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근래 한국 게이 로맨스 영화에서 공통되는 서사적 구조를 도출하여 남성 간 돌봄을 통해서 친밀성의 관계를 창출하는 장치를 분석한다. 이는 여성 독자·관객이 주를 이루는 폐쇄적 매체를 통해 창작·향유되었기에 주로 여성 문화로 간주하여 온 동성애 재현 텍스트의 스펙트럼을 되묻는 것이기도 하다. BL(Boy’s Love)이 주로 이성애자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위한 문화적 전유이므로 젠더 정치적 의미가 있지만, 역으로 퀴어성은 충분히 담지 못한다는 그간의 통념이 실은 동성애 규범적 재현을 유도하며 퀴어를 반사회적인 급진성으로 한정하는 진보주의적, 엘리트주의적 관점일 수 있음을 지적한다. 규범적 정체성에 근접한 재현보다는 퀴어적 독해라는 수행이 중요하다는 선행논의를 통과하여, 이 글은 ‘BL-게이 로맨스’라는 스펙트럼을 제안하면서 게이 로맨스 대중 영화의 정치적 해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게이 로맨스 영화의 청년기 남성들이 계급 재생산을 위해 특정한 남성 젠더의 훈육을 강요하는 가부장적 가족 제도에 반발하며 성장하는 서사적 구조를 분석한다. 또한 간호를 비롯한 돌봄과 동거의 상황을 반복하게 만드는 서사적 패턴을 귀납하여, 독립적인 개인이 되어야 한다는 남성적 생애 모델의 전제를 무너뜨리는 기제로 작동함을 논한다. 강제된 동거와 돌봄은, 경쟁적이고 위계적인 기존의 남성 동성 사회의 관계 맺음에 균열을 내는 계기로써, 상호 대등한 경제적 주체이자 상호 의존적인 정서적 주체가 되게 만든다. 이 돌봄은 남성 간의 신체접촉을 경쟁에서 탈맥락화하여 에로티시즘을 적층해간다. 이로써 친밀감을 축적하고 상호 의존적인 돌봄 관계가 부모세대의 가족주의적 남성과 다른 대안적 남성상일 수 있음을 인물들은 깨닫게 된다. 따라서 두 주인공은 경쟁과 독립이라는 남성성에서 벗어나 돌봄과 연결이라는 다른 남성성에 도달하면서 연애 서사를 완성한다. 이 글은 게이 로맨스가 기성 가족 제도의 계급 재생산 및 폭력적인 위계를 중심으로 하는 남성성과 거리를 둔 남성 젠더/섹슈얼리티를 창안하려는 시도이며, 또한 남성 간 친밀성과 돌봄의 문화정치를 위한 자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너의 시선이 머무는 곳에>(황다슬 감독, 2020)
<미스터 하트>(박선재 감독, 2020)
<위시유>(성도준 감독, 2020)
<나의 별에게>(황다슬 감독, 2021)
<류선비의 혼례식>(박건호 감독, 2021)
<컬러러쉬>(박선재 감독, 2021)
<피치 오브 타임>(장의순감독, 2021)
강소원, 「퀴어 로맨스: 한국독립단편영화에 나타난 동성애 재현에 대한 에세이」, 『독립영화』 20, 한국독립영화협회, 2004, 10-19쪽.
고윤경, 「여성 아이돌을 향한 여성 팬 응시의 역동-소녀시대 여성 동성성애 팬픽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50,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49-78.
권지미, 『알페스×퀴어-케이팝, 팬덤, 알페스, 그리고 그 속의 퀴어들과 퀴어함에 대하여』, 오월의봄, 2022.
김경태, 「야오이를 전유한 동아시아 남성 동성애 영화 재고: <꽃보다 게이>, <열일곱살의 하늘>, <서양골동양과자점 앤티크>를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19, 영상예술학회, 2011, 11-38.
김경태, 「동시대 퀴어 영화와 돌봄의 정치-<그들이 진심으로 엮을 때>, <시인의 사랑>, <이스턴 보이즈>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14(2),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261-288.
김경태, 「돌보는 귀여움:서투르지만 귀여운 베어 커버 댄스와 퀴어 친밀성」, 『여성문학연구』 50,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115-141.
김경태, 「동시대 한국 퀴어 영화의 정동적 수행과 퀴어 시간성:<벌새>, <아워 바디>, <윤희에게>를 중심으로」, 『횡단인문학』 6,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1-25.
김경태 외, 『한국퀴어영화사』, 담담프로젝트, 2020.
김소원, 「BL 만화의 탈19금과 대중화 전략: 여성 독자 심리와 일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63, 인문콘텐츠학회, 2021, 235-255.
김수연, 「퀴어 아카이브와 아카이브 퀴어링 하기-한국 퀴어영화의 도전과 과제」, 『안과밖』 49, 영미문학연구회, 2020, 248-273.
김효진, 「후죠시(腐女子)는 말할 수 있는가?:‘여자’ 오타쿠의 발견」, 『일본연구』 45,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27-49쪽.
김효진, 「‘동인녀(同人女)’의 발견과 재현」, 『아시아문화연구』 30,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43-75.
김효진, 「여성향 만화장르로서 틴즈 러브(Teen’s Love) 만화의 가능성-후유모리 유키코의 작품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73,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33-59쪽.
김효진, 「페미니즘의 시대, 보이즈 러브의 의미를 다시 묻다:인터넷의 ‘탈BL’ 담론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7,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197-227쪽.
김효진, 「‘당사자’와 ‘비당사자’의 사이에서:요시나가 후미 만화의 게이 표상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56(2),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79-112쪽.
김효진, 「남성 동성애 서사로서 <아재’s 러브(おっさんずラブ)> 시리즈의 가능성과 한계」, 『횡단인문학』 6(1),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79-109쪽.
류진희, 「팬픽: 동성(성)애 서사의 여성 공간」, 『여성문학연구』 20,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163-184.
류호현·이가현, 「트랜스 동아시아 BL 대중화 경향 연구-한·중·일 3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94, 대한일어일문학회, 2022, 149-168쪽.
박상영,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문학동네, 2018.
이현지, 「음란물로서의 BL 인식과 그 수용자에 대하여」, 『여성이론』 35, 도서출판여이연, . 2016, 119-139.
이문우, 「한국 퀴어시네마의 새로운 지형과 포스트 -퀴어네이션에 대한 상상: 「위켄즈」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1(1), 인문사회21, 2020, 665-678.
이문우, 「워맨스에서 레즈비언 로맨스로-<마마>-<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마인>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이론과비평』 94,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337-364.
양성은, 「여성심리학 관점에서 분석한 남성동성애만화(Boys’ Love manga)의 유희적 수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9), 한국콘텐츠학회, 2018, 510-520.
장민지, 「BL장르 세계관 분석을 통한 가상적 섹슈얼리티 생산 가능성 연구: 알파/오메가 섹슈얼리티의 페미니즘적 해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35(1),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103-140.
홍보람, 「가시성의 경제와 몸 이미지: BL은 어떻게 페미니즘의 ‘문제’가 되었는가」, 『여성이론 』 44, 도서출판여이연, 2021, 42-73.
게일 루빈, 『일탈: 게일 루빈 선집』, 신혜수·임옥희·조혜영·허윤 역, 현실문화, 2015.
Eve Kosofsky Sedgwick, Between Men:English Literature and Male Homosocial Desire, Newyork: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