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대중서사연구

김정일 체제기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 (1994~2010)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US in North - Korean Films (1994~2010, the period of Kim Jong-il Regime)

대중서사연구 / 대중서사연구, (P)1738-3188; (E)27139964
2022, v.28 no.3, pp.317-351
https://doi.org/10.18856/jpn.2022.28.3.009
이현중 (군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1990년대 북한은 내외적으로 위기 상황을 마주해야 했다. 동구 사회주의권의 몰락과 소련의 붕괴로 냉전 체제가 해체됨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고립되었고,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하며 체제 위기를 맞는다. 후계자 김정일 체제도 결속을 유도했지만, 수해와 가뭄에 따른 식량난으로 ‘고난의 행군’기가 왔고, 북핵 문제로 인해 북미관계 및 남북관계가 경색되었으며 그에 따른 국제 사회의 제재 조치로 경제난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북한영화에 반영되었으며, 최악의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군사 선행의 선군정치의 교시를 담은 선군영화들이 제작되었다. 군대와 군 생활을 담은 선군영화의 특성 상 과거의 조국해방전쟁이 소환되기도 했고 군의 적대적 표상은 미국으로 수렴되었다. 당시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을 살펴보는 것은 적대적 표상의 대척점에서 당시 북한이 지향하던 체제의 모습을 영화적 선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다만 이 시기 북한영화가 미국을 표상하는 방식에는 변화가 발견된다. 1990년대 이전의 북한영화들에서 미국을 폭력성이 강조된 캐릭터를 통해 직접적으로 악인의 이미지로 만들었던 것에 반해 이 시기 영화들은 수령형상화와 내부 결속을 위한 장치로 미국을 소모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 과정에서 현재의 위기를 만든 원흉으로서 미국이 설정된다. 그러한 이유로 이 시기 북한영화들에서 미국의 표상은 직접적인 이미지로 표현되기 보다는 배경에 위치한 악으로 역할을 한다. 전쟁영화에서도 직접 캐릭터로 등장하는 것이 아닌 자료화면으로 노출되고, 경제난을 다룬 영화에서도 고난의 원인으로 존재하지만 직접 인물 간의 서사에 개입하는 장치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체제 결속을 위한 선전 목적이라도 이 시기 영화들에서는 미국 표상이 지니는 다른 방향성이 발견되는 것을 뜻한다. 과거처럼 미국이라는 외부의 적을 통해 내부를 결속한다는 목적보다는 김정일이라는 새 지도자를 선전함으로써 내부 결속을 유도하고 대중을 교양하는 것이다. 그 장치로 미국이 관습적 적으로 소모되는 경향을 영화적 표상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keywords
North Korean films, North Korean, representation of the US, Kim Jong-il, Songun(military-first) films, North Korean Nuclear, Korean War, The Country I Saw, 북한영화, 북한, 미국 표상, 김정일, 선군영화, 북핵, 6·25전쟁, 내가 본 나라

참고문헌

1.

고태우, 『북한사 다이제스트100』, 가람기획, 2015.

2.

백학순, 『북한 권력의 역사』, 한울, 2010.

3.

이명자, 『북한영화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4.

조선로동당출판사 편, 『우리 당의 선군정치』, 조선로동당출판사, 2006.

5.

Johannes Schönherr, North Korean Cinema: A history, McFarland & Company, 2012.

6.

김선아, 「북한예술영화 <내가 본 나라> 시리즈에 나타난 티모스의 영화미학」, 『영상예술연구』 21호, 영상예술학회, 2012.

7.

민병욱, 「김정일 체제기 북한 예술영화 연구」, 『공연문화연구』 13호, 한국공연문화학회, 2006.

8.

안지영,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의 젠더 담론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9.

이현중, 「1960년대 북한영화 속 미국 표상 연구」, 『영화연구』 87호, 한국영화학회, 2021.

10.

전영선, 「이야기 방식을 통한 북한 체제 정당화 연구: 총서 “불멸의 력사”와 영화 <조선의 별>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13권 1호, 북한연구학회, 2009.

11.

전영선·권정기, 「집단적 치유와 제의로서 북한영화: <자강도 사람들>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17권 1호, 북한연구학회, 2013.

12.

정영권, 「2000년대 초반 북한 영화의 청년세대: 청년 과학자와 ‘청년동맹’ 형상화를 중심으로」, 『동아연구』 34권 1호,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5.

13.

한승호·고경민, 「북한 영화 속 ‘핵’의 콘텍스트: 조선예술영화 <내가 본 나라> 분석」, 『통일인문학』 65호,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14.

『로동신문』, 2005년 9월 19일.

15.

『조선중앙통신』, 2009년 4월 29일.

16.

『조선중앙통신』, 2009년 7월 27일.

17.

노정민, <‘미키 마우스’ 가방 북한 소녀 눈길>, 『자유아시아방송』, 2010년 9월 15일. (검색일: 2022. 8. 29.) https://www.rfa.org/korean/in_focus/mickey_mouth-09152010160224.html

18.

아드리앙 공보, <[외신기자클럽] 가까이하기엔 너무 먼 영화>, 조수미 역, 『씨네21』 638호, 2008.

대중서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