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데이터 사회에 작동하는 포털의 공간정치학 - TV드라마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를 중심으로

Spatial Politics of the Portal in the Data Society - Focusing on <Enter a Search Term WWW>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3, pp.11-44
https://doi.org/10.18856/jpn.2022.28.3.001
김민영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우리는 수많은 데이터가 존재하는 인터넷 공간에 접속하기 위해 포털이라는 관문을 거친다. 포털은 데이터 사회에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이 시대적 흐름에 맞춰 그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누리고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이 글은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의 서사적 배경이 포털(기업)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데이터 사회에서 가장 대중적이고 보편적인 사회적 산물인 포털 공간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검블유>에서는 국내 양대 포털 기업인 ‘유니콘’과 ‘바로’가 자사 서비스 사용자를 늘리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한다. ‘바로’로 이적한 배타미는 점유율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광고, 웹툰 작가 영입, 메인 화면 개편 등의 전략을 시도한다. 이때 드러난 스펙터클한 포털 이미지의 이면에 집중하면, 포털의 은폐된 작동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포털이 새로운 경제체제에 신속하게 편입되어 신자유주의의 실상이 스며있는 공간이라는 점이다. 또한 포털의 여러 서비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검색’이다. 포털은 고유의 알고리즘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검블유>는 유력 대선 후보의 실검 삭제가 극 중 갈등의 시발점이다. 이는 알고리즘이라는 수학적 원리의 작동 방식이 객관적이고 투명한 것이 아니며, 정치와 자본 세력에게 끊임없이 기만당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검블유>는 사회적 구성물로서 포털의 영향력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현 시대는 인터넷을 접속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은 인터넷과 우리의 세계를 잇는 포털(기업)의 스펙터클에 은폐되고 숨겨져 있는 작동원리를 볼 수 있는 혜안을 지닐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
data society, portal, space, algorithm, Enter a Search Term WWW, 데이터 사회, 포털, 공간, 알고리즘,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참고문헌

1.

권도은 극본, 정지헌・권영일 연출, tvN, 16부작.

2.

강병준・류현정, 『구글 vs 네이버 검색대전쟁』, 전자신문사, 2008.

3.

금준경,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 무엇을 남겼나」, 『언론중재』 154, 언론중재위원회, 2020, 68~79쪽.

4.

김동원, 「플랫폼 담론과 플랫폼 자본」, 『문화과학』 87, 문화과학사, 2016, 75~97쪽.

5.

김미라, 「포스트페미니즘 드라마의 서사와 정치적 함의」, 『한국극예술연구』 65집, 한국극예술학회, 2019, 305~348쪽.

6.

김숙현, 「포스트모던한 여성 이미지와 로맨스의 갈등과 타협」,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17, 한국영상학회, 2019, 23~38쪽.

7.

김성일, 「산업사회와 데이터사회에서 작동하는 물신주의」, 『문화과학』 87, 문화과학사, 2016, 98~120쪽.

8.

김위근, 「포털 뉴스서비스와 온라인 저널리즘의 지형: 뉴스 유통의 구조 변동 혹은 권력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66,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5~27쪽.

9.

김태규・손재권, 『네이버, 빛과 그림자』, KT문화재단, 2006.

10.

루크 도멜, 『만물의 공식』, 노승영 옮김, 반니, 2014.

11.

메리 차이코, 『초연결사회』, 배현석 옮김, 한울엠플러스(주), 2018.

12.

백선기・최민재・김위근, 『인터넷 공간의 진화와 미디어 콘텐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3.

빌 탠서, 『검색의 경제학』, 김원옥 옮김, 21세기북스, 2009.

14.

송해엽, 「알고리즘과 뉴스편집」, 『언론중재』 157, 언론중재위원회, 2020, 18~31쪽.

15.

에드 핀, 『알고리즘이 욕망하는 것들』, 이로운 옮김, 한빛미디어, 2019.

16.

엘리 프레이저, 『생각 조종자들』, 이현수・이정태 옮김, 시공사, 2011.

17.

이광석, 「데이터사회의 형성과 대항장치의 기획」, 『문화과학』 87, 문화과학사, 2016, 26~56쪽.

18.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논형, 2005.

19.

존 버거, 『다른 방식으로 보기』, 최민 옮김, 열화당, 2012.

20.

존 피스크・존 하틀리, 『TV 읽기』, 이익성・이은호 옮김, 현대미학사, 1997.

21.

최효찬, 『일상의 공간과 미디어』,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22.

카타리나 츠바이크, 『무자비한 알고리즘』, 유영미 옮김, 니케북스, 2021.

23.

크리스토프 드뢰서, 『알고리즘이 당신에게 이것을 추천합니다』, 전대호 옮김, 해나무, 2018.

24.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 『노동하는 영혼』, 서창현 옮김, 갈무리, 2012.

25.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 『봉기』, 유충현 옮김, 갈무리, 2012.

26.

프랑코 베라르디 ‘비포’, 『프레카리아트를 위한 랩소디』, 장유리 옮김, 난장, 2013.

27.

한병철, 『피로사회』, 김태환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2.

28.

한병철, 『권력이란 무엇인가』, 김남시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6.

29.

한병철, 『아름다움의 구원』, 이재영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6.

30.

한병철, 『타자의 추방』, 이재영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7.

31.

박주연, <여자가 여자를 좋아하면 다 걸크러쉬야?>, 『일다』, 2019.08.16.

32.

박현숙, <‘검블유’ 리얼 포털 업계 종사자 “포털의 본질 짚은 에피소드에서 감동”>, 『스포츠 경향』, 2019.07.02.

33.

신규진, <여성이야기를 중심으로… 주목받는 ‘젠더 미러링’ 콘텐츠, 논란은?>, 『동아일보』, 2019.07.30.

34.

이로사, <주류 서사를 그대로 뒤집었더니, 본의 아니게 ‘여탕’이 됐네>, 『경향신문』, 2019.06.21.

35.

이수연, <‘검색어 WWW를 입력하세요’ 여심을 사로잡은 드라마!>, 『스타뉴스』, 2019.06.14.

36.

하재근, <여성주의 열풍, 한국 드라마를 바꾸다>, 『시사저널』, 2019.07.27.

37.

한숙인, <‘남자친구’ 박보검 VS ‘검블유’ 장기용, 페미니즘 남주의 진화>, 『셀럽미디어』, 2019.06.28.

38.

황진미, <드라마로 먼저 온 한국 사회의 미래>, 『한겨레』, 2019.06.21.

39.

OECD, “Algorithms and Collusion - Competition policy in the digital age”, OECD Roundtable on Algorithms and Collusion, 2017, p.8. (https://www.oecd.org/competition/algorithms-collusion-competition-policy-in-the-digital-age.htm) http://www.internettrend.co.kr/trendForward.tsp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