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대중서사연구

Beyo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Agnostics and Solidarit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2, pp.393-417
https://doi.org/10.18856/jpn.2022.28.2.012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1990년대 중반 우연히 국내에 상륙한 것처럼 보이는 국제영화제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적 산물에 가깝다. 엄밀히 말하자면 1980년대 국내의 문화운동과 1990년대 탈냉전의 세계 사이에 놓인 접촉지대의 혼종적이면서 동시에 토착적인 문화운동이었다. 1980년대 영화운동에서 시작해, 1990년대 예술영화전용관 설치, 그리고 1996년 국제영화제의 등장은 병렬적인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서사적 긴장을 빚는 과정이었다. 이 글은 글로벌과 로컬의 결합으로서 국제영화제가 이 둘을 어떻게 매개하는지에 관해서는 별로 궁금해 한 적 없었던 기존의 논의를 넘어서고자 했다. 2000년대 이후 최근까지 지속되고 있는 국내 국제영화제의 변화는 글로컬한 사회적 의제를 제시하고, 배제와 차별을 넘어 연대하고 공존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을 탐색하는 문화정치의 진화과정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ilm Movement, Post Cold War, Glocal, Cultural Politics, 국제영화제, 영화운동, 탈냉전, 글로컬, 문화정치

Reference

1.

강성률, 「영화제는 영화(문화) 발전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 『오늘의 문예비평』 46호, 오늘의 문예비평, 2002, 114-128쪽.

2.

김지후, 「개최목적으로 본 한국 국제영화제 정체성 분석—부산, 부천, 전주국제영화제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17호, 동국대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7-39쪽.

3.

김한상, 「한국에서의 ‘예술영화’ 담론과 시장, 관객의 형성 과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

남인영, 「여성주의 시네필리아—서울국제여성영화제 관람문화」, 『영상예술연구』 14호, 영상예술학회, 2009, 39-60쪽.

5.

동숭씨네마텍, 『예술영화전용관 동숭씨네마텍 1주년 기념 백서』, 1996.

6.

박소연·한상언, 「CGV 멀티플렉스 극장의 등장과 관람 문화 변화 연구」, 『인문학연구』 57호, 조선대 인문학연구원, 2019, 43-67쪽.

7.

변재란, 「여성, 문화 그리고 국제영화제의 역할—서울국제여성영화제를 중심으로」,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8호, 순천향대교 인문학연구소, 2011, 361-412쪽.

8.

샹탈 무페, 『경합들—갈등과 적대의 세계를 정치적으로 사유하기』, 서정연 역, 난장, 2020.

9.

성진수, 「한국 지역 여성영화제에 관한 고찰: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아시아영화연구』 15권 1호, 부산대 영화연구소, 93-121쪽

10.

송낙원, 「영화제 이론과 평가 방법론에 대한 연구—서울시 지원 영화제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54호, 한국영화학회, 2012, 197-235쪽.

11.

신혜조, 「한·러 영화 교류: 러시아 영화의 국내 수용 역사와 과제」, 『한국 시베리아연구』 23권 1호, 배재대 한국-시베리아센터, 2019, 245-286쪽.

12.

안지혜, 「시민사회의 성장과 한국영화의 역동적 관계에 관한 연구: 1990년대 한국영화의 정책, 산업, 문화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3.

안토니오 네그리·마이클 하트, 『어셈블리』, 이승준·정유진 역, 알렙, 2020.

14.

윤소민·정지은, 「문화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국제영화제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35권 3호, 한국상품학회, 2017, 73-81쪽.

15.

이귀옥·박조원·최명일, 「우리나라 국제영화제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5권 7호, 한국광고학회, 2014, 161-185쪽.

16.

이지현, 「2000년대 한국영화의 국제 교류에 관한 연구—국내와 해외의 국제영화제와 영화의 한류에 관하여」, 『현대영화연구』 10권 3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4, 139-178쪽.

17.

이혜영, 「국제영화제의 문화적·산업적 영향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8.

황은정·이용숙, 「부산국제영화제 국제적 명성의 동인—다규모적 중재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27권 2호,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298-339쪽.

19.

황하엽, 「국내 예술영화관의 역사적 형성 과정과 문화적 특성: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0.

De Valck, Marijke, Film Festivals: From European Geopolitics to Global Cinephilia,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8.

21.

Iordanova, Dina & Ruby Cheung, Film Festival and East Asia, St Andrews Film Studies, 2011.

22.

<‘우수외화 전시회’ 초청대상 공산권 확대>, 『한겨레』, 1988.7.2.

23.

<서강대 정기감상회/‘포템킨’ 등 동유럽 영화>, 『한겨레』, 1988.9.10.

24.

<세상엔 이런 감독 이런 영화도 있다>, 『한겨레』, 1996.5.18.

25.

<영화화제—예술영화 전용관 ‘광장’ 탄생>, 『연합뉴스』, 1995.10.5.

26.

<12월 2~8일 제1회 서울국제독립영화제>, 『연합뉴스』, 1995.10.17.

27.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홈페이지 내 “역대영화제-제10회(2018)-부대행사”. (http://www.dmzdocs.com/kor/addon/00000002/event_view.asp?QueryYear=2018&eventYear=2018)

28.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홈페이지 내 “역대영화제-제11회(2019)-부대행사”. (http://www.dmzdocs.com/kor/addon/00000002/event_view.asp?QueryYear=2019&eventYear=2019)

29.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홈페이지 내 “쟁점들: 증언과 구술의 번역-군 위안부 운동의 역사를 논의하기”. (http://siwff.or.kr/kor/addon/00000001/program_view.asp?c_idx=312&QueryYear=2020&QueryType=B&QueryStep=2)

30.

<한국영화운동 40년_18: 영장 없는 필름 강탈에 항의하자 연행... 시네마테크의 수단>, 힘내라 맑은물, 네이버 블로그, 2020.10.16. (https://blog.naver.com/acec808/222116487341)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