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초패왕 항우 서사의 근대적 변주와 다시쓰기의 욕망들 - 박태원과 궈모뤄(郭沫若), 장아이링(张爱玲)의 소설을 중심으로

Modern Variations of the Story of King Xiàng Yǔ and Desires of Rewriting - focused on the short stories of Park Tae-won, Guo Moruo, and Chang Eileen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3, pp.173-207
https://doi.org/10.18856/jpn.2022.28.3.005
김미지 (단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The history of Xiàng Yǔ, the king of Chu, has long been a source of literary reproduction in East Asia. Novelist Park Tae-won also portrayed the last day of Xiàng Yǔ through a short story called “The Last Night at Haeha,”(垓下의 一夜) and Guo Moruo’s “Suicide of King Xiàng Yǔ”(楚霸王自杀) and Chang Eileen’s “Farewell to My Concubine”(霸王别姬) transformed Xiàng Yǔ and concubine Yu’s ancient history into modern short stories. These three works can be compared with the reason why Xiàng Yǔ was called in modern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mes such as desire of story, existence of the narrator, narrative and description, and changes in gender dynamics are derived in the imagination of the remaining parts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 Guo Moruo’s work actively tests the method of modern novels by maximizing the role of narrator along with the technical autonomy of description. Park Tae-won’s work, which focused on the inner portrayal of Xiàng Yǔ, describes the emptiness of solemnity, sadness, and enmity through contemplation and monologue. Both works take a different direction of portray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bu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capture a moment of a man, not a hero. Meanwhile, Chang Eileen’s work follows her inner side from the point of concubine Yu. This work is significant as a modern novel in that it emphasizes changes in gender dynamics through mirroring, which is the opposite of the existing male-centered narratives.

keywords
“The Last Night at Haeha”(垓下의 一夜), “Suicide of King Xiàng Yǔ”(楚霸王自杀), “Farewell to My Concubine”(霸王别姬), Records of the Chu and Han Dynasties, Historical novel, The Field Poppy(虞美人草), 해하의 일야, 초패왕의 자살, 패왕별희, 초한지, 역사소설, 서사와 묘사, 우미인초

Abstract

초패왕 항우의 고사는 사마천의 『사기』에 기록된 이래 동아시아에서 오랜 세월 문학적 재생산의 원천이 되어 왔다. 소설가 박태원 역시 「해하의 일야」라는 짧은 소설을 통해 항우의 마지막 하루를 그려냈는데, 비슷한 시기 궈모뤄의 「초패왕의 자살(楚霸王自杀)」, 장아이링의 「패왕별희(霸王别姬)」가 항우 및 우희의 고사를 근대소설로 탈바꿈시킨 바 있다. 이 연구는 세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1930년대 근대문학에서 항우가 호출된 이유와 그 소설적 접근법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작품들이 역사 서술에서 공백으로 남은 부분들을 상상적으로 메우는 데 있어 이야기의 욕망, 서술자의 존재, 서사와 묘사, 젠더 역학의 변화와 같은 소설사적 과제들을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오강에서 자살하기까지 항우의 마지막을 그린 궈모뤄의 작품은 소설의 서사에서 묘사가 가진 기법적 자율성과 더불어 작중 인물로서 서술자(관찰자)의 역할을 극대화함으로써 근대소설의 문법을 적극적으로 시험한다. 반면 최후의 전투가 벌어지기 전날 밤 해하를 배경으로 항우의 내면 묘사에 치중한 박태원의 작품은 사색과 독백을 통해 비장함과 슬픔 그리고 적멸의 허무로 빠져드는 항우를 그렸다. 두 작품은 모두 외면 묘사와 내면 묘사라는 다른 방향을 취하고 있지만 영웅이 아닌 인간의 한순간을 포착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한편 장아이링의 작품은 박태원 소설처럼 해하에서 마지막 밤을 배경으로 하되 우희의 시점에서 그녀의 내면을 따라간다. 이 작품은 전근대의 정절관과 결부된 여성의 자결이라는 모티프를 따르면서도, 기존의 남성 중심 서사와 정반대의 반전(反轉)을 통해 젠더 역학의 변화를 역설한다는 점에서 근대 소설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keywords
“The Last Night at Haeha”(垓下의 一夜), “Suicide of King Xiàng Yǔ”(楚霸王自杀), “Farewell to My Concubine”(霸王别姬), Records of the Chu and Han Dynasties, Historical novel, The Field Poppy(虞美人草), 해하의 일야, 초패왕의 자살, 패왕별희, 초한지, 역사소설, 서사와 묘사, 우미인초

참고문헌

1.

김팔봉, 『초한지』, 어문각, 1993.

2.

나쓰메 소세키, 『우미인초』, 송태욱 역, 현암사, 2014

3.

박태원, 「해하의 일야」, 『동아일보』, 1929. 12. 17.~24.

4.

윤백남, 「항우」, 『조선중앙일보』, 1933. 4. 1~8. 11.

5.

시바 료타로, 『항우와 유방』, 양억관 역, 북21, 2002.

6.

사마천, 『사마천 사기 56 : 본기, 세가, 열전, 서의 명편들』, 소준섭 편역, 현대지성, 2016.

7.

郭沫若, 「楚霸王自杀」, 『郭沫若全集 文学编』 第10卷, 北京:人民文学出版社, 1985.

8.

张爱玲, 「霸王别姬」, 『张爱玲全集』 第4卷, 海口:海南出版社, 1995.

9.

김대양,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작품세계-문명․직업․여성으로 읽기」, 제주대 박사논문, 2017.

10.

낸시 암스트롱, 『소설의 정치사: 섹슈얼리티, 젠더, 소설』, 오봉희・이명호 역, 그린비, 2020.

11.

노지승, 『여성의 다시쓰기』, 오월의 봄, 2022.

12.

류진희, 「그들이 유일하게 이해하는 말, 메갈리아 미러링」, 정희진 외,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교양인, 2017, 126~153쪽.

13.

리타 펠스키, 『근대성과 페미니즘』, 김영찬・심진경 역, 거름, 1998.

14.

박진영, 「중국문학 번역의 분기와 이원화-번역가 양건식과 박태원의 원근법」, 『동방학지』 166,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227~254쪽.

15.

방민호,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개체성의 인식과 표현」, 『구보학보』 8, 구보학회, 2012, 37~79쪽.

16.

손대현, 「〈초한가〉와 〈우미인가〉의 『西漢演義』 수용 양상」, 『한국민요학』 31, 한국민요학회, 2011, 77~111쪽.

17.

수잔 구바・산드라 길버트, 『다락방의 미친 여자』, 박오복 역, 북하우스, 2022.

18.

유미나, 「20세기 전반 대중문화의 회화적 형상화 ―전주역사박물관《고사인물도》 병풍과 동아대박물관《고사인물도》 병풍을 중심으로」, 『美術史學』 37,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167~197쪽.

19.

유승환, 「해방기 박태원 역사서사의 의미」, 『구보학보』 8, 구보학회, 2012, 81~119쪽.

20.

유승환 「박태원 역사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 『구보학보』 9, 구보학회, 2013, 83~109쪽.

21.

육민수, 「초한고사를 소재로 한 국문시가 장르의 실현 양상」, 『동양고전연구』 54, 동양고전학회, 2014, 183-212쪽.

22.

윤혜영, 「소세키(漱石) 문학에 있어서의 ‘헛수고(徒労)’」, 『日本學報』 109, 한국일본학회, 2016, 113~128쪽.

23.

이상경, 「역사소설가로서 박태원의 문학사적 위치」, 『역사비평』 31, 역사문제연구소, 1995, 230~248쪽.

24.

이형대, 「초한고사(楚漢古事)소재 시조의 창작 동인과 시적인식」, 『韓國 詩歌研究』 3, 한국시가학회, 1998, 377~395쪽.

25.

이홍란, 「구활자본 『초한전』의 존재양상과 의미」, 『우리문학연구』 30, 우리문학회, 2010, 167~195쪽.

26.

임우경, 「노라의 자살: 현대 민족서사와 张爱玲의 「霸王别姬」」, 『중국현대문학』 38,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06, 177~215쪽.

27.

임화,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28.

자크 랑시에르, 『문학의 정치』, 유재홍 역, 인간사랑, 2011.

29.

자크 랑시에르, 「불일치를 사고하기 : 정치와 미학」, 김상운 역, 『말과 활』 9, 2015(8-9월호).

30.

정호웅, 「박태원의 역사소설을 다시 읽는다」, 『구보학보』 2, 구보학회, 2007, 55~80쪽.

31.

제라르 쥬네트, 「서술의 경계선」, 『현대 서술이론의 흐름』, 김동윤 역, 솔, 1997.

32.

조흥욱, 「시조의 초한고사(楚漢故事) 수용 양상」, 『韓國詩歌研究』 40, 한국시가학회, 2016, 179~203쪽.

33.

차미경, 「『사기・항우본기』에서 경극 「패왕별희」까지」, 『중국문화연구』 23, 중국문화연구학회, 2013, 143~167쪽.

34.

차미경, 「《패왕별희》 이야기의 변용 양상과 그 특징」, 『中國文學研究』 54, 한국중문학회, 2014, 77~98쪽.

35.

하윤섭, 「‘항우’에 대한 기억의 변화와 조선 후기의 문학적 재현」, 『고전과 해석』 22,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7, 155~189쪽.

36.

Hamon, Philippe, “Rhetorical Status of the Description”, Yale French Studies, 1981.

37.

Hamon, Philippe, “What is Description?”, French Literary Theory Today, ed. by T. Todorov, Cambridge Univ. press, 1982.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