28)

25.

안숭범, <[안숭범의 문화톡톡]폭력이 스스로 살아가는 풍경—<D.P.>론>, 『르몽드디플로마티크』, 2022.2.21.(https://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5442)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