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 P-ISSN1738-3188
  • E-ISSN2713-9964

인스타툰, 정동하는 진정성의 일상

Instatoon, the Daily Life of Affective Authenticity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3, pp.139-172
https://doi.org/10.18856/jpn.2022.28.3.004
최민지 (서울대학교)

Abstract

본고는 인스타툰의 핵심 기제가 진정성이라는 점을 포착하여, 진정성을 정동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인스타툰의 미학과 정치적 가능성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이는 개별 인스타툰의 작품성이 아니라, 인스타툰의 매체적 특성을 고려하며 이들이 만들어내는 현상에 종합적으로 주목하였을 때 가능해진다. 인스타툰은 인스타그램에서 연재되는 SNS툰이며, 일상에서 소재를 취하고, 일상의 둘레에서 감상된다는 점에서 일상툰의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작가의 적극적 노출로 인해 캐릭터와 작가 간의 강한 동일시가 일어난다. 캐릭터는 작가를 대리하는 가면으로 여겨지고 서사는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로 느껴진다. 이 같은 매체적 특성에 의해 인스타툰에서는 진정성이 핵심적인 가치로 나타난다. 이때 진정성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인스타툰의 장을 구성하는 모두와 연관을 맺는 집단적인 정동이다. 진정성은 게시물과 댓글 사이를 순환하며 축적되고, 다방향적이고 역동적인 영향을 끼친다. 나아가 진정성의 정동은 개개의 인스타툰보다 선행하여, 인스타툰 장르 자체를 진정성이 펼쳐지는 공간으로 감각하게 한다. 진정성의 정동으로 인해 일상의 경험들은 인스타툰에서 솔직하게 토로되며, 이는 지금까지 비가시화되었던 사적 영역들을 문제로 가시화하는 효과를 낳는다. 가령 여성의 임신·출산·육아 경험을 다룬 인스타툰은 이것이 단지 혼자만의 문제가 아님을 전달하고, 식이 장애 및 기분 장애 경험을 다룬 인스타툰은 이것이 전문 치료를 요하는 문제임에 대해 말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인스타툰은, 주 수입원인 광고툰이 진정성을 훼손한다는 딜레마에 처해 있다. 이를 막기 위해 행해지는 여러 전략들은 인스타툰에서 진정성이 중요한 가치라는 것을 재차 방증한다. 진정성의 정동에 주목하여 볼 때, 지금까지 한계로만 여겨진 인스타툰의 특징들, 즉 단순한 서사, 일상적 소재, 간단한 그림체 등은 오히려 진정성의 정동을 더 잘 일으키는 것이 된다. 인스타툰의 미래는 이 특징들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면서 진정성의 정동을 더욱 다채롭게 일구어내는 데에 달려 있다.

keywords
Instatoon, Webtoon, SNStoon, Dailytoon, Authenticity, Affect, Media, 인스타툰, 웹툰, SNS툰, 일상툰, 진정성, 정동, 매체

참고문헌

1.

박로토(@parkloto), 인스타그램.

2.

서귤(@seo_gyul), 인스타그램.

3.

오늘의다은(@todaydaeun), 인스타그램.

4.

김건형, 「웹툰 플랫폼의 공동독서와 그 정치미학적 가능성」, 『대중서사연구』22(3), 대중서사학회, 2016, 119-169쪽.

5.

김건형, 「일상툰의 서사 문법과 자기 재현이라는 전략 – 여성 일상툰의 정치미학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4(4), 대중서사학회, 2018, 121-160쪽.

6.

김소영・조창환, 「광고 정보원의 진정성의 효과 연구 – 유명인의 인스타그램 광고 메시지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110,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84-119쪽.

7.

김홍중, 「진정성의 기원과 구조」,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17-50쪽.

8.

류유희, 「SNS 브랜드웹툰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스타그램 브랜드웹툰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59,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483-509쪽.

9.

류유희, 「SNS 웹툰에서 그려지는 사회적 약자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7(3),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100-112쪽.

10.

류철균·이지영, 「자기 재현적 웹툰의 주제 의식 연구」, 『대중서사연구』 30, 대중서사학회, 2013, 117-147쪽.

11.

박성희, 『진정성』, 이너북스, 2011.

12.

박세현, 「1인 미디어 플랫폼과 웹툰에 대한 연구」, 『만화포럼 칸』 5, 2017, 235-247쪽.

13.

박예빈·이예진·조희정·김은실, 「인스타그램 마이크로 인플루언서-팔로워 간의 상호 작용성이 스폰서십 공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진정성과 동일시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21(4),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0, 603-631쪽.

14.

박인하, 「한국 웹툰의 변별적 특성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3),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5, 82-97쪽.

15.

백종성, 「1인 미디어와 웹툰: 현실과 가상의 공존」, 『만화비평』 7, 정음서원, 2018, 30-42쪽.

16.

브라이언 마수미, 조성훈 역, 『가상계』, 갈무리, 2011.

17.

안서현, 「스토리와 디스플레이: 일반 웹툰·출판만화와의 비교를 통해 본 컷툰의 독자 경험」, 『횡단인문학』 11, 인문학 연구소, 2022, 163-182쪽.

18.

유선욱, 「진정성 연구 고찰과 미래 과제에 대한 탐색: 커뮤니케이션 학술지에 나타난 진정성의 개념과 척도,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과학연구』 39(1), 사회과학연구소, 2020, 403-472쪽.

19.

이보혜·윤기헌, 「SNS 1인 미디어 웹툰의 흐름 - 인스타툰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 포럼』 26(3),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1, 149-160쪽.

20.

이승희·안현수, 「인스타툰이 데이트폭력 편견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관한 연구:뉴스기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4(4), 한국언론학회, 2020, 5-39쪽.

21.

이화자, 「SNS 만화 현황과 특징, 발전방향」, 『만화포럼 칸』 7, 2019, 234-256쪽.

22.

최윤슬・이경렬, 「SNS 진정성의 속성과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의 진정성 지각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4(5), 한국광고학회, 2013, 157-179쪽.

23.

Lionel Trilling & Irving Howe & Leslie Farber & William Hamilton & Robert Orrill, “Sincerity & Authenticity: A Symposium”, Salmagundi 187, Saratoga Springs: Skidmore College, 2015, pp.604-637.

24.

Mark Andrejevic, “The Work That Affective Economics Does”, Cultural Studies 25(4-5), Abingdon: Taylor & Francis Group, 2011, pp.604-620.

25.

Rebekka Kreling & Adrian Meier & Leonard Reinecke, “Feeling Authentic on Social Media: Subjective Authenticity Across Instagram Stories and Posts”, Social media+society 8(1), London, England: SAGE Publications, 2022.

26.

Sara Ahmed, “Affective Economies”, Social Text 79, Duke University Press, 2004, pp.117-139.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