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현대 사회의 소외된 죽음과 재현의 윤리 - OTT드라마 <무브 투 헤븐>을 대상으로

Ethics of Alienated Death and Representation in Modern Society: Focusing on the OTT Drama Move to Heave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3, pp.45-93
https://doi.org/10.18856/jpn.2022.28.3.002
한정훈 (전남대학교)

Abstract

본 연구는 OTT드라마 <무브 투 헤븐>을 대상으로 현재 한국 사회에서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소외된 죽음’에 대해 살펴보고, 드라마 콘텐츠가 죽음을 재현하는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윤리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죽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에게 불안과 공포,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근현대 사회는 죽음의 부정성을 강화하고, 다양한 방식을 동원해서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죽음을 유폐시키려고 했다. 이에 죽음은 어느 순간부터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관련이 없어야 하는 ‘타자의 사건’이 되면서 소외되기 시작했다. 근현대의 자본주의 사회는 사람들에게 끊임없는 성취를 요구한다. 이러한 성취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사람은 사회의 잉여자 또는 낙오자가 되어 주변화된 집단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삶뿐만 아니라 죽음에 있어서도 소외된다. 소외된 죽음은 현대 사회 체제가 지닌 결핍과 모순이 응집된 장소와 시간에서 발생한다. 그래서 사회의 헤게모니 집단은 소외된 죽음이 대중의 관심을 받거나 집단의 대항담론을 구성하는 대상이 되는 것을 기피한다. 과거 TV드라마는 예술 작품이라기보다는 사회적 공기(公器)로서 기능이 강했으며, 사회의 규정성을 생산해 내는 매체였다. 그래서 당대 사회 체제의 모순과 결핍을 드러내는 사건 등이 드라마의 소재로 활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발전, 이에 따른 OTT드라마의 등장은 기존의 드라마 제작 및 방영에 있어서 큰 변화를 주었다. OTT사업은 구독자 중심으로 수익이 발생하기에 양질의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를 위해서 콘텐츠 창작의 자율성 보장, 거대 자금의 투자 등이 이루어졌다. 이에 OTT드라마는 과거 공중파 드라마가 다루지 않은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양질의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드라마 <무브 투 헤븐>은 한국 사회의 ‘소외된 죽음’을 이슈화된 사건으로 다루는 것을 지양하면서 유품정리사를 통해서 죽은 이의 ‘삶의 서사’를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드라마는 이를 통해서 소외된 죽음이 ‘개인의 죽음’이 아닌 ‘사회적 죽음’임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드라마는 죽은 이의 ‘삶의 서사’를 구성하면서 죽은 이가 누구인지, 현재 우리가 소외된 죽음을 대면하면서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소외된 죽음에 우리의 책임은 없는지 등을 시청자들에게 끊임없이 되묻고 있다. 드라마는 이 과정에서 현재 우리에게 요구되는 죽음에 대한 ‘애도의 윤리’를 구성해서 보여주고 있다.

keywords
OTT, 드라마, 넷플릭스, <무브 투 헤븐>, 소외된 죽음, 애도의 윤리, 우울, 유품정리사, OTT(over the top), drama, Netflix, Move to Heaven, alienated death, ethic of mourning, depression, moderator of the remains of the dead

참고문헌

1.

윤지련, 『무브 투 헤븐-나는 유품정리사입니다』, 위즈덤하우스, 2022.

2.

김대현, 「1980~90년대 게이 하위문화와 대안가족의 구성」, 『구술사연구』 제12(1)집, 한국구술사학회, 2021, 55~100쪽.

3.

김덕주, 「독거노인의 사회적 어려움과 사회복지정책적 대안」, 『사회복지지원학회지』 제7(1)집,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12, 217~239쪽.

4.

김새별, 전애원, 『떠난 후에 남겨진 것들』, 청림출판, 2020.

5.

김성진, 「애도의 서사 윤리와 문학치료」, 『문학교육학』 제37집, 한국문학교육학회, 2012, 63~85쪽.

6.

김수정 외, 「산업화세대의 삶의 경로와 조부모로서의 계층적 역할」, 『사회과학연구』 제33(2)집,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97~118쪽.

7.

김영훈, 「포스트네트워크 시대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 『현대영미어문학』 제38(1)집, 현대영미어문학회, 2020, 39~59쪽.

8.

김영희, 「한국 구술서사와 ‘여성혐오’」,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36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85~137쪽.

9.

김왕배, 「자살과 해체사회」, 『한국학』 제33(2)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195~224쪽.

10.

김재민,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해외입양인」, 『민주주의와 인권』 제13(1)집,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3, 237~272쪽.

11.

김정현, 「현대에서 ‘죽음’의 의미」, 『열린정신인문학연구』 제15(2)집,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77~100쪽.

12.

김한중·강동욱, 「데이트폭력의 실태와 그 대책방안」, 『법과 정책연구』 제19(2)집, 한국법정책학회, 2019, 179~211쪽.

13.

김홍중, 「꿈에 대한 사회학적 성찰」, 『경제와 사회』 제108집, 비판사회학회, 2015, 32~72쪽.

14.

남순현,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한국심리학회지』 제10(2)집, 한국심리학회, 2004, 1~15쪽.

15.

노르베르트 엘리아스, 『죽어가는 자의 고독』, 김수정 역, 문학동네, 2016.

16.

맹정현, 『멜랑꼴리의 검은 마술』, 책담, 2015.

17.

박상수, 「애도와 멜랑콜리 연구」, 『상허학보』 제49집, 상허학회, 2017, 107~147쪽.

18.

부종욱 외, 「청년세대의 꿈:다시 꿈을 꿈꾸기」,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제11집, 한국사회학회, 2017, 287~300쪽.

19.

슬라보예 지젝, 『폭력이란 무엇인가』, 이현우 외 역, 난장이, 2011.

20.

신경아, 「산업화 세대의 일 중심적 삶: 남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 연구」, 『산업노동연구』 제17(2)집, 한국산업노동학회, 2011, 239~276쪽.

21.

신상숙, 「젠더에 기반한 차별과 폭력의 연속선」, 『페미니즘 연구』 제18(1)집, 한국여성연구소, 2018, 267~301쪽.

22.

실비아 월비, 『가부장제 이론』, 유희정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23.

심현주, 「한국 사회의 자살」, 『생명연구』 제11집,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09, 1~17쪽.

24.

오은실 외, 「아스퍼거 아동의 정서적 맥락 이해 결함」, 『자폐성 장애연구』 제13(2)집, 한국자폐학회, 2013, 1~14쪽.

25.

왕은철, 『애도예찬』, 현대문학, 2012.

26.

우에노 지즈코,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나일동 역, 은행나무, 2012.

27.

유은정,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언어 및 행동 특성」, 『특수아동교육연구』 제3집, 한국특수아동학회, 2001, 137~147쪽.

28.

윤석진, 「신자유주의 시대, ‘치유’ 혹은 ‘기망’의 텔레비전」, 『어문연구』 제92집, 어문연구학회, 2017, 271~298쪽.

29.

이재경, 「세대갈등의 양상, 원인, 대안 모색」, 『경제와 사회』 제118집, 비판사회학회, 2018, 18~48쪽.

30.

장채윤, 임철민, 김성철, 「OTT 사업자의 콘텐츠 제작 역량에 대한 사례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36(1)집, 한국방송학회, 2022, 79~113쪽.

31.

정동호 외, 『철학, 죽음을 말하다』, 산해, 2004.

32.

정수남, 「공포, 개인화 그리고 축소된 주체-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일상성」, 『한국학』 제33(4)집,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329~357쪽.

33.

차성란, 「가족돌봄기능의 수행과 세대 갈등」,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제5집, 가정과삶의질학회, 2013, 53~76쪽.

34.

천선영, 『죽음을 살다』, 나남, 2012.

35.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Ⅰ』, 박재희 역, 청년사, 1988.

36.

필리프 아리에스, 『죽음의 역사』, 이종민 역, 동문선, 1998.

37.

하수정, 「폭력, 가부장적 자본주의의 심장」, 『현대사상』 제19집, 대구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2018, 115~129쪽.

38.

허민숙, 「젠더폭력과 혐오범죄」, 『한국여성학』 제33(2)집, 한국여성학회, 2017, 77~105쪽.

39.

<[인터뷰] 윤지련 작가마저 치유받게 한 ‘무브 투 헤븐’의 힘>, 『서울경제』, 2021.5.21.(https://www.sedaily.com/NewsView/22MG3EUV45)

40.

<윤지련 작가 “넷플릭스, ‘무브 투 헤븐’에 유일하게 호의... 믿어줘서 감사”>, 『스타뉴스』, 2021.5.21.(https://news.nate.com/view/20210520n35458)

41.

<윤지련 작가와 김성호 감독이 말하는 ‘무브 투 헤븐:나는 유품정리사입니다’>, 『씨네21』, 2021.6.2.(http://m.cine21.com/news/view/?mag_id=97834)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